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alyzing Differences in Interest Topics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on Social Media using Text Mining","authors":"Yu-Hang Wu, In-Yong Nam, Wen-Qi Li","doi":"10.14801/jkiit.2023.21.9.16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61","url":null,"abstract":"디지털 시대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네트워크 사용자의 개별화된 요구와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MBTI 성격 유형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서 남긴 콘텐츠 댓글을 분석하여, 그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와 분야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Pytho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다양한 MBTI 유형의 사용자 댓글을 텍스트 마이닝 및 분석하여 관심 주제를 추출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서로 다른 MBTI 유형 간의 관심 분야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성격 유형별로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 서비스와 제품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MBTI 유형별로 사용자의 요구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과 도구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를 배포하고 서비스를 혁신하는 실증적 근거가 될 것이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evelopment of Multibeam Receive Active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Link","authors":"Jung-Il Cho, Eun-Tae Jung, Seong-Ju Lee, Chan-Ho Hwang, Tae-Hwan Joo, Jae-Soo Jung","doi":"10.14801/jkiit.2023.21.9.93","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93","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빔 형성 기능을 갖는 송수신 타일을 적용하여 개발된 다중빔수신 능동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다수의 송수신 타일, 추적모듈, 수냉을 위한 방열구성품등이 집적된 원통형상으로 개발되었으며 방위각 전 방향에 대해서 4개 빔을 형성하여 무선통신링크구성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테나 시스템 수신부에 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하였다. 안테나 근접전계 시험과 수신잡음온도 측정을 통해 시스템 G/T(Gain to noise Temperature ratio)는 -6㏈/K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야외시험에서는 전 방향에 대해서 1° 이내의 빔 탐색 및 추적성능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통신용 다중빔 능동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다양한 무기체계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6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Junyoung Jung, Jihyung Kim, Kyunga Roh, Joohwan Chun
{"title":"Maximum Likelihood-based Multi-target Detection Algorithm with Slow-ramp FMICW Radar","authors":"Junyoung Jung, Jihyung Kim, Kyunga Roh, Joohwan Chun","doi":"10.14801/jkiit.2023.21.9.113","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13","url":null,"abstract":"주파수 변조 간헐적 연속파형(FMICW, Frequency Modulated Interrupted Continuous Waveform) 레이다는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송수신안테나 신호의 연결문제가 없어서 송수신안테나를 충분히 떼어놓을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하지만 FMICW 레이다의 큰 문제는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 많은 거짓 선스팩트럼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표적의 개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점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 경사(slow-ramp) FMICW 레이다에 있어서 새로운 최대가능도 기반 다중표적 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낮은 신호 대비잡음(SNR) 표적이 높은 SNR 표적에 가려졌을 때 특히 유용한데, 4개의 스위프(sweep) 파형을 가지고 10개의 표적을 정확히 구별함을 모의실험으로 보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5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Random-scale-based Identity Information Concealing Steganography for Data Sharing Mechanism","authors":"Jinsu Kim, Namje Park","doi":"10.14801/jkiit.2023.21.9.12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21","url":null,"abstract":"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무수히 생산되며, 대다수의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용자에 의한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데이터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인터넷이라는 영역을 통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라는 별도의 영역으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영상 정보의 경우 최초 유포자의 영상이 제 3자의 경제적 이득을 위해 무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정보는 무분별한 활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 플레인 기법을 적용한 스테가노그래피 기반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영상을 공개된 서버에 공유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랜덤키에 의한 무작위 선정을 통해 영상 내의 LSB에 기록하고 서버에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225×225 규모의 비트맵 이미지에 대해 MD5로 해시된 데이터를 삽입하여 약 99.99%의 일치율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9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mplementation of Radio Frequency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Compressed Sensing Receiver","authors":"Sun-Phil Nah, Jun-Il Ahn, Sung-Jin Jo","doi":"10.14801/jkiit.2023.21.9.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url":null,"abstract":"최근 들어 전자전(Electronic warfare) 분야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스펙트럼 우세 전략은 광범위한 스펙트럼 인지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스펙트럼 인지의 핵심 요구기능인 스펙트럼의 모든 중요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특정 위협 식별 능력은 아직 취약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주파수 지문식별시스템을 구현하여 광범위한 스펙트럼 인지를 위한 두 가지 핵심기능의 성능을 제시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스펙트럼의 지속적인 감시를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압축센싱 수신기술을 적용하였고, 특정 위협 식별기능 구현을 위해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2차원 ResNet 모델을 1차원 모델로 변환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 식별에 적용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Hochang Lee, HyonIk Lee, Seyoung Kim, Jinbong Sung
