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hag yeon'guPub Date : 2023-08-31DOI: 10.17647/jss.2023.08.92.33
Jin-Seok Oh
{"title":"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Sericulture Education Institutes in the Seoul Area, 1900-1914","authors":"Jin-Seok Oh","doi":"10.17647/jss.2023.08.92.33","DOIUrl":"https://doi.org/10.17647/jss.2023.08.92.33","url":null,"abstract":"대한제국 전기 농상공부에서 만든 잠업과시험장은 양잠업 발달을 선도하는 인력 양성을 목표로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을 모집하여 1904년까지 2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일부 졸업생들은 잠업과 관료에 임명되어 양잠정책을 주도하였고, 일부는 전국 각지에 내려가 사립 시험장과 양잠회사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러일전쟁 이후 잠업과시험장은 일제의 압력으로 크게 위축되었으며 잠상시험장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일시 살아남았지만 결국은 폐지되고 말았다.BR 잠상시험장을 폐지로 이끈 일제는 친일단체인 대한부인회를 내세워 자신들의 구미에 맞는 용산양잠강습소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강습소는 애초에 부녀자 교육을 목표로 했지만 여학생 모집이 어렵자 남학생까지 교육시키다가 1909년부터 여학생만을 입학시키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일합방을 계기로 권업모범장 역할 강화에 따라 강습소를 농상공부에 반환시켜 여자잠업강습소로 전환시키고 이를 권업모범장 용산지장에 부속시켰다. 용산지장 강습소는 전원 여학생만 교육했고, 졸업생들은 주로 잠업전습소, 치잠공동사육소의 일본인 기술자를 보조하는 인력이나 자가에서 양잠을 하며 일본식 양잠기술을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4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3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eoulhag yeon'guPub Date : 2023-08-31DOI: 10.17647/jss.2023.08.92.77
Hyojin Sung
{"title":"A Study on the “Bird’s-eye view of Dae-Gyeongseong” in the Dong-A Ilbo in 1933","authors":"Hyojin Sung","doi":"10.17647/jss.2023.08.92.77","DOIUrl":"https://doi.org/10.17647/jss.2023.08.92.77","url":null,"abstract":"이 글은 1933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신록(新綠)의 대경성 부감기(大京城俯瞰記)」(이하 「대경성 부감기」)가 1930년대 초반 서울의 도시 이미지와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대경성 부감기」는 하늘에서 경성 시가를 내려다보며 촬영한 사진 12점 및 기사 글로 이루어져 있다. 비행기 조종사는 신용욱(愼鏞頊, 1901-1961), 글을 쓴 기자는 이길용(李吉用, 1899-?), 사진을 촬영한 기자는 문치장(文致暲, 1900-1969)이었다.BR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경성 부감기」가 연재된 1930년대 초반은 대경성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상태였다. 둘째, 경성의 도시 공간을 하늘에서 내려다 볼 수 있는 비행유람은 희귀한 시각 경험으로 이전과는 다른 시각을 통해 도시 공간을 바라보게 하였다. 셋째, 「대경성 부감기」에서는 신문이 발행된 시점에 신문의 구독자들에게 가장 화제가 된 장소들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대경성 부감기」가 도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매개체였으며 이를 통해 서울, 경성,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겹쳐졌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BR 1930년대 초 대경성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경성의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이와 동시에 조선인 조종사의 귀국 비행 이후 비행가와 비행기에 대한 관심은 높아진 상태였으며 경성 비행유람도 등장하였다. 바로 그 때 하늘에서 촬영한 서울의 사진과 하늘에서 서울을 담은 글이 「대경성 부감기」라는 이름으로 신문을 통해 연재되었다.BR 「대경성 부감기」에는 비행기를 탄 후 여의도비행장(汝矣島飛行塲)에서 남대문(南大門)을 지나 성벽(城壁) 일대를 따라 동대문(東大門)에서 서대문(西大門)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늘에서 촬영한 사진 및 글이 수록되어 있다. 「대경성 부감기」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제목은 “대경성”이지만 기사 글의 내용에서는 서울, 장안, 한양 등을 통해 경성이 묘사되었다. 