光州、全罗南道《稻田除草歌》文学特征研究

Ok-hee Lee
{"title":"光州、全罗南道《稻田除草歌》文学特征研究","authors":"Ok-hee Lee","doi":"10.56100/kfs.2023.8.68.31","DOIUrl":null,"url":null,"abstract":"그간〈논매는소리〉에 대해서는 분포권과 기능,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문학적 특징에 주목했다.〈논매는소리〉는 논매기를 하는 작업 현장에서 불려지는 연행예술로서, 논을 매는 순서에 따라 ‘초벌소리, 두벌소리, 세벌매기소리, 장원질소리’로 구조화되어 있고, 장단에 따라 ‘느린 소리와 빠른 소리’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가창방식에 따라 ‘앞소리와 샛소리, 뒷소리’로 구조화되어 있다.BR 〈논매는소리〉는 시상(詩想) 전개 방식이 1단형, 2단형, 3단형, 연장체형(達章體形)으로 매우 다양하며 개방적이다. 시상 전개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운용이 자유롭다는 것을의미한다. 또한〈논매는소리〉노랫말은 자유로운 연상을 허용하고 가치 평가를 강요하지 않는 개방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창자의 기분, 청중의 반응, 장소의 분위기 등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맞춰서 그때마다 다르게 창작되고 수용되는 것이다. 이는〈논매는소리〉노랫말이 의미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창자와 후창자가 상호 소통하며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것임을 말해준다고 하겠다.BR 〈논매는소리〉노랫말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작업지시, 농군격려, 음식휴식, 권농기풍, 날씨자연, 충효봉사, 애정연애, 취흥유락, 이별정한, 신세한탄’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논매는소리〉는 연행예술인만큼 노랫말에서 상황성이 강조되고 발화를 그 상황 속에서 재현하는데 구연의 목적이 있다.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논매는소리〉노랫말의 기대지평은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랫말의 기대지평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BR 〈논매는소리〉를 김매순(1776~1840)의 문체론(文體論)에 적용하여 보니, 농민들의 건강한 세계관이 반영된 문학일 뿐만 아니라 문학적 수사(修辭)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문학성을 갖춘 민중문학임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Rice Field Weeding Song〉 in Gwangju and Jeollanam-do\",\"authors\":\"Ok-hee Lee\",\"doi\":\"10.56100/kfs.2023.8.68.31\",\"DOIUrl\":null,\"url\":null,\"abstract\":\"그간〈논매는소리〉에 대해서는 분포권과 기능,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문학적 특징에 주목했다.〈논매는소리〉는 논매기를 하는 작업 현장에서 불려지는 연행예술로서, 논을 매는 순서에 따라 ‘초벌소리, 두벌소리, 세벌매기소리, 장원질소리’로 구조화되어 있고, 장단에 따라 ‘느린 소리와 빠른 소리’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가창방식에 따라 ‘앞소리와 샛소리, 뒷소리’로 구조화되어 있다.BR 〈논매는소리〉는 시상(詩想) 전개 방식이 1단형, 2단형, 3단형, 연장체형(達章體形)으로 매우 다양하며 개방적이다. 시상 전개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운용이 자유롭다는 것을의미한다. 또한〈논매는소리〉노랫말은 자유로운 연상을 허용하고 가치 평가를 강요하지 않는 개방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창자의 기분, 청중의 반응, 장소의 분위기 등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맞춰서 그때마다 다르게 창작되고 수용되는 것이다. 이는〈논매는소리〉노랫말이 의미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창자와 후창자가 상호 소통하며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것임을 말해준다고 하겠다.BR 〈논매는소리〉노랫말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작업지시, 농군격려, 음식휴식, 권농기풍, 날씨자연, 충효봉사, 애정연애, 취흥유락, 이별정한, 신세한탄’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논매는소리〉는 연행예술인만큼 노랫말에서 상황성이 강조되고 발화를 그 상황 속에서 재현하는데 구연의 목적이 있다.