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 Study on Intermediary Seller of Used Records as Material Culture : Focused on Intermediary Seller in Hwanghak-dong Market 作为物质文化的旧唱片中间商研究:以黄鹤洞市场的中间商为中心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4-01-31 DOI: 10.22876/kab.2024.38.1.002
Sangjin Lee, Woongjae Ryoo
{"title":"A Study on Intermediary Seller of Used Records as Material Culture : Focused on Intermediary Seller in Hwanghak-dong Market","authors":"Sangjin Lee, Woongjae Ryoo","doi":"10.22876/kab.2024.38.1.002","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4.38.1.002","url":null,"abstract":"","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193 ","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4-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404758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ation of Advancement Methods for Collection Rate Calculation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License Fees : Focused on the Collection Model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广播许可费征收率计算结构的改进方法探讨 :以韩国通信委员会的收费模式为重点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4-01-31 DOI: 10.22876/kab.2024.38.1.001
Gwang-Jae Kim, Jong-Hyo Lee
{"title":"Exploration of Advancement Methods for Collection Rate Calculation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License Fees : Focused on the Collection Model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authors":"Gwang-Jae Kim, Jong-Hyo Lee","doi":"10.22876/kab.2024.38.1.001","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4.38.1.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372 4","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4-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404731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Zeppetto Users" Avatar Type, Social Presence, and Self Presence on Flow Experience 关于 "Zeppetto 用户 "头像类型、社交存在感和自我存在感对流动体验影响的探索性研究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4-01-31 DOI: 10.22876/kab.2024.38.1.003
Chaelin Jang, Sooyoung Lee
{"title":"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Zeppetto Users\" Avatar Type, Social Presence, and Self Presence on Flow Experience","authors":"Chaelin Jang, Sooyoung Lee","doi":"10.22876/kab.2024.38.1.003","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4.38.1.003","url":null,"abstract":"","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11 3","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4-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404780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How Are AI Robots’ Gender Represented in Media?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les and Highlighted Values of AI Robots in TV News 人工智能机器人在媒体上的性别表现如何?:人工智能机器人在电视新闻中的角色与突出价值探析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3
Seunghye Sohn
{"title":"How Are AI Robots’ Gender Represented in Media?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les and Highlighted Values of AI Robots in TV News","authors":"Seunghye Sohn","doi":"10.22876/kab.2023.37.5.003","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3","url":null,"abstract":"AI 로봇이 빠른 속도로 우리 사회에 자리잡아감에 따라 인간과 기계의 공존 방식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주류 미디어인 TV 뉴스가 소개한 AI 로봇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목적과 역할, 강조된 핵심 가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인간형 AI 로봇이 TV 뉴스에 처음 등장한 2001년부터 2022년까지 지상파 방송사와 뉴스 전문채널 기사에 등장한 인간과 유사한 물리적 혹은 디지털 형태를 가진 AI 로봇 226개를 대상으로 그 특성과 변화의 추이를 분석했다. 인간의 의사결정과 동작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 된 AI 로봇에게 젠더화(gendering)는 감정과 친근함을 부여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AI 로봇의 개발과 채택의 단계에서 어떤 성별이 어떤 목적으로 어떤 가치를 위해 부여되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AI 로봇의 의미를 형성해 가는 ‘기술의 사회적 형성’ 기제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여성의 정체성을 부여받은 로봇은 목적과 역할, 기사를 통해 강조된 핵심 가치 등의 측면에서 남성형 AI 로봇, 혹은 성별을 나타내는 단서가 드러나지 않은 로봇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여성으로 제시된 AI 로봇은 주로 과학기술의 발전을 홍보하며 신기함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I 로봇이라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형성 과정과 미디어를 통한 기술의 재현과정에서의 젠더 편향성에 대한 학술적 · 실무적 이해의 기반을 제시하고 사회적 편견을 줄이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3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How Anthropomorphism of AI Agent Affects Perceived Authenticity : Focus on Correction of Misinformation 人工智能的拟人化如何影响感知真实性:关注错误信息的纠正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6
Jihyeon Oh, Sohye Lim
