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173
Da Eun Kang
{"title":"Literature as a Sound Listening Medium: Focusing on the Novel by Shin Jong-Won","authors":"Da Eun Kang","doi":"10.36944/jspm.2023.10.50.173","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73","url":null,"abstract":"202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집필 활동을 시작한 소설가 신종원(1992-)은 ‘소리’와 ‘음향’이라는 요소를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기존 문단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실험적 형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각종 청각적 주제에 천착해 있는 신종원의 작품들에서는 음성, 음표, 템포, 노이즈, 오디오 채널, 미디어 컨트롤 기호 등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드는 여러 가지 청각 요소들이 문자예술인 소설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한 매체 환경 속에서 문자 예술인 문학은 소리와 음향을 어떤 방식으로 반영하고 활용하는가? 둘째, 문학에서 소리가 하나의 소재나 기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넘어, 문자 예술인 문학이 소리와 음향을 수용하고 향유하는 ‘매체’가 될 수 있는가? 본고에서는 이에 따라 신종원의 『전자 시대의 아리아』에 수록된 소설 여섯 편에 드러난 다양한 청각적 요소들의 표현 양상을 살펴본다. 이때 논의의 핵심은 수용자에게 소리 그 자체로서 도달하는 것을 목적하는 새로운 형식의 매체적 가능성으로, 이는 단지 문학적 효과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활용된 ‘청각적 심상(이미지)’과는 구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종원의 서술을 본고에서는 ‘소설의 음악화’, 또는 ‘텍스트의 소리화’로 명명하고자 한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157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77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127
Meebae Lee
{"title":"The Birth of a Popular Classical Musician: A Study of Tenor Shin Yung-jo’s Career through an Analysis of Media Materials from the 1970s to 1990s","authors":"Meebae Lee","doi":"10.36944/jspm.2023.10.50.127","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2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테너 신영조가 직접 남긴 19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의 잡지, 일간지, 방송출연 등의 대중매체 자료를 통해 나타난 신영조의 활동 기록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신영조가 20세기 후반기의 25년 동안 보여준 활동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그가 대중매체를 통해 보여준 예술음악으로서의 클래식 음악의 이미지 구축, 한국 가곡 부흥에의 기여, 지성의 테너로서의 면모, 품성을 갖춘 개인으로서의 삶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아 그의 활동들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다. 신영조의 자료들은 개인의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20세기 후반의 한국 가곡의 부흥과 성악연주계의 확장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자료로, 7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기까지 강조되어 온 근대화, 세계화, 지역 문화의 발전이라는 문화 정책의 흐름 속에서 클래식 음악가가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어떠한 가치를 전파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신영조가 한국사회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클래식 음악가로서 성악가의 존재를 알리고 그 이미지를 구축해 가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미지와 활동으로 한국 가곡의 전성기를 이끌게 되는지를 되새겨 보게 될 것이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20 5","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80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1
Jeong-Eun Seo
{"title":"Open Text and Its Interpretations: Analyses and Performances of Chopin ‘Mazurka’ Op. 17 No. 4","authors":"Jeong-Eun Seo","doi":"10.36944/jspm.2023.10.50.1","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url":null,"abstract":"음악의 ‘열린 분석’은 가능한가, 그렇다면 어느 정도로 가능한가? 음악작품은 바르트의 의미에서 ‘텍스트’인가 ‘작품’인가? 나아가 음악작품이 바르트의 의미에서 ‘작가적’ 텍스트일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가?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와 움베르토 에코의 몇 가지 논점과 관련된 위 질문들에서 출발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위 질문에 나름대로 답해보려는 시도로서 쇼팽 ‘마주르카’ Op. 17, No. 4를 살펴본다. 이 곡은 졸고(2016)에서 화성어휘의 중의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는데, 본 논문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 곡을 ‘열린 음악 텍스트’로, 그 분석과 연주를 ‘열린 해석들’의 예로 고찰한다. 현대의 불확정성 또는 우연성 음악이 아닌 19세기 초반의 조성작품이지만 ‘열린 텍스트성’을 갖춘 곡으로서 바르트와 에코의 개념과 연결하려 하며, 분석자와 연주자의 ‘열린 해석’의 가능성들을 논의해본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774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205
