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
{"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doi":"10.5657/KFAS.2020.002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027","url":null,"abstract":"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27-3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43863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stablishment of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and Wrinkle Improvement Evaluation of Glycosaminoglycans in Styela plicata","authors":"T. A. Neri, B. Choi","doi":"10.5657/KFAS.2020.071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717","url":null,"abstract":"우리나라의 기능성 원료 개발은 최근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 여 고부가가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집중되고 있다 (Kim and Byun, 201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한 기능성 효능을 가진 원료의 개발은 주로 육상식물 자원에서 추출 및 분리되어 왔다. 육상동물을 이용한 원료는 최근에 발생한 광우병, 조류독 감, 구제역 등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로 그 이용이 매우 제한적 인 상황이다. 이러한 자원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 자원을 이용한 원료개발이 매우 절실한 때이다. 육상자원에 비 해 훨씬 많은 생물을 보유한 해양자원에 대한 고부가가치 소재 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어 왔으 나, 육상생물자원의 고갈문제로 인한 수요한계 해결 및 이를 대 체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써 최근 많은 관심 속에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Oh and Jung, 2015). 해양에 생존하고 있는 30,000 종 이상의 어류를 포함한 해양자원은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물 질의 탐색자원으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식품산업 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의약산업 분야의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 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Jung, 2017).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 부의 자극, 장애, 건조 등의 환경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 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 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Lim et al., 2012). 진피층의 섬 유아세포는 진피층의 섬유상 단백질인 collagen과 elastin의 발 현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 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collagen과 elastin 등 오만둥이(Styela plicata)에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및 주름개선 효능","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4 1","pages":"717-72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3594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 Cho, Dong Wook Kim, H. J. Yu, S. Cho, A. Ryu, Ka Jeong Lee, J. Mok
{"title":"Validation of LC-MS/MS Method for Analysis of Paralytic Shellfish Toxins in Shellfish and Tunicates","authors":"S. Cho, Dong Wook Kim, H. J. Yu, S. Cho, A. Ryu, Ka Jeong Lee, J. Mok","doi":"10.5657/KFAS.2020.017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7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4 1","pages":"174-18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64797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easoned Laver with Concentrated Cooking Oyster Effluent Using RSM","authors":"S. Kang, Jung Suck Lee, M. Heu, Jin-Soo Kim","doi":"10.5657/KFAS.2020.015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56","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3 1","pages":"156-16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7287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Y. Choi, J. Choi, Hae-Won Lee, J. Jeong, H. Kim, Do-Gyun Kim, S. Jin, G. Baeck
{"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Y. Choi, J. Choi, Hae-Won Lee, J. Jeong, H. Kim, Do-Gyun Kim, S. Jin, G. Baeck","doi":"10.5657/KFAS.2020.010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07","url":null,"abstract":"황돔(Dentex tumifrons)은 농어목(Perciformes)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온대성 어류로 우리나라 중·남부해, 일본 중부 이남 해역, 동중국해 및 타이완 북부 해역의 대륙붕 연변부에 분포하는 저서정착성어류이다(Chyung, 1977). 황돔의 산란장 은 분포해역과 동일하며, 연중 2회 산란하고, 여름에는 얕은 곳 에 서식하다가 겨울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계절회유를 한다 (Kim et al., 2004). 황돔은 저인망 어업에서 중요한 어획 대상 종으로 수산자원으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돔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태학적 연 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황돔의 생태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식성 (Kim et al., 2012)이 있고, 국외 연구로는 연령과 성장(Oki and Tebeta, 1998), 생식생태(Yoda and Yoneda, 2002; Tominaga et al., 2005; Liao et al., 2009) 등의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 대부분은 동중국해와 일본 등에 집중되어 있어 국내 연안해역 에서 출현하는 황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장의 어업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 며, 수산자원의 생태특성 및 자원 또한 변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연근해에 서식하는 황돔의 효율적인 자원관리 방안과 신뢰도 높은 자원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 는 황돔의 자원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성비, 산란기, 포란수, 성숙체장(total length, TL) 등의 파라메터를 제공하여 황돔의 성숙과 산란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6 1","pages":"107-11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0418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Egg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from Chilsan-do Island, Jeollanam-do, Korea","authors":"Seo-Ha Jang, Jin-Koo Kim, J. Ryu","doi":"10.5657/KFAS.2020.065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650","url":null,"abstract":"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는 농어목(Perciformes) 민어 과(Sciaenidae)에 속하는 해양 저서어류로서 우리나라의 서·남 해, 발해만, 동중국해의 수심 40-200 m의 바닥이 모래나 뻘인 해역에 서식하는 연안 회유성 어류이다(Baik et al., 2004; Eschmeyer et al., 2019). 