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加权稀疏卷积网络的三维数据语义分割","authors":"Jung-Su An, Young-Rae Cho","doi":"10.14801/jkiit.2023.21.9.153","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의료, 자율 주행, 영상 처리 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의미적 분할 및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사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연속적인 포인트 클라우드에 합성곱 적용을 위하여 복셀화를 통한 규칙성 부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본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복셀화를 수행하기 위한 복셀-그리드 층과 이를 포함한 WSCN(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가중치가 부여된 그리드의 합성곱을 통하여 지역적인 위치 정보 학습에 용이하다.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WSCN 모델이 유사한 이전 모델보다 더 우수한 분할 성능을 보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3-Dimensional Data\",\"authors\":\"Jung-Su An, Young-Rae Cho\",\"doi\":\"10.14801/jkiit.2023.21.9.153\",\"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의료, 자율 주행, 영상 처리 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의미적 분할 및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사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연속적인 포인트 클라우드에 합성곱 적용을 위하여 복셀화를 통한 규칙성 부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본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복셀화를 수행하기 위한 복셀-그리드 층과 이를 포함한 WSCN(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가중치가 부여된 그리드의 합성곱을 통하여 지역적인 위치 정보 학습에 용이하다.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WSCN 모델이 유사한 이전 모델보다 더 우수한 분할 성능을 보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3-Dimensional Data
최근 의료, 자율 주행, 영상 처리 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의미적 분할 및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사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연속적인 포인트 클라우드에 합성곱 적용을 위하여 복셀화를 통한 규칙성 부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본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복셀화를 수행하기 위한 복셀-그리드 층과 이를 포함한 WSCN(Weighted Sparse Convolutional Network)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가중치가 부여된 그리드의 합성곱을 통하여 지역적인 위치 정보 학습에 용이하다.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WSCN 모델이 유사한 이전 모델보다 더 우수한 분할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