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Yong Yoon, Kwi-Byeong Yun, Jong-Hyeon Song, Hun-Sang Lee
{"title":"中小企业技术创新能力对技术绩效影响的实证研究——以吸收能力调节作用为中心","authors":"Jung-Yong Yoon, Kwi-Byeong Yun, Jong-Hyeon Song, Hun-Sang Lee","doi":"10.22558/jieb.2023.8.36.4.7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영향력을 흡수역량이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전문기관인 기술보증기금에서 직접 평가한 5,239개 업체의 기술평가 및 재무정보 자료등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BR분석 결과 연구개발역량, 기술축적역량 및 기술혁신체계로 구성된 기술혁신역량이 특허건수로 측정된 기술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적된 기술자원 및 기술력의 수준인 기술축적역량이 기술성과 향상의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흡수역량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금액의 비중인 R&D집약도는 기술혁신역량을 강화시켜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또 하나의 흡수역량인 기술인력비율(총근로자수대비 연구개발인력의 비율)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음(-)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BR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기업등이 모방하기 어려운 차별적인 기술인 특허권등 지식재산권의 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R&D인력 보다는 지속적인 기술개발 실적등의 기술축적역량과 함께 외부기술의 도입 및 이전 등의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R&D집약도 수준을 높혀 기술혁신역량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흡수역량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혁신 전략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Role of Regulating Absorption Capacity -\",\"authors\":\"Jung-Yong Yoon, Kwi-Byeong Yun, Jong-Hyeon Song, Hun-Sang Lee\",\"doi\":\"10.22558/jieb.2023.8.36.4.7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영향력을 흡수역량이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전문기관인 기술보증기금에서 직접 평가한 5,239개 업체의 기술평가 및 재무정보 자료등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BR분석 결과 연구개발역량, 기술축적역량 및 기술혁신체계로 구성된 기술혁신역량이 특허건수로 측정된 기술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적된 기술자원 및 기술력의 수준인 기술축적역량이 기술성과 향상의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흡수역량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금액의 비중인 R&D집약도는 기술혁신역량을 강화시켜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또 하나의 흡수역량인 기술인력비율(총근로자수대비 연구개발인력의 비율)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음(-)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BR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기업등이 모방하기 어려운 차별적인 기술인 특허권등 지식재산권의 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R&D인력 보다는 지속적인 기술개발 실적등의 기술축적역량과 함께 외부기술의 도입 및 이전 등의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R&D집약도 수준을 높혀 기술혁신역량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흡수역량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혁신 전략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PeriodicalId\":16075,\"journ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7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58/jieb.2023.8.36.4.7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Role of Regulating Absorption Capacity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영향력을 흡수역량이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전문기관인 기술보증기금에서 직접 평가한 5,239개 업체의 기술평가 및 재무정보 자료등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BR분석 결과 연구개발역량, 기술축적역량 및 기술혁신체계로 구성된 기술혁신역량이 특허건수로 측정된 기술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적된 기술자원 및 기술력의 수준인 기술축적역량이 기술성과 향상의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흡수역량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금액의 비중인 R&D집약도는 기술혁신역량을 강화시켜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또 하나의 흡수역량인 기술인력비율(총근로자수대비 연구개발인력의 비율)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음(-)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BR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기업등이 모방하기 어려운 차별적인 기술인 특허권등 지식재산권의 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R&D인력 보다는 지속적인 기술개발 실적등의 기술축적역량과 함께 외부기술의 도입 및 이전 등의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R&D집약도 수준을 높혀 기술혁신역량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흡수역량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혁신 전략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