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관에서 본 초등 도덕과의 다문화교육 从查尔斯·泰勒的社区观来看小学道德课的多文化教育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129
박진은
{"title":"찰스 테일러의 공동체관에서 본 초등 도덕과의 다문화교육","authors":"박진은","doi":"10.17282/ethics.2017..57.129","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12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빠른 다문화적 변화와 그에 알맞은 도덕규범의 형성에 관심을 둔다. 이에 따라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교과의 중요한 주제로 설정한 초등학교 도덕과의 다문화교육 실태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관을 도입하여 현재의 다문화교육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도덕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테일러의 광범위한 이론 중에서 자아, 최고선이라는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논의를 집약하여 논의의 틀을 형성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드러나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에 대한 관점(인정 수준), 다문화에 대한 대화의 장 형성 가능성 및 다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 등을 점검하였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8845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사이코패스(psychopath)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해와 치유 및 도덕 향상으로서의 초등도덕교육 作为对精神变态者的神经生物学理解和治愈以及道德提高的初级道德教育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297
박형빈
{"title":"사이코패스(psychopath)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해와 치유 및 도덕 향상으로서의 초등도덕교육","authors":"박형빈","doi":"10.17282/ethics.2017..57.297","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297","url":null,"abstract":"사이코패스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사회 규범을 준수하지 않으며, 공격성을 보이고, 공감 및 양심의 가책을 갖지 않는다. 그들은 편도체, 전두엽 피질, 측두엽, 해마, 뇌량 등의 뇌 구조에서 결함을 보인다. 또한 반도덕적인 성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에서 주목된다. 어른 사이코패스의 성격과 행동은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까지 추적 가능하다. 어린 사이코패스는 쉽게 거짓말을 하고 결과를 의식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공격적이고 타인의 권리를 무시한다. 초등학교현장에서 어린 사이코패스에 대한 치유 및 예방으로 다음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어린 사이코패스에 대한 신중한 관찰과 이들에 대한 교육적 노력을 기울인다. 둘째, 합리적이고 정서적인 의사 결정 활동을 격려한다. 셋째, 아동이 서로의 눈에 집중하도록 요청함으로써 타인의 존재를 인식 및 존중하고 느끼도록 돕는다. 넷째, 정서학습을 통해 타인의 정서에 민감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째, 정서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공격성 및 폭력성을 조절하도록 제재하고 및 격려한다. 마지막으로, 잘못된 행동 및 성향을 바람직한 모습으로 변화시키려는 의지를 갖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활동은 도덕성 발달을 위한 기본 요소를 제공하기에 어린 사이코패스와 같은 일부의 아이들에게는 치유적 도덕교육 활동이, 일반 아이들에게는 도덕교육 활동이 될 수 있다. 신경생물학 측면에서의 사이코패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공감 향상 도덕교육은 하나의 치유 행위인 동시에 도덕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1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8550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Meaning of Carl. G. Jung’s Archetypes and Symbols: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卡尔的意义。荣格的原型与符号:对道德教育的启示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327
Y. Park
{"title":"The Meaning of Carl. G. Jung’s Archetypes and Symbols: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authors":"Y. Park","doi":"10.17282/ETHICS.2017..57.327","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327","url":null,"abstract":"","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9661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 of ‘Beauty’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试论小学德育中的“美”教育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349
Lee Chul Ju
{"title":"An Inquiry into the Education of ‘Beauty’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authors":"Lee Chul Ju","doi":"10.17282/ETHICS.2017..57.349","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349","url":null,"abstract":"","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4598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도덕적 지식과 도덕성 발달의 관계: 스피노자적 관점 道德知识与道德发展的关系:斯宾诺莎观点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193
박준식
{"title":"도덕적 지식과 도덕성 발달의 관계: 스피노자적 관점","authors":"박준식","doi":"10.17282/ETHICS.2017..57.193","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193","url":null,"abstract":"이 글의 목적은 스피노자의 존재 이해와 선악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성의 존재 방식 및 도덕적 지식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선악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는 스피노자에 의하면, 선악은 본성에 붙박혀 있는 신성(神性)을 실현하려는 욕망(cupiditas)을 지닌 인간의 방편이다. 이때의 선(도덕적 지식)은 신에 대한 앎을 의미하며, 이것의 획득은 직관지의 자각에 의해 가능하다. 즉, 형이상학적 성격의 도덕적 지식은 직관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스피노자에 의하면, 신적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결정된 존재로서의 인간은 각자 도덕적 지식을 획득한 수준에서 선을 욕망하며, 이 욕망이 곧 한 인간의 존재 방식이다. 이 점에서, 도덕적 지식(직관지)은 인지, 정의, 행동을 포괄하는 하나의 총체로서의 도덕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총체로서의 도덕성은 지식의 교육을 통해 발달 가능하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62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1065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10세 아동 수준의 도덕적 인공지능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인공지능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 以人工智能发展为中心的10岁儿童道德人工智能预备研究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105
