基质大小和有机物含量对多毛藻早期幼虫沉降和生长的影响

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
{"title":"基质大小和有机物含量对多毛藻早期幼虫沉降和生长的影响","authors":"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doi":"10.5657/KFAS.2020.0132","DOIUrl":null,"url":null,"abstract":"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8 1","pages":"132-1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authors\":\"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doi\":\"10.5657/KFAS.2020.0132\",\"DOIUrl\":null,\"url\":null,\"abstract\":\"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8 1\",\"pages\":\"132-1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在泥滩上的无脊椎动物中,泥鳅在物种数量和栖息密度方面所占比例最高,全世界有9000多种(Rouse and Pleijei, 2001)。泥鳅不仅在海洋生态系统中作为多种有机物的摄食和分解者占据重要位置(Rhoads, 1973),而且在商业方面也具有很高的价值,主要作为鱼类和甲壳类的食物来源和钓鱼用的诱饵,在全世界沿海国家被利用(Byrd, 1996)。主要生产国为中国和欧洲,消费市场在亚洲、南美、欧洲和美国等地广泛形成(Olive, 1994;沃森et al., 2016),被认为具有很高的商业潜力(Olive, 1999)。另外,欧洲已为有效管理这些资源,完善相关制度,增加对养殖技术开发的点差支持(Watson et al., 2016)。在我国栖息的300多种海蚯蚓中,经常被用作钓鱼用鱼饵的有两段眉毛海蚯蚓(Perinereis aibuhitensis,清虫)、岩毛海蚯蚓(Marphysa sanguinea,本虫)、眉毛海蚯蚓(Perinereis nuntia,石虫)、宽脚海蚯蚓(Nectoneanthes oxypoda);(参见Paik, 1989)。但从20世纪80年代以后,由于无视资源恢复力的滥获,产量减少,但进口量从2002年以后逐渐增加(KCS, 2015)。因此,为确保沙蚯蚓资源及增加渔民收入(目前流通价格,8-10万韩元),急需开发养殖技术。在种苗生产和培养技术领域研究了岩毛海蚯蚓、眉毛海蚯蚓、两段眉毛海蚯蚓等,但除了岩毛海蚯蚓之外,海蚯蚓属于经济上的不足,因此很难找到与养殖相关的研究结果。另外,巴比毛蚯蚓在堆积物中挖出栖息洞生活,因此饲养时需要堆积物,并且不让身体完全暴露在栖息孔中,大部分在栖息基质的保护下进行食物活动及排便活动(Kang at al., 2000)。沙蚕类对早期生活史和沙蚕(Marphysa sanguinea)幼生的着作和早期生长的基质大小及有机物含量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