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논매는소리〉노랫말의 기대지평은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랫말의 기대지평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BR 〈논매는소리〉를 김매순(1776~1840)의 문체론(文體論)에 적용하여 보니, 농민들의 건강한 세계관이 반영된 문학일 뿐만 아니라 문학적 수사(修辭)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문학성을 갖춘 민중문학임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22626,\"journal\":{\"name\":\"The Korean Folk song\",\"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Folk s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100/kfs.2023.8.68.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Folk s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100/kfs.2023.8.68.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此前对《论梅的声音》主要进行了分布权、功能和音乐特征的研究,因此这篇文章关注了文学特征。<玩鹰的声音>水田每收录了在工作现场逮捕了艺术作为,按照顺序锄草的三条“打底的声音,两套的声音,每声,状元氮为“结构化,长短根据《慢声和快速的声音》以结构化,演唱方式按照“前声和隔间的声音,背后的声音以结构化。BR <论打之声>的诗想展开方式为1段型、2段型、3段型、延长体型等多种多样且开放。颁奖方式的多样化意味着根据工作现场的情况可以自由运用。另外,《论梅的声音》的歌词允许自由联想,不强求价值评价,是开放的内容。根据演唱者的心情、听众的反应、场所的氛围等社会、心理因素,每次都有不同的创作和接受。这说明《论丛的声音》的歌词并不是单方面地传达意义,而是领唱和后唱者相互沟通,以游戏的方式享受。BR <论梅之声>歌词的主题分析结果显示,歌词的内容包括“工作指示、农民鼓励、饮食休息、权农风、天气自然、忠孝服务、爱情恋爱、醉兴娱乐、离别情情、哀叹身世”。《锄草的声音》是带烟艺术,在歌词中强调情态性,在那种情况下再现发火是演唱的目的。在这个地区传承的《水田的声音》歌词的期待地平与庆尚道地区传承的歌词的期待地平有所差异。将BR <论梅的声音>应用于金梅顺(1776~1840)的文体论,不仅反映了农民健康的世界观,还有效地使用了文学修辞,可见是具有文学性的民众文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Rice Field Weeding So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그간〈논매는소리〉에 대해서는 분포권과 기능,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문학적 특징에 주목했다.〈논매는소리〉는 논매기를 하는 작업 현장에서 불려지는 연행예술로서, 논을 매는 순서에 따라 ‘초벌소리, 두벌소리, 세벌매기소리, 장원질소리’로 구조화되어 있고, 장단에 따라 ‘느린 소리와 빠른 소리’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가창방식에 따라 ‘앞소리와 샛소리, 뒷소리’로 구조화되어 있다.BR 〈논매는소리〉는 시상(詩想) 전개 방식이 1단형, 2단형, 3단형, 연장체형(達章體形)으로 매우 다양하며 개방적이다. 시상 전개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운용이 자유롭다는 것을의미한다. 또한〈논매는소리〉노랫말은 자유로운 연상을 허용하고 가치 평가를 강요하지 않는 개방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창자의 기분, 청중의 반응, 장소의 분위기 등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맞춰서 그때마다 다르게 창작되고 수용되는 것이다. 이는〈논매는소리〉노랫말이 의미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창자와 후창자가 상호 소통하며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것임을 말해준다고 하겠다.BR 〈논매는소리〉노랫말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작업지시, 농군격려, 음식휴식, 권농기풍, 날씨자연, 충효봉사, 애정연애, 취흥유락, 이별정한, 신세한탄’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논매는소리〉는 연행예술인만큼 노랫말에서 상황성이 강조되고 발화를 그 상황 속에서 재현하는데 구연의 목적이 있다.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논매는소리〉노랫말의 기대지평은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랫말의 기대지평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BR 〈논매는소리〉를 김매순(1776~1840)의 문체론(文體論)에 적용하여 보니, 농민들의 건강한 세계관이 반영된 문학일 뿐만 아니라 문학적 수사(修辭)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문학성을 갖춘 민중문학임을 알 수 있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