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s the Ageing Society a Social Problem? Ageing from the Complexity Perspective","authors":"Yong Gyun Lee","doi":"10.21189/jkugs.26.2.1","DOIUrl":null,"url":null,"abstract":"21세기 세계 인구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은 고령화일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인구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를 단순히 사회적 문제가 아닌 복잡한 인구학적 변화의 산물로 바라보면서, 복잡성 사고를 통해 고령화를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는 단순히 고령인구의 증가가 아닌, 장기적이고 복잡한 인구학적 요소와 사회적 변화의 힘들이 결합된 결과이다. 둘째, 고령화는 시대와 장소, 개인과 집단의 상황과 위치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됨에 주목해야 하며, 복잡성 사고는 고령인구를 다양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관점을 제공한다. 셋째, 인구변화로 서 고령화는 인류의 공동-진화적 진보가 생산한 시대적 산물이며, 매우 복잡하고 자기조직적인 사회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9/jkugs.26.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21세기 세계 인구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은 고령화일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인구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를 단순히 사회적 문제가 아닌 복잡한 인구학적 변화의 산물로 바라보면서, 복잡성 사고를 통해 고령화를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는 단순히 고령인구의 증가가 아닌, 장기적이고 복잡한 인구학적 요소와 사회적 변화의 힘들이 결합된 결과이다. 둘째, 고령화는 시대와 장소, 개인과 집단의 상황과 위치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됨에 주목해야 하며, 복잡성 사고는 고령인구를 다양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관점을 제공한다. 셋째, 인구변화로 서 고령화는 인류의 공동-진화적 진보가 생산한 시대적 산물이며, 매우 복잡하고 자기조직적인 사회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