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omotional Posters for the 1929 Joseon Exhibition

Jejeong Kim
{"title":"A Study on Promotional Posters for the 1929 Joseon Exhibition","authors":"Jejeong Kim","doi":"10.17647/jss.2023.08.92.109","DOIUrl":null,"url":null,"abstract":"1929년 조선박람회 포스터의 제작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일본의 1928년 大禮記念博覽會, 대만의 1935년 臺灣博覽會와 비교해보았다.BR 조선총독부는 조선박람회를 홍보하기 위한 포스터를 제작하기로 하고, 그 도안을 현상 모집하였다. 도안 조건은 포스터의 디자인에 조선과 관련된 것을 반드시 넣도록 하여 조선과의 연관성을 중시하였고, 식민통치의 결과로 발달한 조선의 모습을 적절하게 선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었다. 당선자는 모두 일본인이었으며 심사위원이 모두 일본 대학교수였을 뿐만 아니라 심사 과정도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는 조선박람회의 큰 특징 중 하나였던 ‘조선식’ 건축양식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경회루를 비롯한 경복궁의 건물이 사용되고, 조선의 각종 산업과 문화가 표시되는 등 조선총독부가 제시한 도안 조건에 비교적 충실하였다.BR 1928년 일본의 도쿄, 나고야, 교토의 세 도시에서 개최된 大禮記念博覽會의 포스터를 살펴보았다.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의 1등작은 조선박람회의 1등작과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흡사하였다. 다만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가 천황 즉위를 기념한 박람회였고, 개최 장소 또한 일본의 대표적 전통 도시 교토였음에도 불구하고, 포스터에 전통적 요소가 많지 않은 것이 조선과의 차이였다. 근대적 새로움을 보여주는 박람회의 기본 성격을 고려하면, 일본의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BR 1935년의 대만박람회 포스터 역시 일본 작가에 대한 의뢰와 현상 모집으로 제작하였다. 조선의 경우 현상 모집의 비중이 컸고, 대만의 경우 의뢰의 비중이 컸다는 차이는 있었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 조선의 전통적 요소가 상당히 부각되어 있던 것에 반해, 대만박람회 포스터에서는 대만의 전통적인 부분을 찾기는 어려웠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eoul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647/jss.2023.08.92.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1929년 조선박람회 포스터의 제작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일본의 1928년 大禮記念博覽會, 대만의 1935년 臺灣博覽會와 비교해보았다.BR 조선총독부는 조선박람회를 홍보하기 위한 포스터를 제작하기로 하고, 그 도안을 현상 모집하였다. 도안 조건은 포스터의 디자인에 조선과 관련된 것을 반드시 넣도록 하여 조선과의 연관성을 중시하였고, 식민통치의 결과로 발달한 조선의 모습을 적절하게 선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었다. 당선자는 모두 일본인이었으며 심사위원이 모두 일본 대학교수였을 뿐만 아니라 심사 과정도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는 조선박람회의 큰 특징 중 하나였던 ‘조선식’ 건축양식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경회루를 비롯한 경복궁의 건물이 사용되고, 조선의 각종 산업과 문화가 표시되는 등 조선총독부가 제시한 도안 조건에 비교적 충실하였다.BR 1928년 일본의 도쿄, 나고야, 교토의 세 도시에서 개최된 大禮記念博覽會의 포스터를 살펴보았다.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의 1등작은 조선박람회의 1등작과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흡사하였다. 다만 大禮記念京都大博覽會가 천황 즉위를 기념한 박람회였고, 개최 장소 또한 일본의 대표적 전통 도시 교토였음에도 불구하고, 포스터에 전통적 요소가 많지 않은 것이 조선과의 차이였다. 근대적 새로움을 보여주는 박람회의 기본 성격을 고려하면, 일본의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BR 1935년의 대만박람회 포스터 역시 일본 작가에 대한 의뢰와 현상 모집으로 제작하였다. 조선의 경우 현상 모집의 비중이 컸고, 대만의 경우 의뢰의 비중이 컸다는 차이는 있었다. 조선박람회 포스터에 조선의 전통적 요소가 상당히 부각되어 있던 것에 반해, 대만박람회 포스터에서는 대만의 전통적인 부분을 찾기는 어려웠다.
“1929年朝鲜展宣传海报研究
观察了1929年朝鲜博览会海报的制作过程和内容,并将其与日本的1928年《大礼记》、1935年台湾的《台湾览览会》进行了比较。BR朝鲜总督府决定制作宣传朝鲜博览会的海报,并悬赏征集其图案。图案条件是海报的设计必须加入与朝鲜相关的内容,重视与朝鲜的连贯性,适当地宣传因殖民统治而发达的朝鲜面貌。当选人都是日本人,审查委员都是日本大学教授,审查过程也在日本进行。朝鲜博览会海报中没有包含朝鲜博览会的一大特点——“朝鲜式”建筑样式。但是,庆会楼等景福宫的建筑被使用,标出朝鲜各种产业和文化等,比较忠实于朝鲜总督府提出的图案条件。BR我们参观了1928年在日本东京、名古屋、京都三个城市举行的《大礼记念博览会》的海报。与《大礼记》、《北大博览会》的头等小朝鲜博览会的头等作品整体结构十分相似。虽然《大礼记》中的北大博览会是纪念天皇即位的博览会,举办场所也是日本的代表性传统城市京都,但海报上的传统因素并不多,这就是与朝鲜的差异。如果考虑到体现近代新意的博览会的基本性质,可以说日本的情况更为普遍。BR 1935年的台湾博览会海报也是委托日本作家悬赏征集而制作的。朝鲜的情况是,悬赏募集的比重较大,台湾的情况是委托的比重较大。与朝鲜博览会海报上相当突出朝鲜的传统因素相反,在台湾博览会海报上很难找到台湾的传统部分。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