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Urban Shrinkage: A Bibliometric and Thematic Approach","authors":"Minju Lee, Yilsoon Paek","doi":"10.21189/jkugs.26.2.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도시축소 연구의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Web of Science의 핵심 컬렉션에서 서지 정보를 추출하여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도시축소 연구들의 서지정보를 추출하였으며, 국제 연구는 총 358개, 국내 연구는 43개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도시축소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빈집, 인구사회학적 변화, 경제적 쇠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계량서지학분석 중 세부 분석으로 연구 주요 키워드 빈도수를 보여주는 동시 출현 네트워크(co-occurrence network), 중심성과 밀도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전략적 다이어그램(strategic diagram), 3개의 지표를 연결하여 관계망을 보여주는 생키 다이어그램(sankey diagram)을 활용하여 연구 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초기에는 미국, 유럽 등 서양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수행되었다. 특히 키워드 분석을 통해 2020년 기준으로 중국(China) 키워드가 급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국내 연구들은 주로 도시축소 현상에 대한 분석과 평가, 도시계획 및 정책적 차원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향후 도시축소 현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논의를 폭넓게 전개해나가기 위해서는 축소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와 연구 방법론의 다양성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91630,"journ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si ji'ri haghoe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9/jkugs.26.2.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축소 연구의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Web of Science의 핵심 컬렉션에서 서지 정보를 추출하여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도시축소 연구들의 서지정보를 추출하였으며, 국제 연구는 총 358개, 국내 연구는 43개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도시축소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빈집, 인구사회학적 변화, 경제적 쇠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계량서지학분석 중 세부 분석으로 연구 주요 키워드 빈도수를 보여주는 동시 출현 네트워크(co-occurrence network), 중심성과 밀도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전략적 다이어그램(strategic diagram), 3개의 지표를 연결하여 관계망을 보여주는 생키 다이어그램(sankey diagram)을 활용하여 연구 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초기에는 미국, 유럽 등 서양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수행되었다. 특히 키워드 분석을 통해 2020년 기준으로 중국(China) 키워드가 급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국내 연구들은 주로 도시축소 현상에 대한 분석과 평가, 도시계획 및 정책적 차원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향후 도시축소 현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논의를 폭넓게 전개해나가기 위해서는 축소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와 연구 방법론의 다양성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