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Random-scale-based Identity Information Concealing Steganography for Data Sharing Mechanism","authors":"Jinsu Kim, Namje Park","doi":"10.14801/jkiit.2023.21.9.121","DOIUrl":null,"url":null,"abstract":"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무수히 생산되며, 대다수의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용자에 의한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데이터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인터넷이라는 영역을 통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라는 별도의 영역으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영상 정보의 경우 최초 유포자의 영상이 제 3자의 경제적 이득을 위해 무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정보는 무분별한 활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 플레인 기법을 적용한 스테가노그래피 기반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영상을 공개된 서버에 공유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랜덤키에 의한 무작위 선정을 통해 영상 내의 LSB에 기록하고 서버에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225×225 규모의 비트맵 이미지에 대해 MD5로 해시된 데이터를 삽입하여 약 99.99%의 일치율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9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무수히 생산되며, 대다수의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용자에 의한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데이터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인터넷이라는 영역을 통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라는 별도의 영역으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영상 정보의 경우 최초 유포자의 영상이 제 3자의 경제적 이득을 위해 무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정보는 무분별한 활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 플레인 기법을 적용한 스테가노그래피 기반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영상을 공개된 서버에 공유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랜덤키에 의한 무작위 선정을 통해 영상 내의 LSB에 기록하고 서버에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225×225 규모의 비트맵 이미지에 대해 MD5로 해시된 데이터를 삽입하여 약 99.99%의 일치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