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cariat Agency Situated in the Value Chain of Platformized Food Delivery Services: A Case Study of Sachang Area, Cheongju

Dongpyo Hong, Jae-Youl Lee, Yeon-Taek Ryu
{"title":"Precariat Agency Situated in the Value Chain of Platformized Food Delivery Services: A Case Study of Sachang Area, Cheongju","authors":"Dongpyo Hong, Jae-Youl Lee, Yeon-Taek Ryu","doi":"10.21189/jkugs.26.2.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부문의 노동지리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를 위해 분석적 개념으로서 불안계급(프레카리아트)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주시 사창동 일대의 플랫폼 배달서비스 노동자에 대한 집중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불안계급의 노동 조건과 현실에 대한 중요한 통찰의 기반을 마련했다. 불안계급은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서비스 부문의 위태롭고 불안정한 노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구조적 결정론을 당연시하고 사회·공간적 행위성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중심화된 권력 개념에 의존하는 한계도 지닌다. 이 대신 네트워크나 실천 기반의 권력 개념화에 근거하면, 플랫폼화된 배달노동자의 행위성을 무시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행위성은 특히 임금과 노동 조건이 재협상,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노동자의 지역적 착근성과 사회·공간적 네트워크가 그러한 행위성의 획득과 성취에서 중요한 공간적 맥락으로 작용한다. 수도권과 주요 대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배달대행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플랫폼 배달서비스 부문의 가치사슬과 공간적 노동분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랫폼화된 오늘날의 서비스 부문, 보다 일반적으로는 플랫폼 자본주의의 작동을 더욱 잘 이해하려면 공간적으로 맥락화된 불안계급의 행위성에 관한 면밀한 탐구와 검토가 절실해 보인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9/jkugs.26.2.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부문의 노동지리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를 위해 분석적 개념으로서 불안계급(프레카리아트)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주시 사창동 일대의 플랫폼 배달서비스 노동자에 대한 집중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불안계급의 노동 조건과 현실에 대한 중요한 통찰의 기반을 마련했다. 불안계급은 플랫폼화된 음식배달 서비스 부문의 위태롭고 불안정한 노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구조적 결정론을 당연시하고 사회·공간적 행위성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중심화된 권력 개념에 의존하는 한계도 지닌다. 이 대신 네트워크나 실천 기반의 권력 개념화에 근거하면, 플랫폼화된 배달노동자의 행위성을 무시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행위성은 특히 임금과 노동 조건이 재협상,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노동자의 지역적 착근성과 사회·공간적 네트워크가 그러한 행위성의 획득과 성취에서 중요한 공간적 맥락으로 작용한다. 수도권과 주요 대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배달대행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플랫폼 배달서비스 부문의 가치사슬과 공간적 노동분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랫폼화된 오늘날의 서비스 부문, 보다 일반적으로는 플랫폼 자본주의의 작동을 더욱 잘 이해하려면 공간적으로 맥락화된 불안계급의 행위성에 관한 면밀한 탐구와 검토가 절실해 보인다.
基于平台化外卖服务价值链的不稳定中介——以清州市萨昌地区为例
本研究的目的是理解和解释平台化餐饮配送部门的劳动地理,并将注意力放在不稳定阶级作为分析概念上。具体来说,通过对清州市沙仓洞一带平台配送服务劳动者的集中事例研究,奠定了对不稳定阶级的劳动条件和现实的重要洞察基础。不稳定阶级在理解平台化的餐饮配送服务领域危险、不稳定的劳动方面是非常有用的概念,但同时也具有将结构性决定论视为理所当然,依赖于贬低社会、空间行为性价值的中心化权力概念的局限性。如果以网络或实践为基础的权力概念化,就很难忽视平台化配送劳动者的行为。这种行为在工资和劳动条件重新谈判、重组的过程中表现得尤为明显。劳动者的地域黏性和社会、空间网络在这种行为性的获得和成就中起着重要的空间脉络作用。在首都圈和主要大城市以外的地区,以配送代理企业为中心组成的平台配送服务部门的价值链和空间劳动分工也起到了重要的作用。因此,要想更好地理解当今平台化的服务领域,更一般地说,要想更好地理解平台资本主义的运作,切实需要对空间脉络化的不稳定阶级的行为进行缜密的研究和研究。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