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沿海水域小须鱼的成熟和产卵

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
{"title":"韩国沿海水域小须鱼的成熟和产卵","authors":"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doi":"10.5657/KFAS.2020.0027","DOIUrl":null,"url":null,"abstract":"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27-3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doi\":\"10.5657/KFAS.2020.0027\",\"DOIUrl\":null,\"url\":null,\"abstract\":\"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27-3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马齿鱼俗称“鼠齿”或“鼠鱼”,韩国水产统计研究院从1975年开始分类标记为单一品种,捕获量为81,397吨(M/T),从1979年的23,298吨(M/T)达到最高水平,1981-1983年保持17-18万吨的捕捞水平;当时作为单一品种,约占近海总生产量的12% (Park, 1985)。但是目前统计厅的国家统计门户(kosis)据说老鼠的单独记录没有被老鼠值类捕鱼量统计、记录,确切地说什么时候开始值和老鼠老鼠类是否已经更改了捕捞记录不可,鼠奇类捕捞中大部分都说值被视为(nifs, 2017)。马齿苋(Thamnaconus modestus)分布于包括我国全沿岸、北海道在内的日本、南中国海、南非,从分类上看是腹鱼目鼠,我国有Aluterus monoceros、Rudarius ercodes包括Stephanolepis cirrhifer在内的9属11种(Kim et al. 2005)。老鼠值类的年捕捞量在1990年的23万吨,1991年以6万9千吨急剧减少后持续下降,1994年有4千吨以减少,1997年的1万6千吨,有所增加后减少趋势,最近5年(2014 - 2018),平均每年捕捞量是2 035吨以1980年初期相比,减少了1 / 100的水平,(fig。1)整体捕鱼量所占的比重为0.2%,与当时的12%相比捕鱼量明显减少(KOSIS, 2019)。杨格and -(2013)的研究显示,老鼠值类(说老鼠值)的捕捞量减少的原因,气候变化和家庭着滥捕,特别在1990 - 1993年的全球气候变化带来的理由主要元末老鼠奇(thamnaconus modestus)的成熟和产卵崔桢、전복순、金载沅、李政勋、임양재李海源*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
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