国立国乐中心网络民歌演出的可能性与问题——以“可扩展性”和“传统与流行的困境”为中心

Se-ah Hong
{"title":"国立国乐中心网络民歌演出的可能性与问题——以“可扩展性”和“传统与流行的困境”为中心","authors":"Se-ah Hong","doi":"10.56100/kfs.2023.8.68.9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authors\":\"Se-ah Hong\",\"doi\":\"10.56100/kfs.2023.8.68.9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Folk s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100/kfs.2023.8.68.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Folk s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100/kfs.2023.8.68.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文章的意义在于,在国立国乐院网上演出中,将重点放在韩国民谣上,分析3年来保持社会距离的内容,并提供相关资料。将在线公演节目设定为“在线公演场”,对国立国乐院在线公演场在2020年到2022年的3年间发表的韩国民谣公演进行了开馆,并分析了编制内容。将网上演出具有的“扩张性”分为“公示性扩张性”和“通时性扩张性”两个方面进行了考察,考察了“传统和大众性的两难”问题。研究结果表明:第一,“保持社会距离”运营3年的国立国乐院网上公演场共有6种10个项目,全体演奏曲数为281首,其中韩国民谣的演奏曲为99首(35.2%)。编曲及创作民谣有91首,传统民谣有8首,主要是混合体裁形态的国、洋合奏的民间歌曲。第二,通过在线演出场的可能性,确认了确保众多观众和永久性再看等公示性、通视性扩张性的优点。因此,他们发现了考虑到在线演出的持续性和波及力、传达信息的统一性和详细介绍的必要性及问题点。最后,传统表演艺术家支援事业为中心运营的在线演出特性crossover (crossover)形式的大众向往构成演出剧场内网上给予的部分课题是关于今后国立国乐院在线表演场,质量提高是在政策上提出了需要考虑的部分工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Online Folk Song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 Focusd on ‘expandability’ and ‘dilemma of tradition and popularity’ -
이 글은 국립국악원 온라인공연 중 한국민요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온라인공연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연장’으로 설정하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의 한국민요 공연을 개관하여 편성 내용을 분석했다. 온라인공연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을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통과 대중성의 딜레마’ 문제를 고찰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3년간 운영된 국립국악원 온라인 공연장은 총 6종 10개 프로젝트로 전체 연주곡 수는 281곡이며, 그중 한국민요 연행곡은 99곡(35.2%)이었다. 편곡 및 창작민요는 91곡, 전통민요는 8곡으로 주로 혼합장르 형태의 국 · 양합주된 민요곡이 연행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장의 가능성으로 많은 관람객 확보와 항구적 다시보기 같은 공시적, 통시적 확장성의 장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공연의 지속성과 파급력 고려, 정보 전달의 통일성과 상세한 안내에 관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전통 공연예술가 지원 사업 중심으로 운영된 온라인공연 특성상 크로스오버 (crossover) 형식의 대중지향 공연이 온라인 공연장 내 주를 이루는 부분에 관한 과제는 앞으로 국립국악원이 온라인 공연장을 질적 제고해 나가는 것에 있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임을 제시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