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 Analysis of Budget Constraints and Profit Efficiency of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mpanies : Focusing on listed Companies in Korea","authors":"Yeon-Gyeong Shin, Sang-Mok Kang","doi":"10.22558/jieb.2023.8.36.4.625","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2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예산제약 하의 이윤효율을 측정하고 이를 내부적 요인으로 분해한다는 점에 있다. 예산 제약과 비제약을 모두 다루면서, 이윤과 가변 투입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는 최초의 시도라는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측정 결과,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의 예산제약하의 이윤효율인 EPE의 평균은 0.589이며, 재무효율은 FPE는 0.893, 전체 효율은 OPE는 0.514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은 예산의 제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산의 감축이 이윤과 노동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였을 때, 전체 평균으로 살펴본 바, 5% 예산을 감축할 경우 이윤은 약3.23% 정도 감소하고, 10%로 예산을 감축할 경우 6.35% 수준으로 최대이윤이 감소하였다. 더불어, 노동에 대한 영향은 5% 예산을 감축할 경우 노동은 약 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로 예산을 감축할 경우에는 7.63% 수준으로 노동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예산제약에 따른 이윤과 노동의 효율성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은 기업내부 측면에서의 운영 프로세스 등을 개선하고, 정부 차원에서의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alysis of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Performing Arts Using Shift-share Analysis, Dynamic Growth Rate Analysis, DEA and BCG Zoo: Focusing on Traditional Music, Western Music, Theatre and Dance","authors":"Kwang-Bae Lee","doi":"10.22558/jieb.2023.8.36.4.605","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05","url":null,"abstract":"우리나라의 취약한 공연예술시장은 covid-19 쇼크로 크게 위축된 가운데 지역 간 편중이 대단히 심각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악공연, 양악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의 지역 간 격차 발생 요인과 효율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은 서울, 강원,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제주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연예술의 변동요인은 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경쟁력은 공간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효율성 격차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경쟁력이 전라 지역의 관객수 증가로 작용하며, 전라는 연극공연에서 서울, 강원, 충청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무용공연에서 경기/인천에 대해 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양악공연에서 경기/인천, 충청, 경상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국악공연에서 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경상에 대해 우위를 가짐을 보인다. DEA를 적용하여 전라는 4개 공연예술부문에서 효율성이 가장 낮으며, covid-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것과 BCG분석을 통해 전라 지역이 dogs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eveloping a Container Shipping Investor Sentiment Index","authors":"Janghan Kwon, Juhyeoun Kim, Woongjae Shin","doi":"10.22558/jieb.2023.8.36.4.563","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56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비관측적 요인인 투자심리를 측정하고, 투자심리가 운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시장 기대, 가치평가, 유동성에 해당하는 대용 변수를 선정한 후, 주성분 분석을 통해 투자심리지수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투자심리가 운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과 예측오차 분산 분해, 역사적 요인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투자심리충격은 컨테이너 운임 변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시장이 호황일수록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측오차 분산분해 및 역사적 요인분해결과에 의하면 투자심리충격은 운임 변동에 높은 기여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가 운임 변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Jung-Yong Yoon, Kwi-Byeong Yun, Jong-Hyeon Song, Hun-Sang Lee
{"title":"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Role of Regulating Absorption Capacity -","authors":"Jung-Yong Yoon, Kwi-Byeong Yun, Jong-Hyeon Song, Hun-Sang Lee","doi":"10.22558/jieb.2023.8.36.4.725","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72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영향력을 흡수역량이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전문기관인 기술보증기금에서 직접 평가한 5,239개 업체의 기술평가 및 재무정보 자료등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BR분석 결과 연구개발역량, 기술축적역량 및 기술혁신체계로 구성된 기술혁신역량이 특허건수로 측정된 기술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적된 기술자원 및 기술력의 수준인 기술축적역량이 기술성과 향상의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흡수역량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금액의 비중인 R&D집약도는 기술혁신역량을 강화시켜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또 하나의 흡수역량인 기술인력비율(총근로자수대비 연구개발인력의 비율)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음(-)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BR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기업등이 모방하기 어려운 차별적인 기술인 특허권등 지식재산권의 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R&D인력 보다는 지속적인 기술개발 실적등의 기술축적역량과 함께 외부기술의 도입 및 이전 등의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R&D집약도 수준을 높혀 기술혁신역량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흡수역량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혁신 전략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Effect of High-Performance HRM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authors":"ChangBong Kim, SangWook Han","doi":"10.22558/jieb.2023.8.36.4.669","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6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인사노무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요인이 기업가 혁신성에 따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노동정책이나 인사노무 분야는 여느 때보다 큰 변화를 맞고 있어 인적자원관리에서 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높아지는데 반하여 기업가의 혁신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기술적 부분이나 시장지향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인적자원관리와 연결하여 기업가 혁신성에 주목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은 중소기업기업가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SmartPLS3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가가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도 기업가 혁신성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BR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 중에서 폭넓은 훈련과 성과기반 보상은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과지향 평가는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기업가 혁신성은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와 인적자원관리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동정책, 조직문화, 근무방식이 급변하는 인사노무 환경에서 혁신을 필요로 하는 기업가들과 정책기관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적자원관리 체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기업가들은 교육훈련 지원제도 및 평가보상 컨설팅 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nhanci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Retail