참조기의 산란기는 3-6월로, 우리 나라 근해에서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제주도 서남부에서 월동 한 후 3-4월부터 황해 연안으로 북상 회유를 시작하여 4월에는 칠산도, 5-6월에는 연평도 근해까지 회유하며 산란을 마친 후, 외해로 이동하여 10월 하순부터 남하하여 11월 이후에는 월동 장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ang et al., 1992; Baik et al., 2004; Lee et al., 2013). 참조기는 한국, 중국 등 동북아시 아의 연근해 어업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다. 한국의 참조기어장은 전라남도 칠산도, 경기도 연평도 부근 이 가장 대표적인 어장이었다. 특히 전라도의 칠산어장은 조선 시대부터 최대의 참조기어장으로 유명하였으며, 법성포를 중 심으로 굴비 가공업이 발달하였다(Park, 2012). 그러나, 최근에 는 수온상승과 같은 해양환경의 변화, 남획 등으로 제주도 근해 의 추자도 주변과 전라남도 흑산도 부근으로 주 어장이 이동하 고 있다(Park, 2012). 전라남도 영광군 칠산도 주변 연안은 제주 주변해역에서 월동 한 참조기가 산란을 위해 북상하는 길목에 위치하며, 예로부터 참조기의 주 산란장으로 유명한 지역이었다(Park, 2012; Lee et al., 2013). 그러나 최근 간척사업, 영광원전 건립 등으로 유입되 는 담수의 양이 변화하고 주변 환경이 크게 변해 칠산도 주변 연 안의 어획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나아가 참조기 산란장 기능이 있는지 의문시 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참조기에 대 한 연구로는 성장(Hwang and Choi, 1980; Kim et al., 2006), 생식생태(Kang et al., 2006; Han et al., 2010; Lim et al., 2010), 전라남도 칠산도 주변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란 출현의 첫 보고 장서하·김진구*·유정화","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5 1","pages":"650-65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35280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Brown Alga Sargassum horneri","authors":"J. Koo, Seong-sun Jeong","doi":"10.5657/KFAS.2020.068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681","url":null,"abstract":"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681-68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3990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uppress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Globefish Takifugu obscurus Homogenate","authors":"Junghoon Kim, Junghoon Kim","doi":"10.5657/KFAS.2020.0878","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878","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9 1","pages":"878-88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3345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mino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utant Pyropia yezoensis","authors":"Jong-il Choi","doi":"10.5657/KFAS.2020.052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524","url":null,"abstract":"김(Pyropia)은 식물분류학상 홍조식물문의 원시홍조강, 김목, 김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5,000만 속 이 생산되고 있다. 김은 미역, 다시마와 함께 대표적인 양식 생 산되는 해조류이며, 우리나라 외에도 일본, 중국 등 일부 아시 아 국가에서 양식되고 있다(Hwang and Park, 2020). 우리나 라에서 김 양식은 1600년대부터 시작되었고(Hwang and Park, 2020), 우리나라와 일본에 양식되고 있는 김의 대부분은 방사 무늬김(Pyropia yezoensis)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9). 김은 영양학적으로 열량은 매우 낮으면서 비타민 A와 C, B1, B2 , E와 칼륨과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소화성의 점질성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Kim et al., 2014; Jung et al., 2016). 김의 일반성분으로 탄수화물은 약 45%, 단백질은 약 40%, 지질성분은 약 1-3% 차지하고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2013). 수용성 다당류 중 포피 란(porphyran)은 혈청과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작용 이 보고되어 있다(He et al., 2019; Liu et al., 2019). 이러한 다양 한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김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관 심이 고조되어 2019년 기준으로 26,951톤, 약 579,220천불의 수출액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방사무늬김의 경우 대부분 일본 품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부터 해조류 분 야에서도 식물신품종제도(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가 시행이 되어, 이에 대 비하여 다양한 국산 김 품종의 개발이 이루어졌다(Hwang et al., 2019; Hwang and Park, 2020). 김 품종의 개발을 위한 방 법으로는 선별, 교잡, 그리고 돌연변이 육종 등이 사용되고 있 다. 이 중에서 돌연변이 육종법은 김 엽체나 사상체에 물리적 또 는 화학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후, 생존한 개체들 중에서 우 수한 특성을 갖는 돌연변이 종을 선별하는 방법이다. 최근 방 사무늬김에 ethyl methanesulfonate (EMS), 또는 감마선을 처 리하여 우수한 성장 특성을 지닌 돌연변이 방사무늬김이 보고 되었다(Lee and Choi, 2018; Park and Choi, 2020; Tran and Choi, 2020). 이 외에도 다양한 신 품종 김 종자들이 개발되어 방사선 돌연변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15 1","pages":"524-52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77325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