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通过个人记录的城市产业生态系统:以益亭洞OO压铸的交易相关记录为中心","authors":"Jinwook Lee, Kunchul Ahn","doi":"10.17647/jss.2023.08.92.0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서울시 입정동에 위치한 주물 업체의 회계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의 산업 및 민간 생활의 역사와 문화를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금계산서를 통해 ○○주물의 공식적 거래에 대한 해석을, 간이 영수증이 포함된 증빙서철을 통해 비공식적 거래에 대해 해석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보완하였다.BR 그 결과, 일/업무와 개인적 삶에 대한 특성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일/업무와 관련하여 ○○주물의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패턴, 교류 수준을 알 수 있었다.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측면에서 보면, ○○주물을 찾는 의뢰인은 서울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주물에서 무엇을 구매하거나 일을 맡기는 업체는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며 입정동 주요 골목을 따라 업체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의 패턴은 연간 거래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거래량은 건설업의 연중 시기별 업무량과 소수 주요 거래처의 주문량에 영향을 받았다. 거래 네트워크의 교류를 확인해 본 결과 목형과 주물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하는 업체와 ○○주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생활사적 측면에서 ○○주물 사장의 활동 범위와 환경, 취향 등 개인의 삶을 유추하고 살펴볼 수 있었다. 건강음료, 의료비, 선풍기, 샴푸 구매 등 주물 공정작업장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소비가 많았으며 개인의 삶이 일과 긴밀히 연결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생활사 추적을 통해 나타난 입정동 블록 내 식당, 슈퍼마켓, 세탁소, 목욕탕 등의 존재 사실은 입정동이 산업단지와 동시에 생활의 터전이었음을 보여주었다.BR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 및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사료를 통해 조명하고 기록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개인의 생활사, 문화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와 공간의 해석을 두텁게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Urban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Personal Records : Focusing on the transaction related records of OO Die Casting in Ipjeong-dong\",\"authors\":\"Jinwook Lee, Kunchul Ahn\",\"doi\":\"10.17647/jss.2023.08.92.0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서울시 입정동에 위치한 주물 업체의 회계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의 산업 및 민간 생활의 역사와 문화를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금계산서를 통해 ○○주물의 공식적 거래에 대한 해석을, 간이 영수증이 포함된 증빙서철을 통해 비공식적 거래에 대해 해석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보완하였다.BR 그 결과, 일/업무와 개인적 삶에 대한 특성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일/업무와 관련하여 ○○주물의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패턴, 교류 수준을 알 수 있었다.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측면에서 보면, ○○주물을 찾는 의뢰인은 서울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주물에서 무엇을 구매하거나 일을 맡기는 업체는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며 입정동 주요 골목을 따라 업체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의 패턴은 연간 거래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거래량은 건설업의 연중 시기별 업무량과 소수 주요 거래처의 주문량에 영향을 받았다. 거래 네트워크의 교류를 확인해 본 결과 목형과 주물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하는 업체와 ○○주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생활사적 측면에서 ○○주물 사장의 활동 범위와 환경, 취향 등 개인의 삶을 유추하고 살펴볼 수 있었다. 건강음료, 의료비, 선풍기, 샴푸 구매 등 주물 공정작업장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소비가 많았으며 개인의 삶이 일과 긴밀히 연결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생활사 추적을 통해 나타난 입정동 블록 내 식당, 슈퍼마켓, 세탁소, 목욕탕 등의 존재 사실은 입정동이 산업단지와 동시에 생활의 터전이었음을 보여주었다.BR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 및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사료를 통해 조명하고 기록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개인의 생활사, 문화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와 공간의 해석을 두텁게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3306,\"journal\":{\"name\":\"Seoulhag yeon'gu\",\"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eoul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647/jss.2023.08.92.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eoul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647/jss.2023.08.92.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Urban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Personal Records : Focusing on the transaction related records of OO Die Casting in Ipjeong-dong
이 연구는 서울시 입정동에 위치한 주물 업체의 회계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의 산업 및 민간 생활의 역사와 문화를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금계산서를 통해 ○○주물의 공식적 거래에 대한 해석을, 간이 영수증이 포함된 증빙서철을 통해 비공식적 거래에 대해 해석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보완하였다.BR 그 결과, 일/업무와 개인적 삶에 대한 특성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일/업무와 관련하여 ○○주물의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패턴, 교류 수준을 알 수 있었다. 거래 네트워크의 범위 측면에서 보면, ○○주물을 찾는 의뢰인은 서울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주물에서 무엇을 구매하거나 일을 맡기는 업체는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며 입정동 주요 골목을 따라 업체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의 패턴은 연간 거래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거래량은 건설업의 연중 시기별 업무량과 소수 주요 거래처의 주문량에 영향을 받았다. 거래 네트워크의 교류를 확인해 본 결과 목형과 주물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하는 업체와 ○○주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생활사적 측면에서 ○○주물 사장의 활동 범위와 환경, 취향 등 개인의 삶을 유추하고 살펴볼 수 있었다. 건강음료, 의료비, 선풍기, 샴푸 구매 등 주물 공정작업장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소비가 많았으며 개인의 삶이 일과 긴밀히 연결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생활사 추적을 통해 나타난 입정동 블록 내 식당, 슈퍼마켓, 세탁소, 목욕탕 등의 존재 사실은 입정동이 산업단지와 동시에 생활의 터전이었음을 보여주었다.BR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 및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사료를 통해 조명하고 기록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개인의 생활사, 문화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와 공간의 해석을 두텁게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