Shop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The Role of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Moderated by Age","authors":"Sangyung Lee","doi":"10.22558/jieb.2023.8.36.4.697","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97","url":null,"abstract":"최근 셀프서비스 기술을 도입한 점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기술을 통한 소비자 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셀프서비스 기술의 사용 동기와 지각된 서비스 품질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국내에서 셀프서비스 기술을 경험한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셀프서비스 기술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가 셀프서비스 기술을 사용하는 점포의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셀프서비스 기술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실용적/쾌락적 가치는 대부분 유형성, 대응성, 공감성 서비스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들 서비스 품질은 소비자 만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비자의 연령에 따라 실용적/쾌락적 가치와 서비스 품질의 관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셀프서비스 기술 이용 소비자의 실용적/쾌락적 가치와 서비스 품질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셀프서비스 기술을 사용하는 점포에서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령을 포함한 소비자 특성에 따라 보다 세심하고 차별화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7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the Pricing Process among Dollar Futures, Yen Futures and Euro Futures in the Currency Futures Market","authors":"Sung-Soo Hwang, Yong-Kyun Lee","doi":"10.22558/jieb.2023.8.36.4.755","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75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통화선물시장에 상장된 통화선물 중 달러선물과 엔선물, 유로선물의 가격결정 과정의 상호작용 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분석대상 기간을 2016.1.4. ~ 2022.12.으로 선정하여 개별 통화선물 수익률 1,720개를 사용하여 현재시점의 달러선물과 엔선물, 유로선물 수익률을 내생변수인 종속변수로 과거 시점의 개별 통화선물 수익률 시차변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3×1 VAR모형과 충격반응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3×1 VAR모형 분석 결과 우리나라 통화선물시장의 달러선물과 엔선물, 유로선물은 모두 과거 -1차 시점의 자신의 수익률에 각각 -0.0609, -0.0626, -0.17396로 부(-)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달러선물의 경우 유로선물이 -1차 시점에서 달러선물에 -0.06895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선물의 경우 달러선물이 -3차 시점에 -0.10476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로선물의 경우 -3차 시점에서 0.104627로 엔선물의 가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선물의 경우 달러선물의 -2차 시점은 유로선물에 0.07687로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엔선물이 경우 유로선물의 가격결정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함수분석결과는 달러선물과 엔선물, 유로선물 모두 과거 자신의 충격에 가장 크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달러선물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화선물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엔선물과 유로선물에서 발생한 충격은 일정 시차를 두고 다른 통화선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통화선물시장에서 통화선물간 가격결정 과정의 상호작용 관계가 규명되어 통화선물을 이용한 헤지 및 금융상품으로서의 투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Degree of Stock Market Interdependence between the U.S. and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authors":"Lu Jia, Jawook Baek","doi":"10.22558/jieb.2023.8.36.4.651","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51","url":null,"abstract":"2020년에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19 전염병이 전세계 사람들의 생명과 건강에 해를 끼치는 동시에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글로벌 금융 통합의 급속한 발전으로 어느한 나라의 주식 시장이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으며 글로벌 주식 시장 간의 상호 의존성이 더욱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동안 세계 경제의 양대 축인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서로 다른수준의 손실을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증시와 중국 상하이 증시, 중국 홍콩 증시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 대표적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나스닥종합지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그리고 중국 홍콩 항셍지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2020년 1월 2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4개 지수의 일일 종가 로그 수익률을 비교 및 분석을 위한 연구 데이터로 선택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VECH-GARCH 모델을 사용하여 코로나19의 특정 시기 동안 미국과 중국 주식시장의 상호의존성을 조사했다. ARCH모형결과에 의하면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모두 자신의 전기 변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의 변동은 중국 본토와 중국 홍콩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 간에는 변동성 파급효과와 상호의존성이 있지만, 이러한 상호의존성의 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상하이 증시보다 중국 홍콩 증시가 미국 증시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중국증시의 변동성이 미국 증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않게 나타난 것은 중국의 변동성은 중국내의 문제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stimation of the Price Elasticity of Medical Demand : An Aspect of Cold and Heart Disease","authors":"Yong-Chan Cho, Sang Young Jei","doi":"10.22558/jieb.2023.8.36.4.585","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585","url":null,"abstract":"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과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이 악화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의 당기수지가 적자로 전환되고, 누적적립금이 지속적으로 소진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건강보험의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1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감기와 심장질환을 주 상병으로 하는 소비자의 의료이용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비교 및 분석한다. 감기는 경증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심장질환은 중증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특정한 질병을 주 상병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추정함에 있어 편의의 발생을 최소화 하였다는 것에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가 아닌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추정량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감기를 주 상병으로 하는 의료이용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018정도로 추정되었고, 심장질환을 주 상병으로 하는 의료이용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기와 같은 경증질환은 본인부담비율을 높여 소비자의 의료이용에 대한 남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심장질환과 같은 중증질환은 본인부담비율을 높이는 것이 아닌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전반적인 건강 수준을 높이는 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20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Measuring Efficiency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n Gyeong-gi Province at the Level of Cities and Counties: Using SFA and DEA Approach","authors":"M. Kim, SangIn Kang","doi":"10.22558/jieb.2023.6.36.3.381","DOIUrl":"https://doi.org/10.22558/jieb.2023.6.36.3.3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44536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