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between Youtube and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 An Extended Niche Analysis in the Dimensions of Time, Space, and Age
{"title":"Exploring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between Youtube and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 An Extended Niche Analysis in the Dimensions of Time, Space, and Age","authors":"Seung-Chan Lee, Changwon Son, Sung-Wook Ji","doi":"10.22876/kab.2023.37.5.008","DOIUrl":null,"url":null,"abstract":"유튜브가 국내 음악 플랫폼 시장에 진출하며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을 음악 플랫폼의 생존과 경쟁에 필요한 주요 자원으로 설정하고 유튜브, 멜론, 지니, 벅스, 네이버뮤직의 경쟁관계를 적소이론(niche theory)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원자료를 2차 분석한 결과, 유튜브는 시간과 연령 차원에서 제네럴리스트(generalist), 공간 차원에서는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로 확인되었다. 반면, 국내 플랫폼은 공간 차원에서 유튜브보다 넓은 적소폭이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시간과 연령 차원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소중복과 경쟁우위 분석 결과, 멜론과 유튜브는 다른 국내 플랫폼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국내 플랫폼 간의 경쟁이 더 강하고, 유튜브는 상대적으로 시간, 공간, 연령 차원에서 국내 플랫폼과 다른 자원을 활용해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기반 플랫폼 경쟁연구에서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의 중요성과 함께 국내 음악 플랫폼의 생존 전략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5.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유튜브가 국내 음악 플랫폼 시장에 진출하며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을 음악 플랫폼의 생존과 경쟁에 필요한 주요 자원으로 설정하고 유튜브, 멜론, 지니, 벅스, 네이버뮤직의 경쟁관계를 적소이론(niche theory)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원자료를 2차 분석한 결과, 유튜브는 시간과 연령 차원에서 제네럴리스트(generalist), 공간 차원에서는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로 확인되었다. 반면, 국내 플랫폼은 공간 차원에서 유튜브보다 넓은 적소폭이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시간과 연령 차원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소중복과 경쟁우위 분석 결과, 멜론과 유튜브는 다른 국내 플랫폼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국내 플랫폼 간의 경쟁이 더 강하고, 유튜브는 상대적으로 시간, 공간, 연령 차원에서 국내 플랫폼과 다른 자원을 활용해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기반 플랫폼 경쟁연구에서 시간과 공간, 연령 차원의 중요성과 함께 국내 음악 플랫폼의 생존 전략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