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ritical Reflections on Gentrification","authors":"Yeon-Taek Ryu","doi":"10.21189/jkugs.26.2.9","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9","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여피족, 신중산층, 젠더, 젠트리파이어, 내부 도시, 라이프스타일, 주변부 젠트리파이어, 지대격차, 도시재생, 탈산업도시, 노숙, 게이 젠트리피케이션, 포스트젠트리피케이션, 탈젠트리피케이션, 이중도시, 분열된 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로컬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정치적, 경제적 변화의 산물로 여겨져 왔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은 현대의 사회적 재구조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사회적 측면, 특히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적 재구조화로 인해 발생했다는 주장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질문들을 확장해 볼 가치가 있다. 왜냐하면 사회적 재구조화와 젠트리피케이션을 연결시켜 설명하는 것은 계층 구성의 이슈뿐만 아니라 젠더 이슈도 관련되기 때문이다. 포스트젠트리피케이션 시대에는 보다 더 불균형적으로 개발되고 양극화되고 분리된 도시가 나타날 것이며,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영향력은 감소될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도시는 확실히 부와 빈곤이 공존하는 이중도시 및 분열된 도시이다.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투자의 전례 없는 지리적 이동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설명이 여전히 필요하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2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ndigenous People’s Displacement and Place Attachment in the Suoche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Yantai, China\"","authors":"Wenda Song, Kyonghwan Park","doi":"10.21189/jkugs.26.2.7","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7","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역사지구보존을 위한 중국 옌타이의 소성(所城) 도시재생사업을 사례로 하여 원주민 퇴거의 양상과 결과를 장소애착의 관점에서 비참여적 관찰, 설문조사, 반구조적 인터뷰를 통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원주민은 장소감정, 장소의존성, 장소정체성, 사회적 유대감의 4개 차원에서 뚜렷한 장소애착 경향을 보였다. 소성에 대한 퇴거 경향은 생활비와 관련된 경제적 요인, 이웃 관계로 구성된 사회적 유대감, 개인 및 지역 역사성의 연속적 내면화의 차원과 연관되어 있었다. 도시재생사업으로 인한 퇴거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에서의 인구학적 이동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한 원주민의 정신적, 심리적 측면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퇴거의 비물질적, 정신·심리적 문제를 주의 깊게 고려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중국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주체들은 보다 합리적인 도시재생 및 재개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장소애착이 주도하는 주민과 장소의 유대관계를 통해 지역의 역사 및 문화와 연속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2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Urban Leisure as a Nature-based Solution: A Case Study of Equestrian Tourism in Korea","authors":"Jina Kim","doi":"10.21189/jkugs.26.2.5","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후위기 및 포스트팬데믹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자연 환경 보호에 대한 도시민들의 관심이 관광 및 여가 현상에도 반영되는 경향에 주목하여, 도시 여가 산업의 NBS 전략이 가지는 영향력과 의의를 국내 승마관광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승마관광은 자연을 기반으로 인류 건강에 혜택을 주는 레저스포츠 기반 관광으로서 긍정적인 NBS의 한 유형으로 논의되고 있다. 연구 결과, 국내 승마관광은 여러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자연 속에서 심리적, 감성적으로 다양한 긍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주로 여행지에서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으로 향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포츠 기반의 관광 및 여가 전략은 사람들에게 도시 근교 자연을 지속가능하게 보존,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자연으로부터 얻는 혜택을 직접적으로 체감하게 함으로써 자연환경의 필요성을 깨닫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승마관광이 단지 ‘가축의 관리와 활용’ 이상으로 자연기반해법의 레저스포츠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도시 여가산업으로 육성할 당위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s the Ageing Society a Social Problem? Ageing from the Complexity Perspective","authors":"Yong Gyun Lee","doi":"10.21189/jkugs.26.2.1","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1","url":null,"abstract":"21세기 세계 인구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은 고령화일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인구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를 단순히 사회적 문제가 아닌 복잡한 인구학적 변화의 산물로 바라보면서, 복잡성 사고를 통해 고령화를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는 단순히 고령인구의 증가가 아닌, 장기적이고 복잡한 인구학적 요소와 사회적 변화의 힘들이 결합된 결과이다. 둘째, 고령화는 시대와 장소, 개인과 집단의 상황과 위치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됨에 주목해야 하며, 복잡성 사고는 고령인구를 다양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관점을 제공한다. 셋째, 인구변화로 서 고령화는 인류의 공동-진화적 진보가 생산한 시대적 산물이며, 매우 복잡하고 자기조직적인 사회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Nexus of Strategic Coupling and Brand Origination: A Case Study of Localized Brand-Name Company Chungbuk Soju","authors":"Bogyeong Yoon, Jae-Youl Lee","doi":"10.21189/jkugs.26.2.6","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6","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충북 지역 소주 브랜드의 일대기에 관한 글이다. 탈규제화, 인수·합병, 기업의 공간적 조직 변화 때문에 난관에 부딪힌 지역착근형 브랜드 오리지네이션이 이야기의 핵심이다. 이런 이야기가 중요한 이유는 브랜드와 기업 조직 간의 변증법적 관계에 주목하지 않는 기존 브랜드 지리학 분야의 공백을 채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경험적 탐구에서는 우선 희석식 소주 산업 생산 네트워크의 조직적 특성을 투입, 산출, 공정의 표준화를 중심으로 살핀다. 그리고 충북 지역 소주 브랜드에 집중해 브랜드 오리지네이션의 진화 과정이 브랜드네임(brand-name) 기업의 전략적 커플링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된 사실도 밝힌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지역 소주 브랜드 부흥과 재생의 성과가 2010년대 이후에는 지탱하기 어렵게 된 점을 부각한다. 