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Deep-learning based Predictive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using AMI Data 基于深度学习的AMI数据能耗预测模型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29
Dong-Ha Kim, Hanjun Lee
{"title":"Deep-learning based Predictive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using AMI Data","authors":"Dong-Ha Kim, Hanjun Lee","doi":"10.14801/jkiit.2023.21.10.29","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29","url":null,"abstract":"국내 에너지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더욱 정교한 사용량 예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지능형 전력 계량 인프라) 데이터와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XGBoost, LightGBM, LSTM 등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산업 부문의 전력 사용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추가적으로 군집화를 통하여 전력사용 패턴별 유형을 구분하고 각 군집별로 예측 모델을 학습시켰다. 결과적으로 LSTM 기반의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군집화를 통하여 모델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HAP를 활용한 변수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업종과 온도, 근무자 수가 전력 사용량에 영향이 큰 요인임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4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ynamic Worker Classification Scheme for Addressing Straggler Problem in Distributed Deep Learning Environments 分布式深度学习环境中离散者问题的动态工作者分类方案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
HyungJun Kim, Heonchang Yu, Sungsuk Kim
{"title":"Dynamic Worker Classification Scheme for Addressing Straggler Problem in Distributed Deep Learning Environments","authors":"HyungJun Kim, Heonchang Yu, Sungsuk Kim","doi":"10.14801/jkiit.2023.21.10.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url":null,"abstract":"Straggler로 인한 속도 저하는 작업 시간 단축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분산 딥러닝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Straggler 문제라고 한다. Straggler는 발생 시점과 속도 저하의 정도 모두 임의적이므로 심각한 경우 분산 딥러닝의 도입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커 속도 저하에 강건한 분산 딥러닝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동적 Straggler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워커 성능 프로파일링 정보를 통해 결정되는 임계치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오분류 없이 신속하게 Straggler를 탐지함을 보인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4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a Combined High-temperature and Light Test on Silicone Encapsulant of LED Package 高温光复合测试对LED封装硅封装胶的影响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27
Jemin Kim, Dongweon Yoon
{"title":"The Effect of a Combined High-temperature and Light Test on Silicone Encapsulant of LED Package","authors":"Jemin Kim, Dongweon Yoon","doi":"10.14801/jkiit.2023.21.10.127","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27","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패키지에 사용되는 실리콘 충진재에 대해서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복합 스트레스 환경을 고온-광 복합 시험으로 설계하고 실시한다. 고온-광 복합 시험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리콘 충진재 샘플에 대한 고온 시험을 85°C와 120°C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실리콘 충진재에 대한 고온-광 복합 시험을 고온 시험과 동일한 85°C와 120°C에서, LED 패키지의 광출력이 실리콘 충진재 샘플로 유도되도록 제안한 시험 지그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시험 후, 각각 실리콘 충진재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실리콘 충진재에 대한 Raman 분석을 통해 고온 시험과 고온-광 복합 시험에서 나타난 투과율의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추론한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2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ing PEST Issues in ChatGPT News Articles for the Application to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 探讨ChatGPT新闻文章中的PEST问题,以应用于国家研发信息服务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71
Hye-In Na, Byeong-Hee Lee
{"title":"Exploring PEST Issues in ChatGPT News Articles for the Application to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authors":"Hye-In Na, Byeong-Hee Lee","doi":"10.14801/jkiit.2023.21.10.17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71","url":null,"abstract":"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의 등장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챗GPT는 텍스트 생성 및 요약, 자동 번역, 콘텐츠 생성, 프로그램 코드 작성 등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챗GPT 기능이 탑재된 국가R&D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R&D정보서비스에 챗GPT의 잠재적 적용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뉴스기사를 대상으로 PEST 분야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거시적 환경 변화와 챗GPT의 이슈 토픽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PEST 분석 결과, 챗GPT의 활용 및 규제, 교육에 미치는 영향, 반도체 산업의 성장, 챗봇 서비스 개발 경쟁 등 다양한 이슈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거시환경 변화에 따른 챗GPT의 영향과 이슈토픽을 파악하여 향후 국가R&D정보서비스의 적용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4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Implementation of Test Environment for Target Motion Analysis of Submarine Combat System 潜艇作战系统目标运动分析测试环境的实现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59
Dongsik Baek, Jaewan Kim, Jongmyung Lim, Taeil Suh, Euijin Kim, Woochan Kim
{"title":"Implementation of Test Environment for Target Motion Analysis of Submarine Combat System","authors":"Dongsik Baek, Jaewan Kim, Jongmyung Lim, Taeil Suh, Euijin Kim, Woochan Kim","doi":"10.14801/jkiit.2023.21.10.159","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59","url":null,"abstract":"표적기동분석(TMA) 개발을 위한 시험환경은 잠수함 전투체계 표적기동분석 기능 개발 시 반드시 필요한 환경이다. 또한 표적기동분석 알고리즘 개발과 전투체계 기능 적용을 위해 효율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통합환경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함 및 표적정보 생성을 위한 시나리오 생성기, 실장비 기능 연동을 위한 전투체계모의기, 실시간 메시지 관찰을 위한 모니터, 결과분석을 위한 분석기, 로그 저장툴, 로그 재생툴을 개발하였고 표적기동분석 실장비 기능 구동을 위한 실장비 가상머신을 구성하여 표적기동분석(TMA) 알고리즘 개발 및 기능시험에 활용 가능한 시험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본 시험환경에서 실해역 데이터를 흭득하게 되면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 및 분석 등의 실해역 데이터 분석 및 표적기동분석 알고리즘 튜닝 환경으로도 활용 가능하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2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stimation of Optimal Weight Sensor Placement to Restrict the Number of Passengers in Personal Mobility Vehicles 限制个人机动车辆乘客数量的最优称重传感器位置估计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91
Jong-Gwan Lim
