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Degree of Stock Market Interdependence between the U.S. and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authors":"Lu Jia, Jawook Baek","doi":"10.22558/jieb.2023.8.36.4.651","DOIUrl":null,"url":null,"abstract":"2020년에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19 전염병이 전세계 사람들의 생명과 건강에 해를 끼치는 동시에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글로벌 금융 통합의 급속한 발전으로 어느한 나라의 주식 시장이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으며 글로벌 주식 시장 간의 상호 의존성이 더욱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동안 세계 경제의 양대 축인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서로 다른수준의 손실을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증시와 중국 상하이 증시, 중국 홍콩 증시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 대표적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나스닥종합지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그리고 중국 홍콩 항셍지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2020년 1월 2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4개 지수의 일일 종가 로그 수익률을 비교 및 분석을 위한 연구 데이터로 선택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VECH-GARCH 모델을 사용하여 코로나19의 특정 시기 동안 미국과 중국 주식시장의 상호의존성을 조사했다. ARCH모형결과에 의하면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모두 자신의 전기 변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의 변동은 중국 본토와 중국 홍콩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 간에는 변동성 파급효과와 상호의존성이 있지만, 이러한 상호의존성의 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상하이 증시보다 중국 홍콩 증시가 미국 증시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중국증시의 변동성이 미국 증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않게 나타난 것은 중국의 변동성은 중국내의 문제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2020년에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19 전염병이 전세계 사람들의 생명과 건강에 해를 끼치는 동시에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글로벌 금융 통합의 급속한 발전으로 어느한 나라의 주식 시장이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으며 글로벌 주식 시장 간의 상호 의존성이 더욱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동안 세계 경제의 양대 축인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서로 다른수준의 손실을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증시와 중국 상하이 증시, 중국 홍콩 증시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 대표적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나스닥종합지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그리고 중국 홍콩 항셍지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2020년 1월 2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4개 지수의 일일 종가 로그 수익률을 비교 및 분석을 위한 연구 데이터로 선택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VECH-GARCH 모델을 사용하여 코로나19의 특정 시기 동안 미국과 중국 주식시장의 상호의존성을 조사했다. ARCH모형결과에 의하면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는 모두 자신의 전기 변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의 변동은 중국 본토와 중국 홍콩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와 중국 증시 간에는 변동성 파급효과와 상호의존성이 있지만, 이러한 상호의존성의 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상하이 증시보다 중국 홍콩 증시가 미국 증시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중국증시의 변동성이 미국 증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않게 나타난 것은 중국의 변동성은 중국내의 문제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