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一位受欢迎的古典音乐家的诞生:从20世纪70年代至90年代的媒体资料分析男高音申永祚的职业生涯","authors":"Meebae Lee","doi":"10.36944/jspm.2023.10.50.12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테너 신영조가 직접 남긴 19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의 잡지, 일간지, 방송출연 등의 대중매체 자료를 통해 나타난 신영조의 활동 기록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신영조가 20세기 후반기의 25년 동안 보여준 활동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그가 대중매체를 통해 보여준 예술음악으로서의 클래식 음악의 이미지 구축, 한국 가곡 부흥에의 기여, 지성의 테너로서의 면모, 품성을 갖춘 개인으로서의 삶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아 그의 활동들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다. 신영조의 자료들은 개인의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20세기 후반의 한국 가곡의 부흥과 성악연주계의 확장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자료로, 7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기까지 강조되어 온 근대화, 세계화, 지역 문화의 발전이라는 문화 정책의 흐름 속에서 클래식 음악가가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어떠한 가치를 전파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신영조가 한국사회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클래식 음악가로서 성악가의 존재를 알리고 그 이미지를 구축해 가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미지와 활동으로 한국 가곡의 전성기를 이끌게 되는지를 되새겨 보게 될 것이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20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Birth of a Popular Classical Musician: A Study of Tenor Shin Yung-jo’s Career through an Analysis of Media Materials from the 1970s to 1990s\",\"authors\":\"Meebae Lee\",\"doi\":\"10.36944/jspm.2023.10.50.12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테너 신영조가 직접 남긴 19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의 잡지, 일간지, 방송출연 등의 대중매체 자료를 통해 나타난 신영조의 활동 기록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신영조가 20세기 후반기의 25년 동안 보여준 활동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그가 대중매체를 통해 보여준 예술음악으로서의 클래식 음악의 이미지 구축, 한국 가곡 부흥에의 기여, 지성의 테너로서의 면모, 품성을 갖춘 개인으로서의 삶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아 그의 활동들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다. 신영조의 자료들은 개인의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20세기 후반의 한국 가곡의 부흥과 성악연주계의 확장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자료로, 7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기까지 강조되어 온 근대화, 세계화, 지역 문화의 발전이라는 문화 정책의 흐름 속에서 클래식 음악가가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어떠한 가치를 전파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신영조가 한국사회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클래식 음악가로서 성악가의 존재를 알리고 그 이미지를 구축해 가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미지와 활동으로 한국 가곡의 전성기를 이끌게 되는지를 되새겨 보게 될 것이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20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m'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m'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Birth of a Popular Classical Musician: A Study of Tenor Shin Yung-jo’s Career through an Analysis of Media Materials from the 1970s to 1990s
본 연구는 테너 신영조가 직접 남긴 19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의 잡지, 일간지, 방송출연 등의 대중매체 자료를 통해 나타난 신영조의 활동 기록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신영조가 20세기 후반기의 25년 동안 보여준 활동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그가 대중매체를 통해 보여준 예술음악으로서의 클래식 음악의 이미지 구축, 한국 가곡 부흥에의 기여, 지성의 테너로서의 면모, 품성을 갖춘 개인으로서의 삶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아 그의 활동들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다. 신영조의 자료들은 개인의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20세기 후반의 한국 가곡의 부흥과 성악연주계의 확장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자료로, 7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기까지 강조되어 온 근대화, 세계화, 지역 문화의 발전이라는 문화 정책의 흐름 속에서 클래식 음악가가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어떠한 가치를 전파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신영조가 한국사회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클래식 음악가로서 성악가의 존재를 알리고 그 이미지를 구축해 가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미지와 활동으로 한국 가곡의 전성기를 이끌게 되는지를 되새겨 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