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Effect of High-Performance HRM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authors":"ChangBong Kim, SangWook Han","doi":"10.22558/jieb.2023.8.36.4.66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인사노무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요인이 기업가 혁신성에 따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노동정책이나 인사노무 분야는 여느 때보다 큰 변화를 맞고 있어 인적자원관리에서 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높아지는데 반하여 기업가의 혁신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기술적 부분이나 시장지향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인적자원관리와 연결하여 기업가 혁신성에 주목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은 중소기업기업가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SmartPLS3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가가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도 기업가 혁신성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BR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 중에서 폭넓은 훈련과 성과기반 보상은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과지향 평가는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기업가 혁신성은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와 인적자원관리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동정책, 조직문화, 근무방식이 급변하는 인사노무 환경에서 혁신을 필요로 하는 기업가들과 정책기관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적자원관리 체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기업가들은 교육훈련 지원제도 및 평가보상 컨설팅 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인사노무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요인이 기업가 혁신성에 따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노동정책이나 인사노무 분야는 여느 때보다 큰 변화를 맞고 있어 인적자원관리에서 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높아지는데 반하여 기업가의 혁신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기술적 부분이나 시장지향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인적자원관리와 연결하여 기업가 혁신성에 주목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은 중소기업기업가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SmartPLS3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가가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도 기업가 혁신성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BR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 중에서 폭넓은 훈련과 성과기반 보상은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과지향 평가는 기업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기업가 혁신성은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와 인적자원관리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동정책, 조직문화, 근무방식이 급변하는 인사노무 환경에서 혁신을 필요로 하는 기업가들과 정책기관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적자원관리 체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기업가들은 교육훈련 지원제도 및 평가보상 컨설팅 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