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Folk song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Historical Research of the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at National Gugak Center 国立国乐中心韩国传统民歌表演的历史研究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8-31 DOI: 10.56100/kfs.2023.8.68.7
In-hwa So
{"title":"Historical Research of the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at National Gugak Center","authors":"In-hwa So","doi":"10.56100/kfs.2023.8.68.7","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8.68.7","url":null,"abstract":"이 글은 국가 공연기관인 국립국악원에서 민요공연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국악원은 1951 년 개원한 후 조선시대 장악원을 통해 전승된 궁중음악, 정악을 중심으로 민속악을 수용했다. 이후 국악원의 옴니버스식 공연에 민요는 대개 빠짐없이 들어 있었다. 개원 초창기 ‘국악감상회’, 무형문화재 공연에서는 경서도 명창들이 주로 공연했는데, 통속민요와 잡가가 주로 불렸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수립 이후, 국악원에서 개최하게 된 무형문화재 공연은 민속 악연주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민속악단을 창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1년 민속악단 창단 이후에는 경서도 단원들의 소리 뿐 아니라 남도민요를 포함하여 민요공연의 폭이 확대되었다.BR 2000년대 무렵 국악원은 민요를 대중화하고 국악원 민속악단을 국립극장 창극단과 차별화하고자 경서도소리극을 제작했다. 〈시집가는 날〉로 대표되는 경서도소리극은 성황을 이루었으며, 외부 민요계에도 영향을 주어 국악 공연의 다양성을 확대했다고 평가된다. 국악원의 소리극은 경서도소리극으로부터 이후 판소리 등 각종 성악을 포괄하는 소리극과 음악극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국악원 민속악단 단원을 민속악단 초기와 비교할 때 남도 계통 인원만 증가한 것과 일치한다. 국악원은 이러한 인적 구성의 조건 속에서 국악 대중화를 위해 정악과 민속악을 함께 하며 연극, 영화, 뮤지컬 등 다른 장르와 협업을 시도했다. 한편, 서울 국악원의 교육사업과 창작악단 창단 그리고 지역 국악원 개원으로 민요에 기반한 동요, 창작 관현악 공연, 향토민요의 무대화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BR 국악원은 개원 이후 국악계의 종가로서 무형문화재 공연과 소리극 개발, 지역 공연 활동으로 민요를 전승하고 보급해 온 것처럼 앞으로도 시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369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of Korean folk songs through the Baltic Stat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lebration of Song and Dance’ 波罗的海国家非物质文化遗产“歌舞庆典”中韩国民歌的传播方向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8-31 DOI: 10.56100/kfs.2023.8.68.63
Jeong-joo Heo
{"title":"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of Korean folk songs through the Baltic Stat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lebration of Song and Dance’","authors":"Jeong-joo Heo","doi":"10.56100/kfs.2023.8.68.63","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8.68.63","url":null,"abstract":"본고는 노래/민요축제를 통해 공동체 및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는 발트국가들의 사례에 주목한 연구이다. 발트3국에서 개최되는 축전은 2008년 세계인류무형문화 유산에 ‘노래와 춤의 축전Baltic song and dance celebrations’으로 등재되었다. 이 축제는 발트지역 국가들의 민속예술 전통을 대규모의 노래와 춤을 ‘축제’로 구현해 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더 나아가 이 사례를 통해 공연예술로서 우리 민요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어떤 실천들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해 보았다.BR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민요관련 축제들은 경쟁의 원리에 입각한 경창대회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민요의 공동체적 속성에서 볼 때 개인보다는 공동체, 단체의 활성화가 더 활발해지는 것이 본질적인 측면에서 타당하다. 따라서 ‘한국민요페스티벌’ 개발 및 개최를 통해 한민족 정체성 함양 계기도 마련하고 공동체 결속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유형문화재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문화유산활용교육’의 범위를 무형문화재로까지 확대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각 지역에 크고 작은 음악단체나 어린이를 위한 민요부르기 동아리 활동을 지원도 필요하다. ‘민요합창제’ 부활을 통해 민요 전승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실현을 통해 한국민요의 공연예술의 장을 마련하여 수준 높은 전통공연예술로 전승되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361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Rice Field Weeding So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光州、全罗南道《稻田除草歌》文学特征研究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8-31 DOI: 10.56100/kfs.2023.8.68.31
Ok-hee Lee
{"title":"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Rice Field Weeding Song〉 in Gwangju and Jeollanam-do","authors":"Ok-hee Lee","doi":"10.56100/kfs.2023.8.68.31","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8.68.31","url":null,"abstract":"그간〈논매는소리〉에 대해서는 분포권과 기능,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문학적 특징에 주목했다.〈논매는소리〉는 논매기를 하는 작업 현장에서 불려지는 연행예술로서, 논을 매는 순서에 따라 ‘초벌소리, 두벌소리, 세벌매기소리, 장원질소리’로 구조화되어 있고, 장단에 따라 ‘느린 소리와 빠른 소리’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가창방식에 따라 ‘앞소리와 샛소리, 뒷소리’로 구조화되어 있다.BR 〈논매는소리〉는 시상(詩想) 전개 방식이 1단형, 2단형, 3단형, 연장체형(達章體形)으로 매우 다양하며 개방적이다. 시상 전개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운용이 자유롭다는 것을의미한다. 또한〈논매는소리〉노랫말은 자유로운 연상을 허용하고 가치 평가를 강요하지 않는 개방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창자의 기분, 청중의 반응, 장소의 분위기 등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맞춰서 그때마다 다르게 창작되고 수용되는 것이다. 