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
{"title":"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authors":"Se-ah Hong","doi":"10.56100/kfs.2023.8.68.9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Folk s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100/kfs.2023.8.68.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