褐藻角马尾藻多糖的分离及特性研究

J. Koo, Seong-sun Jeong
{"title":"褐藻角马尾藻多糖的分离及特性研究","authors":"J. Koo, Seong-sun Jeong","doi":"10.5657/KFAS.2020.0681","DOIUrl":null,"url":null,"abstract":"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681-687"},"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Brown Alga Sargassum horneri\",\"authors\":\"J. Koo, Seong-sun Jeong\",\"doi\":\"10.5657/KFAS.2020.0681\",\"DOIUrl\":null,\"url\":null,\"abstract\":\"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681-687\"},\"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6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6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镐头帽斑(Sargassum horneri)是一种一年生褐藻,属于帽斑(Sargassaceae),广泛分布于国内沿岸及日本和中国沿岸。海藻斑形成海中林,作为水产动物的栖地起着重要作用,但往往叶体脱离基质,形成大量浮游性海藻带。国内也在全南新安、济州岛沿岸发生了大量镐头帽斑浮游性油槽,不仅给养殖场带来了损失,还给海边带来了恶臭和景观损害等诸多问题(Hwang et al., 2016)。镐头帽斑在国内几乎不作为食品消费,因此大部分被废弃,但是最近为了提高镐头帽斑的利用性,进行了乙醇(Jung et al., 2017)、无机物供给源(Jun et al., 2011)、抗氧化活性(Boo et al., 2020)等多种研究。褐藻类含有大量的碳水化合物和灰分,特别是含有大量的水溶性多糖褐藻酸和胡桃丹,被用作食品添加剂和功能性食品材料(Koo et al., 1995)。alginsan的pre-biotic特性、自由拉迪卡尔消减作用等功能正在增强(Mazumder et al., 2016), hoocodan的宇越阳保护作用(Shibata et al., 1999;2003年)等,很有可能被用作海藻由来功能性材料。本研究为了研究在国内沿岸开采的镐头帽斑油的使用方案,调查了镐头帽斑的化学组成,并提取精制褐藻酸和胡科丹,调查了理化特性。从镐头帽斑中提取的多糖的理化特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Brown Alga Sargassum horneri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