{"title":"How Anthropomorphism of AI Agent Affects Perceived Authenticity : Focus on Correction of Misinformation","authors":"Jihyeon Oh, Sohye Lim","doi":"10.22876/kab.2023.37.5.006","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6","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오정보를 정정하는 AI 에이전트와의 소통 과정에서 이용자가 어떠한 인지적 판단 경로를 통하여 설득 효과가 발생하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정성이라는 인지적 변인을 정보원, 메시지, 상호작용 진정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오정보 정정 효과의 발생 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용자의 진정성 인식에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변인으로서 AI 에이전트의 기술적 특성인 의인화에 주목하고, ‘의인화→인지된 진정성→태도 변화’의 매개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팅 AI 에이전트의 의인화 수준을 조작하여 글루텐 프리 식단에 대한 오정보를 정정하는 대화를 실시하고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이용자의 태도 변화는 의인화가 낮은 AI 에이전트보다 높은 AI 에이전트인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AI 에이전트의 의인화가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된 상호작용 진정성이 이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AI 에이전트의 이용과 오정보 정정을 통한 설득 효과에 대해 시사하는 함의점에 대해 논의되었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2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Chat GPT Service Using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 Focusing on the Age Group 20-40s 基于统一技术接受与使用理论(UTAUT)的聊天GPT服务使用意向研究——以20-40岁人群为研究对象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2
Woo-Seung Park, Yooseon Oh, Jaehee Cho
{"title":"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Chat GPT Service Using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 Focusing on the Age Group 20-40s","authors":"Woo-Seung Park, Yooseon Oh, Jaehee Cho","doi":"10.22876/kab.2023.37.5.002","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2","url":null,"abstract":"Chat-GPT와 같이 인류가 새롭게 지니게 된 혁신적인 기술이 사회에 등장하고 도입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해당 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용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예측하고 파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과 함께 Chat-GPT의 특성을 고려한 쾌락적 동기와 정보신뢰성 요인을 추가하여, 선행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해당 요인들이 사용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추가로, 연령과 챗봇사용경험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각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영향은 각각 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적 동기, 정보신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적 영향이 잠재 사용자의 Chat-GPT에 대한 유용성, 용이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 즐거움을 높여주는 요인임을 입증한다. 둘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는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력기대와 정보신뢰성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해당 결과는 Chat-GPT의 성능에 대한 기대, 재미, 즐거움 등의 내적 보상에 대한 기대와 주변 인물들의 인식이 Chat-GPT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사회적 영향은 성과기대, 쾌락적 동기를 경유하였을 때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노력기대와 정보신뢰성을 경유하였을 때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연달아 출시될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의 고성능 챗봇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 챗봇의 성능에 대한 이점들과 유희적인 특징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예상케 한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챗봇사용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연령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챗봇의 사용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유의했으며, 이에 따른 차이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hat-GPT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그 구조적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는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 향후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해 대규모언어모델 기반의 고성능 챗봇에 대한 실질적인 설계, 개발에 실무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Exploring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between Youtube and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 An Extended Niche Analysis in the Dimensions of Time, Space, and Age 探索Youtube与国内音乐流媒体平台的竞争与互补:时间、空间和时代维度的扩展利基分析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8
Seung-Chan Lee, Changwon Son, Sung-Wook Ji
{"title":"Exploring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between Youtube and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 An Extended Niche Analysis in the Dimensions of Time, Space, and Age","authors":"Seung-Chan Lee, Changwon Son, Sung-Wook Ji","doi":"10.22876/kab.2023.37.5.008","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8","url":null,"abstract":"유튜브가 국내 음악 플랫폼 시장에 진출하며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을 음악 플랫폼의 생존과 경쟁에 필요한 주요 자원으로 설정하고 유튜브, 멜론, 지니, 벅스, 네이버뮤직의 경쟁관계를 적소이론(niche theory)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원자료를 2차 분석한 결과, 유튜브는 시간과 연령 차원에서 제네럴리스트(generalist), 공간 차원에서는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로 확인되었다. 반면, 국내 플랫폼은 공간 차원에서 유튜브보다 넓은 적소폭이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시간과 연령 차원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소중복과 경쟁우위 분석 결과, 멜론과 유튜브는 다른 국내 플랫폼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국내 플랫폼 간의 경쟁이 더 강하고, 유튜브는 상대적으로 시간, 공간, 연령 차원에서 국내 플랫폼과 다른 자원을 활용해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기반 플랫폼 경쟁연구에서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의 중요성과 함께 국내 음악 플랫폼의 생존 전략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Scale-Up Strategy Analysis of OTT-based Video Content Production Startup : Focusing on the Case of Whynot Media 基于ott的视频内容制作创业公司规模化战略分析研究——以唯诺传媒为例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4
