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运用偏移份额分析法、动态增长率分析法、DEA和BCG动物园分析表演艺术的竞争力和效率——以传统音乐、西方音乐、戏剧和舞蹈为重点","authors":"Kwang-Bae Lee","doi":"10.22558/jieb.2023.8.36.4.605","DOIUrl":null,"url":null,"abstract":"우리나라의 취약한 공연예술시장은 covid-19 쇼크로 크게 위축된 가운데 지역 간 편중이 대단히 심각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악공연, 양악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의 지역 간 격차 발생 요인과 효율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은 서울, 강원,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제주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연예술의 변동요인은 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경쟁력은 공간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효율성 격차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경쟁력이 전라 지역의 관객수 증가로 작용하며, 전라는 연극공연에서 서울, 강원, 충청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무용공연에서 경기/인천에 대해 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양악공연에서 경기/인천, 충청, 경상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국악공연에서 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경상에 대해 우위를 가짐을 보인다. DEA를 적용하여 전라는 4개 공연예술부문에서 효율성이 가장 낮으며, covid-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것과 BCG분석을 통해 전라 지역이 dogs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of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Performing Arts Using Shift-share Analysis, Dynamic Growth Rate Analysis, DEA and BCG Zoo: Focusing on Traditional Music, Western Music, Theatre and Dance\",\"authors\":\"Kwang-Bae Lee\",\"doi\":\"10.22558/jieb.2023.8.36.4.605\",\"DOIUrl\":null,\"url\":null,\"abstract\":\"우리나라의 취약한 공연예술시장은 covid-19 쇼크로 크게 위축된 가운데 지역 간 편중이 대단히 심각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악공연, 양악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의 지역 간 격차 발생 요인과 효율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은 서울, 강원,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제주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연예술의 변동요인은 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경쟁력은 공간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효율성 격차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경쟁력이 전라 지역의 관객수 증가로 작용하며, 전라는 연극공연에서 서울, 강원, 충청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무용공연에서 경기/인천에 대해 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양악공연에서 경기/인천, 충청, 경상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국악공연에서 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경상에 대해 우위를 가짐을 보인다. DEA를 적용하여 전라는 4개 공연예술부문에서 효율성이 가장 낮으며, covid-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것과 BCG분석을 통해 전라 지역이 dogs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6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of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Performing Arts Using Shift-share Analysis, Dynamic Growth Rate Analysis, DEA and BCG Zoo: Focusing on Traditional Music, Western Music, Theatre and Dance
우리나라의 취약한 공연예술시장은 covid-19 쇼크로 크게 위축된 가운데 지역 간 편중이 대단히 심각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악공연, 양악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의 지역 간 격차 발생 요인과 효율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은 서울, 강원,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제주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연예술의 변동요인은 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경쟁력은 공간변이할당분석을, 지역 간 효율성 격차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경쟁력이 전라 지역의 관객수 증가로 작용하며, 전라는 연극공연에서 서울, 강원, 충청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무용공연에서 경기/인천에 대해 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양악공연에서 경기/인천, 충청, 경상에 대해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국악공연에서 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경상에 대해 우위를 가짐을 보인다. DEA를 적용하여 전라는 4개 공연예술부문에서 효율성이 가장 낮으며, covid-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것과 BCG분석을 통해 전라 지역이 dogs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