김은수, 변순용, 김지원, 이인재
{"title":"10세 아동 수준의 도덕적 인공지능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인공지능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authors":"김은수, 변순용, 김지원, 이인재","doi":"10.17282/ETHICS.2017..57.105","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10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소셜케어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10세 아동 정도의 도덕적 판단능력을 갖춘 인공지능(Artificial Moral Agent) 모듈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AMA의 실제적인 윤리적 판단능력 확인을 위한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10세 아동의 도덕적 능력을 상정하여 그것을 토대로 AMA의 도덕적 판단능력의 발달 경로를 예측ㆍ설정해 보고, 그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AMA의 도덕판단 모듈을 개발하고, 그 실제적인 판단능력의 확인을 위한 실제 10세 아동과의 비교연구를 위한 실험을 설계하여 실시해 보고, 그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9819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도덕성 함양과 초월의 관계에 비추어 본 도덕과 교육과정의 의의와 한계 从道德修养与超越的关系来看,道德与教育过程的意义与界限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219
박현진
{"title":"도덕성 함양과 초월의 관계에 비추어 본 도덕과 교육과정의 의의와 한계","authors":"박현진","doi":"10.17282/ETHICS.2017..57.219","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219","url":null,"abstract":"도덕성 함양은 인간의 삶 및 인간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는 수직적 측면의 초월성을 수평적 측면의 초월을 통해 일깨움으로써 원리로서의 도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며 성품으로서의 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덕과 교육이 도덕성 함양이라는 본질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인간으로 하여금 현실 문제를 넘어 인간 존재와 세계를 수직적 측면의 초월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세계와 인간 존재 및 그것을 그렇게 존재하도록 하는 도덕에 대한 외경심을 형성하기에 힘써야 한다. 2007 개정 이후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은 도덕과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기 위해 도덕과의 성격을 재규정하고 영역을 새롭게 구성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도덕과에서 초월을 직접 다루는 일은 아직도 시작 단계에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오류를 보완하고 이론적 바탕을 튼튼히 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6013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Is Neuroscience a Hope of Moral Education 神经科学是道德教育的希望吗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9-01 DOI: 10.17282/ETHICS.2017..57.265
Sangbum Kim
{"title":"Is Neuroscience a Hope of Moral Education","authors":"Sangbum Kim","doi":"10.17282/ETHICS.2017..57.265","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7.265","url":null,"abstract":"","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1738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Discussion Instruction Models 道德讨论教学模式的比较分析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6-01 DOI: 10.17282/ethics.2017..56.1
Kim Hang-In
{"title":"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Discussion Instruction Models","authors":"Kim Hang-In","doi":"10.17282/ethics.2017..56.1","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6.1","url":null,"abstract":"","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1691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광주교육대학생들의 통일의식에 관한 연구 -통일교육선도대학 선정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光州教育大学学生统一意识的研究——以统一教育先导大学选定前的比较为中心——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Pub Date : 2017-06-01 DOI: 10.17282/ETHICS.2017..56.155
임현모
{"title":"광주교육대학생들의 통일의식에 관한 연구 -통일교육선도대학 선정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authors":"임현모","doi":"10.17282/ETHICS.2017..56.155","DOIUrl":"https://doi.org/10.17282/ETHICS.2017..56.155","url":null,"abstract":"한반도 주변정세나 남한 내부갈등 양상이 구한말에 비유되는 현 상황에서 젊은이들의 통일의식은 무관심하고 부정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많고, 본 연구자의 2011년도 조사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였다. 마침 본 연구자의 대학이 통일교육선도대학으로 선정된 지 1년차가 됐고, 그간 많은 노력을 했기에 결과가 궁금해 연구했다. 결과는 여전히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이었다. 정부의 통일교육 의지나 사드배치도 부정적이었고 전쟁 시 참전의사도 미약했다. 원인은 복합적이겠으나 북한의 위협과 남북관계 긴장지속, 대북정책 변동심화, 정부정책과정 불신, 개인주의 심화, 언론의 부정적 태도 등으로 학교통일교육의 한계를 보였다. 정부의 의지, 정파를 초월한 지속가능한 통일교육 환경, TV 등 언론의 긍정적 역할이 요구된다.","PeriodicalId":331841,"journal":{"name":"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volume":"10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3737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