Tae-Young Son
{"title":"A Study on the Scale-Up Strategy Analysis of OTT-based Video Content Production Startup : Focusing on the Case of Whynot Media","authors":"Tae-Young Son","doi":"10.22876/kab.2023.37.5.004","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4","url":null,"abstract":"최근 미디어산업은 OTT의 성장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콘텐츠를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국내 제작사들이 여전한 방송사와의 불공정 관행 등으로 인해 성장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OTT를 기반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영상콘텐츠 제작 스타트업 ‘와이낫미디어’의 스케일업 사례를 통해 제작사들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의 역량과 전략을 분석하는 데 용이한 동적역량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동적역량의 구성 요소인 ‘감지(sensing)’, ‘구현(seizing)’, ‘재구성(reconfiguration)’ 측면에서 와이낫미디어의 전략과 성장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프로젝트성과와 재무성과까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동적역량 측면에서는 OTT 퍼스트, 콘텐츠 IP 보유, 신인 육성 및 활용, 광고 비즈니스 참여, 높은 데이터 활용도, 사업 다각화, 내부 프로세스 고도화 등 기존 방송제작사와는 차별화된 전략과 역량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적 선택과 축적된 역량이 다양한 작품의 흥행과 사업적 성공은 물론, 꾸준하고 높은 성장세를 보인 매출액이나 총자산 같은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론되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국내 중소제작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IP 확보, 캐시카우 사업 발굴, 시그니처 프로세스 구축, 시장 · 상품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한 경영전략 수립 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2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quid Game’ in the Korean Drama Market : Focusing on Changes in the Incentive System in the Global OTT Ecosystem 韩剧市场中的“鱿鱼游戏”:关注全球OTT生态系统激励机制的变化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1
Dong-Ryul Roh
{"title":"‘Squid Game’ in the Korean Drama Market : Focusing on Changes in the Incentive System in the Global OTT Ecosystem","authors":"Dong-Ryul Roh","doi":"10.22876/kab.2023.37.5.001","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1","url":null,"abstract":"글로벌 OTT로 인해 나타난 위기의 원인은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결과는 새로운 차원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 드라마 시장은 경로 의존적인 자기 유사성을 나타내며 진화하고 있다. 생산자 증가, 핸디캡 경쟁, 요소비용의 상승, 제작비의 상승이 순환하면서 방송시장에는 승자의 저주 현상이 고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류로 인한 시장 확대의 계기에 더욱 증폭되었다. 그 결과로 국내 드라마 산업의 모든 플레이어는 내수시장의 함정에 함몰되었다. 내수시장의 함정은 상승한 제작비로 인해 국내 플레이어 자력으로는 드라마 완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국내 모든 플레이어는 글로벌 OTT와 의존적 종속 관계를 형성하였다. 글로벌 OTT 생태계와의 경쟁에서 패배한 국내 방송산업은 내수시장에서 제작비를 회수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 디자인이 시급하다. 경로 의존적 진화 과정에서 탈피하고, 편성사업자가 자기조직화 할 수 있는 단절적 변화의 계기가 필요하다. 이것이 구축되지 않으면 협소한 내수시장의 함정은 공멸하는 공유지의 비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3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How Does Social Preference Frame Determine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 Focusing on Altruism and Free-Riding Frames, Vaccination Rate, and Emotion 社会偏好框架如何决定Covid-19疫苗接种意向?:关注利他主义和搭便车框架,疫苗接种率和情绪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Pub Date : 2023-09-30 DOI: 10.22876/kab.2023.37.5.005
Sowon Ahn, Wansoo Lee
{"title":"How Does Social Preference Frame Determine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 Focusing on Altruism and Free-Riding Frames, Vaccination Rate, and Emotion","authors":"Sowon Ahn, Wansoo Lee","doi":"10.22876/kab.2023.37.5.005","DOIUrl":"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 백신 관련 뉴스의 강조 프레임과 접종률에 따라 백신 접종의향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추가적으로 코로나 감염 위험지각과 관련 정서(예상된 걱정과 후회)가 백신 접종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적 선호를 강조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자신의 백신 접종 효과가 다른 사람의 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이타적 메시지로 제시되느냐, 아니면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감염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무임승차 메시지로 제시되느냐에 따라 백신 접종의향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접종률을 고/저(65% vs. 15%)로 제시하여 접종률에 따라 프레임의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지 관측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무임승차보다 이타적으로 표현했을 때 백신 접종의향이 더 높아졌고, 접종을 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 대한 예상된 걱정과 후회가 코로나 감염에 대한 위험지각이 백신 접종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률의 주효과와 사회적 선호 프레임과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가 언론 보도와 보건 커뮤니케이션 PR 전략에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2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