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Research on the 3D Object Digitalization Method of Korean Heritage Overseas","authors":"Seoyoung Kim","doi":"10.14801/jkiit.2023.21.10.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관계에 민감한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자원화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유물 및 문화재에 대한 디지털 자원화를 위해서는 표면의 질감과 문양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세밀한 3D 스캔 촬영과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초정밀 3D 모델링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실물 환수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 접근성이 제한되는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대상으로 진행한 디지털 3D 객체화 작업의 진행 과정 중 3D 스캔에 활용한 두 가지 방법에 대하여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된 디지털 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접근성 확대 및 학술 연구자료의 확보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73 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10.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관계에 민감한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자원화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유물 및 문화재에 대한 디지털 자원화를 위해서는 표면의 질감과 문양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세밀한 3D 스캔 촬영과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초정밀 3D 모델링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실물 환수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 접근성이 제한되는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대상으로 진행한 디지털 3D 객체화 작업의 진행 과정 중 3D 스캔에 활용한 두 가지 방법에 대하여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된 디지털 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접근성 확대 및 학술 연구자료의 확보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