이는〈논매는소리〉노랫말이 의미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창자와 후창자가 상호 소통하며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것임을 말해준다고 하겠다.BR 〈논매는소리〉노랫말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작업지시, 농군격려, 음식휴식, 권농기풍, 날씨자연, 충효봉사, 애정연애, 취흥유락, 이별정한, 신세한탄’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논매는소리〉는 연행예술인만큼 노랫말에서 상황성이 강조되고 발화를 그 상황 속에서 재현하는데 구연의 목적이 있다.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논매는소리〉노랫말의 기대지평은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랫말의 기대지평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BR 〈논매는소리〉를 김매순(1776~1840)의 문체론(文體論)에 적용하여 보니, 농민들의 건강한 세계관이 반영된 문학일 뿐만 아니라 문학적 수사(修辭)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문학성을 갖춘 민중문학임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361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 国立国乐中心网络民歌演出的可能性与问题——以“可扩展性”和“传统与流行的困境”为中心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8-31 DOI: 10.56100/kfs.2023.8.68.95
Se-ah Hong
{"title":"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authors":"Se-ah Hong","doi":"10.56100/kfs.2023.8.68.95","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8.68.95","url":null,"abstract":"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361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Kim So-un’s Study of Joseon Folk Songs and Compilation of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金素云对朝鲜民歌的研究与《朝鲜民歌集》的编纂(英文)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385
Jeong-ran Yu
{"title":"Kim So-un’s Study of Joseon Folk Songs and Compilation of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authors":"Jeong-ran Yu","doi":"10.56100/kfs.2023.4.67.385","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385","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2984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iscovery and Revitalization of Local Folk Song Heritage - Focusing on Folk Songs in Eumseong Region - 地方民歌遗产的发现与振兴——以阴城地区的民歌为例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227
Young-sook Suh
{"title":"Discovery and Revitalization of Local Folk Song Heritage - Focusing on Folk Songs in Eumseong Region -","authors":"Young-sook Suh","doi":"10.56100/kfs.2023.4.67.227","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227","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2168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Existence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Lyrics in 论中国歌词的存在与教育利用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191
B. Mun
{"title":"A Study on the Existence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Lyrics in","authors":"B. Mun","doi":"10.56100/kfs.2023.4.67.191","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191","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4302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Function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ng for child rearing - Focusing on Sleeping Sounds for Baby and Soothing Sounds for Baby in the Chungnam region - 韩国传统育儿歌曲的功能和音乐特点——忠南地区以婴儿的睡眠声和安抚声为主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343
Sun-ja Jo
{"title":"Function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ng for child rearing - Focusing on Sleeping Sounds for Baby and Soothing Sounds for Baby in the Chungnam region -","authors":"Sun-ja Jo","doi":"10.56100/kfs.2023.4.67.343","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343","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5606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Performanc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MaehwaTaryeong” in the 20th century 20世纪《梅打令》的演奏和音乐特点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297
Ji-in Yang
{"title":"Performanc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MaehwaTaryeong” in the 20th century","authors":"Ji-in Yang","doi":"10.56100/kfs.2023.4.67.297","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2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1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9106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yageum Byeongchang Saetaryeong (Bird Song) and The Educational Measures 伽倻琴《鸟歌》的音乐特点及教育对策
The Korean Folk song Pub Date : 2023-04-30 DOI: 10.56100/kfs.2023.4.67.35
Min-Jeong Kim
{"title":"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yageum Byeongchang Saetaryeong (Bird Song) and The Educational Measures","authors":"Min-Jeong Kim","doi":"10.56100/kfs.2023.4.67.35","DOIUrl":"https://doi.org/10.56100/kfs.2023.4.67.35","url":null,"abstract":"","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1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1823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