대기업에 수직적으로 통합된 내부조정과 약화된 지역수준의 외부교섭 역량으로 인해서 브랜드의 지리적 결합과 오리지네이션에 혼란이 가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적 발견을 근거로, 생산 네트워크 이론과 브랜드 지리학의 성찰적 재고찰과 재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한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Urban Shrinkage: A Bibliometric and Thematic Approach","authors":"Minju Lee, Yilsoon Paek","doi":"10.21189/jkugs.26.2.2","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도시축소 연구의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Web of Science의 핵심 컬렉션에서 서지 정보를 추출하여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도시축소 연구들의 서지정보를 추출하였으며, 국제 연구는 총 358개, 국내 연구는 43개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도시축소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빈집, 인구사회학적 변화, 경제적 쇠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계량서지학분석 중 세부 분석으로 연구 주요 키워드 빈도수를 보여주는 동시 출현 네트워크(co-occurrence network), 중심성과 밀도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전략적 다이어그램(strategic diagram), 3개의 지표를 연결하여 관계망을 보여주는 생키 다이어그램(sankey diagram)을 활용하여 연구 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초기에는 미국, 유럽 등 서양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수행되었다. 특히 키워드 분석을 통해 2020년 기준으로 중국(China) 키워드가 급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국내 연구들은 주로 도시축소 현상에 대한 분석과 평가, 도시계획 및 정책적 차원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향후 도시축소 현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논의를 폭넓게 전개해나가기 위해서는 축소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와 연구 방법론의 다양성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Pattern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Youth from Local Area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Case Study of Young People from Mokpo and Chuncheon","authors":"Minjoo Kim, Uijin Jeong, Joowon Oh","doi":"10.21189/jkugs.26.2.3","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3","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출신 청년층의 이동·정주 결정 과정과 그 양상을 분석하고, 목포와 춘천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드러난 수도권 지향 인식을 포착하는 것이다. 두 도시 청년들 50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인구·지리·교육적 특성에서 차이를 지녔으나 많은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하였거나 이동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청년들은 서울·수도권의 이점과 수도권-지방 간 격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울에 대한 환상과 동경’, ‘우물안 개구리’ 인식이라는 공통된 서울 지향을 보였다. 두 인식은 서울과 고향에 대한 장소감과 관련되며 청년들의 이동·정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목포와 춘천 청년들이 가진 수도권 지향의 인식적 차원을 조명하고 지방 청년 전체로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Precariat Agency Situated in the Value Chain of Platformized Food Delivery Services: A Case Study of Sachang Area, Cheongju","authors":"Dongpyo Hong, Jae-Youl Lee, Yeon-Taek Ryu","doi":"10.21189/jkugs.26.2.4","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4","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부문의 노동지리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를 위해 분석적 개념으로서 불안계급(프레카리아트)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주시 사창동 일대의 플랫폼 배달서비스 노동자에 대한 집중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불안계급의 노동 조건과 현실에 대한 중요한 통찰의 기반을 마련했다. 불안계급은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서비스 부문의 위태롭고 불안정한 노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구조적 결정론을 당연시하고 사회·공간적 행위성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중심화된 권력 개념에 의존하는 한계도 지닌다. 이 대신 네트워크나 실천 기반의 권력 개념화에 근거하면, 플랫폼화된 배달노동자의 행위성을 무시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행위성은 특히 임금과 노동 조건이 재협상,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노동자의 지역적 착근성과 사회·공간적 네트워크가 그러한 행위성의 획득과 성취에서 중요한 공간적 맥락으로 작용한다. 수도권과 주요 대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배달대행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플랫폼 배달서비스 부문의 가치사슬과 공간적 노동분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랫폼화된 오늘날의 서비스 부문, 보다 일반적으로는 플랫폼 자본주의의 작동을 더욱 잘 이해하려면 공간적으로 맥락화된 불안계급의 행위성에 관한 면밀한 탐구와 검토가 절실해 보인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1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reating Exclusionary Spaces to Enter the Public Sphere: Spatial Strategies of Nepalese Restaurants in a Globalizing Seoul","authors":"Seonyoung Seo","doi":"10.21189/jkugs.26.2.8","DOIUrl":"https://doi.org/10.21189/jkugs.26.2.8","url":null,"abstract":"아시아의 대표적인 이동 형태인 노동 이주는 지역의 도시 다양성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2007년 이후부터 고용허가제를 통해 네팔에서 한국으로의 노동 이주가 증가하자, 서울의 ‘네팔타운’은 급격히 확장되었다. 이 민족 거주지는 다양한 물질과, 문화의 만남 속에서 도시의 풍경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공간적으로 소외된 네팔 이주민들이 더 큰 공공의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의 공공 장소가 되었다. 본 논문은 사회적, 공간적으로 배제된 네팔 출신의 저임금 노동자들이 글로벌 도시 서울에서 어떻게 공공 영역으로 진입하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공공 영역에 접근하기 위한 소외계층의 투쟁을 논의한 Staeheli et al.(2009)의 개념적 틀을 이용해, 네팔 식당들의 배제적 공간 만들기 전략들, 그리고 이러한 배제적 공간이 네팔 이주민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주체성을 배양하고 공공 세계로의 진입을 돕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저임금 네팔 노동자들에게 안전함을 제공하는 도심 속 배제적 공간이 역설적이게도 이들이 글로벌 도시 대중의 일원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2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