{"title":"Estimation of Optimal Weight Sensor Placement to Restrict the Number of Passengers in Personal Mobility Vehicles","authors":"Jong-Gwan Lim","doi":"10.14801/jkiit.2023.21.10.9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91","url":null,"abstract":"최근 들어 급증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무게 센서를 사용한 2인 탑승 검출 시스템을 구현하는 전체 연구의 전초로서 최상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센서 부착 위치를 추정한다. 무게 센서 사용시 발생하는 설계상의 문제로서 시스템의 비용이 로드셀의 성능과 개수와 직결됨으로 제한된 수의 센서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540 x 200mm (10인치 바퀴 기준)의 개인형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56건의 모의 1인 탑승 실험과 44건의 모의 2인 탑승 실험을 통해 탑승자의 발위치, 각도, 무게 등을 측정한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개인형 이동장치 발판에서 1인 탑승과 2인 탑승의 무게 차가 발생하는 3 지점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더 높은 확률이 나타나는 수직 중심축의 끝단(500mm)에 집중적으로 센서를 부착하면 가장 만족스러운 탑승자 판별이 가능함을 도출한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9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3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Research on the 3D Object Digitalization Method of Korean Heritage Overseas 海外韩国遗产三维物象数字化方法研究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1
Seoyoung Kim
{"title":"Research on the 3D Object Digitalization Method of Korean Heritage Overseas","authors":"Seoyoung Kim","doi":"10.14801/jkiit.2023.21.10.11","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1","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관계에 민감한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자원화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유물 및 문화재에 대한 디지털 자원화를 위해서는 표면의 질감과 문양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세밀한 3D 스캔 촬영과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초정밀 3D 모델링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실물 환수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 접근성이 제한되는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대상으로 진행한 디지털 3D 객체화 작업의 진행 과정 중 3D 스캔에 활용한 두 가지 방법에 대하여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된 디지털 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접근성 확대 및 학술 연구자료의 확보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73 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9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udy for Machine Learning-based Demodulation Scheme Robust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基于机器学习的抗电磁干扰解调方案研究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117
Jaewoo Kim, Younggun Ji, Jungran Lee, Hyungjun Ju, Seulgi Park, Myungho Kim, Kihun Kim, Jinyeong Chang, Yeonsoo Jang
{"title":"Study for Machine Learning-based Demodulation Scheme Robust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authors":"Jaewoo Kim, Younggun Ji, Jungran Lee, Hyungjun Ju, Seulgi Park, Myungho Kim, Kihun Kim, Jinyeong Chang, Yeonsoo Jang","doi":"10.14801/jkiit.2023.21.10.117","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17","url":null,"abstract":"전자기 스펙트럼 작전 환경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성능 확보를 위해 레이더 간섭을 보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펄스 신호가 존재할 때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간섭 신호의 영향을 학습하여 오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계 학습 기반의 복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복조기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은닉층의 개수와 노드 개수에 따른 심볼 오류율 성능을 분석하여 저복잡도의 복조 신경망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간섭 대 신호비가 0.5보다 큰 상황에서 신호 대잡음비 25 dB 기준으로 기존의 최대 우도 복조 방식은 약 10%의 심볼 오류율을 나타내었으나, 제안하는 기계학습 기반 복조는 0.01%의 심볼 오류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304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9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raining Set Creation Method for Essay Creativity Score Prediction Models 论文创造力得分预测模型的训练集创建方法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14801/jkiit.2023.21.10.69
Deokgi Kim, Byung-Won On, Sangwoo Han, Seunghyeok Park, Yougyeon Kim, Sanghyun Park, Junyoung Jo, Seoin Choi, Youbin Lee, Daegon Yu
{"title":"Training Set Creation Method for Essay Creativity Score Prediction Models","authors":"Deokgi Kim, Byung-Won On, Sangwoo Han, Seunghyeok Park, Yougyeon Kim, Sanghyun Park, Junyoung Jo, Seoin Choi, Youbin Lee, Daegon Yu","doi":"10.14801/jkiit.2023.21.10.69","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69","url":null,"abstract":"학생들은 에세이를 작성해보면서, 제4차 산업혁명에 꼭 필요한 창의성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수작업에 의존하는 창의성 평가방식은 주관적이며, 많은 예산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대량의 에세이에서 창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에세이 창의성 점수 예측모델에 필요한 학습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대용량 학습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웹기반 레이블링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 시스템을 통해, 약 3,766개의 에세이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3명의 평가자 간 Kendall 점수는 평균 82.7%로 평가자 간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설검정을 통해 제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기존 수작업 방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보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11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63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3-Dimensional Data 基于加权稀疏卷积网络的三维数据语义分割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 Date : 2023-09-30 DOI: 10.14801/jkiit.2023.21.9.153
Jung-Su An, Young-Rae Cho
{"title":"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3-Dimensional Data","authors":"Jung-Su An, Young-Rae Cho","doi":"10.14801/jkiit.2023.21.9.153","DOIUrl":"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53","url":null,"abstract":"최근 의료, 자율 주행, 영상 처리 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의미적 분할 및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사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연속적인 포인트 클라우드에 합성곱 적용을 위하여 복셀화를 통한 규칙성 부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본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복셀화를 수행하기 위한 복셀-그리드 층과 이를 포함한 WSCN(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가중치가 부여된 그리드의 합성곱을 통하여 지역적인 위치 정보 학습에 용이하다.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WSCN 모델이 유사한 이전 모델보다 더 우수한 분할 성능을 보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8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