둘째, 사라진 장소들과 대경성으로 편입될 지역이 함께 그려져 있다. 셋째, 장소 선택에 있어 구독자의 관심이 고려되어 일부는 의도적으로 배제되었다. 넷째, 기사 글에 상세하게 다루어진 장소들은 사진에서 기사 글만큼 두드러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BR 「대경성 부감기」가 연재된 1933년은 무엇보다 서울을 상징하는 성벽이 그 모습을 감추기 바로 직전이었으며 대경성의 탄생을 눈 앞에 둔 시기였다. 바로 그 때 하늘에서 성벽의 흔적을 따라 돌며 담아낸 서울의 풍경들이 「대경성 부감기」로 연재되었다. 부감이라는 새로운 시점은 서울의 익숙한 장소들은 낯설게, 낯선 장소들은 익숙한 장소들과 겹쳐져 보이게 하였다. 그 과정은 과거, 현재, 미래가 뒤섞인 서울의 풍경들을 마주하게 하였다. 즉 「대경성 부감기」를 통해 당대인들은 서울의 도시 공간을 다시 한번 더 인식하였으며 단절이 아닌 중첩을 통해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공유될 수 있었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3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eoulhag yeon'guPub Date : 2023-08-31DOI: 10.17647/jss.2023.08.92.109
Jejeong Kim
{"title":"A Study on Promotional Posters for the 1929 Joseon Exhibition","authors":"Jejeong Kim","doi":"10.17647/jss.2023.08.92.109","DOIUrl":"https://doi.org/10.17647/jss.2023.08.92.109","url":null,"abstract":"1929년 조선박람회 포스터의 제작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일본의 1928년 大禮記念博覽會, 대만의 1935년 臺灣博覽會와 비교해보았다.BR 조선총독부는 조선박람회를 홍보하기 위한 포스터를 제작하기로 하고, 그 도안을 현상 모집하였다. 도안 조건은 포스터의 디자인에 조선과 관련된 것을 반드시 넣도록 하여 조선과의 연관성을 중시하였고, 식민통치의 결과로 발달한 조선의 모습을 적절하게 선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었다. 당선자는 모두 일본인이었으며 심사위원이 모두 일본 대학교수였을 뿐만 아니라 심사 과정도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는 조선박람회의 큰 특징 중 하나였던 ‘조선식’ 건축양식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경회루를 비롯한 경복궁의 건물이 사용되고, 조선의 각종 산업과 문화가 표시되는 등 조선총독부가 제시한 도안 조건에 비교적 충실하였다.BR 1928년 일본의 도쿄, 나고야, 교토의 세 도시에서 개최된 大禮記念博覽會의 포스터를 살펴보았다.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의 1등작은 조선박람회의 1등작과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흡사하였다. 다만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가 천황 즉위를 기념한 박람회였고, 개최 장소 또한 일본의 대표적 전통 도시 교토였음에도 불구하고, 포스터에 전통적 요소가 많지 않은 것이 조선과의 차이였다. 근대적 새로움을 보여주는 박람회의 기본 성격을 고려하면, 일본의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BR 1935년의 대만박람회 포스터 역시 일본 작가에 대한 의뢰와 현상 모집으로 제작하였다. 조선의 경우 현상 모집의 비중이 컸고, 대만의 경우 의뢰의 비중이 컸다는 차이는 있었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 조선의 전통적 요소가 상당히 부각되어 있던 것에 반해, 대만박람회 포스터에서는 대만의 전통적인 부분을 찾기는 어려웠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3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eoulhag yeon'guPub Date : 2023-08-31DOI: 10.17647/jss.2023.08.92.01
Jinwook Lee, Kunchul Ahn
{"title":"Urban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Personal Records : Focusing on the transaction related records of OO Die Casting in Ipjeong-dong","authors":"Jinwook Lee, Kunchul Ahn","doi":"10.17647/jss.2023.08.92.01","DOIUrl":"https://doi.org/10.17647/jss.2023.08.92.01","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서울시 입정동에 위치한 주물 업체의 회계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의 산업 및 민간 생활의 역사와 문화를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금계산서를 통해 ○○주물의 공식적 거래에 대한 해석을, 간이 영수증이 포함된 증빙서철을 통해 비공식적 거래에 대해 해석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보완하였다.BR 그 결과, 일/업무와 개인적 삶에 대한 특성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일/업무와 관련하여 ○○주물의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패턴, 교류 수준을 알 수 있었다.