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地方青年迁移与定居模式及其对首都圈的认知——以木浦和春川青年为例","authors":"Minjoo Kim, Uijin Jeong, Joowon Oh","doi":"10.21189/jkugs.26.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출신 청년층의 이동·정주 결정 과정과 그 양상을 분석하고, 목포와 춘천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드러난 수도권 지향 인식을 포착하는 것이다. 두 도시 청년들 50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인구·지리·교육적 특성에서 차이를 지녔으나 많은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하였거나 이동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청년들은 서울·수도권의 이점과 수도권-지방 간 격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울에 대한 환상과 동경’, ‘우물안 개구리’ 인식이라는 공통된 서울 지향을 보였다. 두 인식은 서울과 고향에 대한 장소감과 관련되며 청년들의 이동·정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목포와 춘천 청년들이 가진 수도권 지향의 인식적 차원을 조명하고 지방 청년 전체로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attern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Youth from Local Area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Case Study of Young People from Mokpo and Chuncheon\",\"authors\":\"Minjoo Kim, Uijin Jeong, Joowon Oh\",\"doi\":\"10.21189/jkugs.26.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출신 청년층의 이동·정주 결정 과정과 그 양상을 분석하고, 목포와 춘천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드러난 수도권 지향 인식을 포착하는 것이다. 두 도시 청년들 50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인구·지리·교육적 특성에서 차이를 지녔으나 많은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하였거나 이동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청년들은 서울·수도권의 이점과 수도권-지방 간 격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울에 대한 환상과 동경’, ‘우물안 개구리’ 인식이라는 공통된 서울 지향을 보였다. 두 인식은 서울과 고향에 대한 장소감과 관련되며 청년들의 이동·정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목포와 춘천 청년들이 가진 수도권 지향의 인식적 차원을 조명하고 지방 청년 전체로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9/jkugs.26.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9/jkugs.26.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Pattern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Youth from Local Area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Case Study of Young People from Mokpo and Chunche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출신 청년층의 이동·정주 결정 과정과 그 양상을 분석하고, 목포와 춘천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드러난 수도권 지향 인식을 포착하는 것이다. 두 도시 청년들 50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인구·지리·교육적 특성에서 차이를 지녔으나 많은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하였거나 이동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청년들은 서울·수도권의 이점과 수도권-지방 간 격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울에 대한 환상과 동경’, ‘우물안 개구리’ 인식이라는 공통된 서울 지향을 보였다. 두 인식은 서울과 고향에 대한 장소감과 관련되며 청년들의 이동·정주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목포와 춘천 청년들이 가진 수도권 지향의 인식적 차원을 조명하고 지방 청년 전체로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