{"title":"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authors":"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doi":"10.5657/KFAS.2020.0132","DOIUrl":null,"url":null,"abstract":"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8 1","pages":"132-1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