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측면에서 보면, ○○주물을 찾는 의뢰인은 서울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주물에서 무엇을 구매하거나 일을 맡기는 업체는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며 입정동 주요 골목을 따라 업체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의 패턴은 연간 거래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거래량은 건설업의 연중 시기별 업무량과 소수 주요 거래처의 주문량에 영향을 받았다. 거래 네트워크의 교류를 확인해 본 결과 목형과 주물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하는 업체와 ○○주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생활사적 측면에서 ○○주물 사장의 활동 범위와 환경, 취향 등 개인의 삶을 유추하고 살펴볼 수 있었다. 건강음료, 의료비, 선풍기, 샴푸 구매 등 주물 공정작업장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소비가 많았으며 개인의 삶이 일과 긴밀히 연결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생활사 추적을 통해 나타난 입정동 블록 내 식당, 슈퍼마켓, 세탁소, 목욕탕 등의 존재 사실은 입정동이 산업단지와 동시에 생활의 터전이었음을 보여주었다.BR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 및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사료를 통해 조명하고 기록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개인의 생활사, 문화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와 공간의 해석을 두텁게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5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eoulhag yeon'guPub Date : 2023-08-31DOI: 10.17647/jss.2023.08.92.135
Yuri Seo
{"title":"Aesthetic Cityscape of Gyeongseong and Alternative Images of Koreans -Focusing on Gyeongseong photo postcards and Donga-ilbo’s Gyeongseong-baekseung","authors":"Yuri Seo","doi":"10.17647/jss.2023.08.92.135","DOIUrl":"https://doi.org/10.17647/jss.2023.08.92.135","url":null,"abstract":"이 논문은 경성의 도시 ‘미관(美觀)’의 형성과 이를 반영한 일본인 제작의 사진엽서의 이미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조선인의 반미학적, 대안적 태도를 동아일보사의 『경성백승』을 중심으로 도출해보았다. 경성의 도시건설 과정은 미학적 태도의 제도화와 병행하며, 도시의 근대적 미관을 구축하고 이를 사진엽서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을 동반했다. 식민지적 조건에서 이 과정을 조선인이 기획하고 주도할 수는 없었다. 경성 사진엽서의 소재는 ‘린칸노비(輪奐の美)’를 자랑하는 총독부청사, 경성부청사, 조선은행 등 근대건축과 이를 보완, 장식하는 궁궐건축이 중심이 되고, 사진은 건축의 안면성과 외곽선 등을 미학적으로 구성했다. 도시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포착한 경성의 사진엽서는 통치성을 정당화하고 관광업의 경제적 효과의 연계시켜 식민지 근대도시 경성의 미관을 선전하는 미디어의 역할을 했다. 조선인 발행의 경성 사진엽서가 부재한 것은 식민자가 주도한 도시미관의 형성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을 방증한다고 보았다. 반면, 조선인 공동체를 연결시키는 미디어 정치와 문화적 민족주의의 중심적 언론기관이었던 『동아일보』는 1924년 독자들과 호응하며 「내동리 명물」로 연재한 기사를 1929년 조선박람회에 맞추어 『경성백승』의 제목으로 출간했다. 사진엽서 상품을 연상시키는 제목과 달리, 『경성백승』은 식민지 통치의 부정의함을 비판하고, 대한제국기와 조선시대의 역사를 결부시킴으로써, 경성 북촌 조선인 거주지역의 장소성을 재발견했다. 『경성백승』은 경성 사진엽서에는 부재한 장소를 반미학적 구성으로 사진찍어, 조선인의 현대사와 과거사가 담긴 장소로 의미화했다. 『경성백승』은 장소를 역사화하고 역사를 장소화하여, 사진엽서의 미관과 통치성을 해체하고, 조선민족의 경성으로 재규정함으로써 대안적 경성 이미지를 창출했다. 이 논문은 경성 이미지의 기록자료로서의 이용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미지가 수행하는 사회적, 정치적 작용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경성 장소성에 대한 대조적인 시선과 태도를 조명하였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03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