Yongsik Kang
{"title":"A Study on the Narrative in The Life of Pablo: Focusing on the First Four Songs","authors":"Yongsik Kang","doi":"10.36944/jspm.2023.10.50.205","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205","url":null,"abstract":"카니예 웨스트(Kanye West)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 ≪파블로의 일생≫(The Life of Pablo)은 2016년 발매 이전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다. 특히 “욕이 많이 담겨있는 가스펠 앨범”이라는 웨스트의 발언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지금까지 이 앨범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는 과연 이것을 가스펠 앨범이라고 볼 수 있는지에 관하여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런 논쟁은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하지 못하며 이 앨범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사의 특징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앨범의 첫 네 곡에 나타나는 가사, 음악, 웨스트의 개인사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이 곡들을 공간의 문제, 서사의 단절과 통합, 파라텍스트의 사용 등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본 앨범이 다양한 목소리를 담고 있는 두꺼운 텍스트라고 주장하였으며 이것의 보편적인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20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78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53
Jungsoon Ahn
{"title":"Rereading Berg’s Opera Wozzeck: A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Schmalfeldt’s Analysis of Set Theory","authors":"Jungsoon Ahn","doi":"10.36944/jspm.2023.10.50.53","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53","url":null,"abstract":"포오트에 의해 확립된 집합이론은 주로 음악의 통사론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말펠트의 집합이론을 활용한 분석 결과와 뷔히너 드라마에 대한 최근 해석들을 접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는 오페라 속의 유의미한 36개의 집합들의 관계도로, 이 중 3개의 넥서스 집합, SC4-18, SC6-34, SC6-Z19/Z44를 도출한다. 각 막과 각 장의 종지화음과 관계되는 SC6-34는 오페라 속의 중요한 주제인 근대성을 상징하는 배경으로 근대적 세상을 의미하는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보체크를 의미하는 SC4-19는 이 집합과 Kh관계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보체크는 근대성으로 환원되는 근대적 구조물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마리 집합 SC4-18은 SC6-34와 Kh관계를 갖지 않는 독자적 집합으로 존재한다. 더불어 오페라 속 등장인물들의 음고류 집합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체크의 음고류 집합의 경우 근대적 인간의 전형적 특징인 유일성, 동일성, 남성성처럼 가난이라는 하나의 자기 세계만을 고집하는 단일한 정체성으로 표현된다. 이에 반해 마리의 음고류 집합은 복수의 집합을 이루면서 하나의 집합으로 환원되지 않는 성격을 갖고 있다. 이는 순박하면서도 어머니로서 충실하며, 성적 욕망을 거리낌 없이 드러내는, 즉 시시각각 변하며 하나의 특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관계적 모습으로 나타나며 근대적 세상을 살아가는 탈근대적 인간성과 연결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와 음고류 집합의 성격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마리가 비극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다는 전통적 해석을 뒤집고, 비극의 원인이 보체크가 가난이라는 자기 세계에 갇혀, 단일한 정체성만을 고집하는 근대성에 있음을 시사한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34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77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m'ag nondanPub Date : 2023-10-31DOI: 10.36944/jspm.2023.10.50.91
Hyunree Cho
{"title":"Music Analysis in Between: The Cases of Dahlhaus and Kerman","authors":"Hyunree Cho","doi":"10.36944/jspm.2023.10.50.91","DOIUrl":"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91","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사이’ 개념의 관점에서 그동안 자율적인 학문 분야로 간주되어 온 음악분석의 상호담론적 성격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특히 20세기 후반 독일과 미국의 음악학계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달하우스(Carl Dahlhaus)와 커먼(Joseph Kerman)의 사례에 주목한다. 구체성을 지향하는 달하우스의 분석은 개별 작품의 구체성과 ‘차이’를 매개하고, 복잡성과 탁월성을 연결함으로써 정치적인 역량을 획득한다. 커먼이 비평이라고 칭한 분석은 비평가의 가치 판단과 음악적 사실들을 연결함으로써 가치의 문제를 음악학의 중심에 놓으려는 커먼의 의도에 공헌한다. 커먼의 분석은 전문적 담론인 음악학과 음악학 외부 사이의 소통에도 관여한다. 사이 담론으로서 음악분석은 방법론과 음악의 사이를 넘어 음악과 가치의 사이, 미학적 관념과 정치적 이념의 사이에서 작용한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3 8","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01774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