{"title":"A Fault Tolerance State Transition Design of SAR Payload","authors":"Hochang Lee, HyonIk Lee, Seyoung Kim, Jinbong Sung","doi":"10.14801/jkiit.2023.21.9.65","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65","url":null,"abstract":"위성 탑재 영상레이다는 효율적인 전력 관리 및 우주 방사선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상태’에 기반하여 장치 전원 형상을 관리한다. 상태 천이 구간에서는 각 장치의 전원 인가 및 차단 행위를 수행하므로, 고장의 탐지 및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위성 탑재 영상레이다에는 상태 천이 중 고장 탐지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태 천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고장 사항에 대비하여, 고장에 강건한 상태천이 설계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천이 중 전원 인가/차단 절차를 명확히 하고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태 천이 중에도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고장이 탐지되면 ‘이상 상태’로 천이하여, 고장이 다른 장비로 확산하지 않도록 반영하였다. 본 설계 개념을 기반으로 영상레이다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고 지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상시험을 통해 본 영상레이다 시스템이 예측 가능한 형태로 상태천이 및 고장탐지 되며, 이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위성 탑재 영상레이다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8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Robust Multiple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with Impulsive Noise","authors":"JaeWook Shin","doi":"10.14801/jkiit.2023.21.9.105","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05","url":null,"abstract":"","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Dae-Yeong Kim, Seong-Cheal Heo, Hanho Wang, Kyunbyoung Ko
{"title":"A Study on TDA-WSUM based Channel Estimation in IEEE 802.11p/OFDM System with a Small Number of Pilot Symbols","authors":"Dae-Yeong Kim, Seong-Cheal Heo, Hanho Wang, Kyunbyoung Ko","doi":"10.14801/jkiit.2023.21.9.83","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83","url":null,"abstract":"본 논문은 IEEE 802.11p/OFDM 시스템에서, 기존의 채널추정 기법보다 향상된 성능의 TDA-WSUM 채널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CDP 기반 WSUM 채널추정 기법에 TDA 방식을 적용한 개선된 TDA-WSUM 구조를 갖는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Cohda Wireless 사에서 제시하는 Rural 및 Highway LOS 채널 환경에서 QPSK와 16QAM 변조 기법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기존 기법들과 BER 및 PER 성능을 비교하였다. 특히, 고속 시변 채널인 Highway LOS 환경 및 16QAM 변조 방식에서 PER=0.01 기준으로 제안된 TDA-WSUM 기법은 CDP, WSUM, WSUM-TDA 기법 대비 각각 약 10.0㏈, 3.2㏈, 1.4㏈의 SNR 이득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mpirical Study on the Loss Functions of Contrastive Learning-based Multi-scale BERT model for Automated EssayScoring","authors":"Sangwoo Han, Daegon Yu, Byung-Won On, Ingyu Lee","doi":"10.14801/jkiit.2023.21.9.5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51","url":null,"abstract":"에세이 작성은 학생들의 종합적 학습성과를 평가하기에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에세이 평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관적인 경향이 있어서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에세이 평가 자동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성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세이 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에세이 평가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는 다중계층 BERT 모델의 평균제곱오차, 유사도, 순위 손실함수에 대조 학습 기반의 손실함수를 새롭게 추가하고, 손실함수 간의 성능을 비교한다. 에세이 평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ASAP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대조 학습 기반 다중계층 BERT 모델은 기존의 BERT 모델보다 손실함수에 따라서 QWK는 3~4%, Pearson은 3~5% 향상되었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16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echnology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on National R&D Projects and Social Data of Hydrogen Fuel Cell","authors":"Jungwoo Choi, Byeong-Hee Lee","doi":"10.14801/jkiit.2023.21.9.129","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2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동향과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가R&D 투자와 관련이 있는 과제정보를 수집하고, 일반 대중의 수요와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세계적인 온라인 커뮤니티인 레딧(Reddit)의 소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연계하여 데이터를 IT기반의 데이터와 AI 기법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치 우리나라 수소연료전지 관련 국가R&D과제정보로 기술 마이닝을 하였으며, 레딧에서 8,808개의 포스트를 이용해 연관 및 감성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수소연료전지 분야 과제의 연구개발 과제건수는 최근 3년간 2배 증가하였고, 주요 키워드는 연료전지 기술, 친환경, 촉매, 탄소, 소재 순으로 나타났다. 레딧 연관 분석 결과 수소와 수소연료전지차의 강한 연관성을 확인했으며, 최근 10년간의 감성분석 결과 긍정과 부정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다 최근 긍정 기대치가 크게 높아짐을 확인했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6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