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eading Berg’s Opera Wozzeck: A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Schmalfeldt’s Analysis of Set Theory

Jungsoon Ahn
{"title":"Rereading Berg’s Opera Wozzeck: A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Schmalfeldt’s Analysis of Set Theory","authors":"Jungsoon Ahn","doi":"10.36944/jspm.2023.10.50.53","DOIUrl":null,"url":null,"abstract":"포오트에 의해 확립된 집합이론은 주로 음악의 통사론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말펠트의 집합이론을 활용한 분석 결과와 뷔히너 드라마에 대한 최근 해석들을 접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는 오페라 속의 유의미한 36개의 집합들의 관계도로, 이 중 3개의 넥서스 집합, SC4-18, SC6-34, SC6-Z19/Z44를 도출한다. 각 막과 각 장의 종지화음과 관계되는 SC6-34는 오페라 속의 중요한 주제인 근대성을 상징하는 배경으로 근대적 세상을 의미하는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보체크를 의미하는 SC4-19는 이 집합과 Kh관계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보체크는 근대성으로 환원되는 근대적 구조물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마리 집합 SC4-18은 SC6-34와 Kh관계를 갖지 않는 독자적 집합으로 존재한다. 더불어 오페라 속 등장인물들의 음고류 집합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체크의 음고류 집합의 경우 근대적 인간의 전형적 특징인 유일성, 동일성, 남성성처럼 가난이라는 하나의 자기 세계만을 고집하는 단일한 정체성으로 표현된다. 이에 반해 마리의 음고류 집합은 복수의 집합을 이루면서 하나의 집합으로 환원되지 않는 성격을 갖고 있다. 이는 순박하면서도 어머니로서 충실하며, 성적 욕망을 거리낌 없이 드러내는, 즉 시시각각 변하며 하나의 특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관계적 모습으로 나타나며 근대적 세상을 살아가는 탈근대적 인간성과 연결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와 음고류 집합의 성격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마리가 비극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다는 전통적 해석을 뒤집고, 비극의 원인이 보체크가 가난이라는 자기 세계에 갇혀, 단일한 정체성만을 고집하는 근대성에 있음을 시사한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34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m'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포오트에 의해 확립된 집합이론은 주로 음악의 통사론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말펠트의 집합이론을 활용한 분석 결과와 뷔히너 드라마에 대한 최근 해석들을 접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는 오페라 속의 유의미한 36개의 집합들의 관계도로, 이 중 3개의 넥서스 집합, SC4-18, SC6-34, SC6-Z19/Z44를 도출한다. 각 막과 각 장의 종지화음과 관계되는 SC6-34는 오페라 속의 중요한 주제인 근대성을 상징하는 배경으로 근대적 세상을 의미하는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보체크를 의미하는 SC4-19는 이 집합과 Kh관계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보체크는 근대성으로 환원되는 근대적 구조물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마리 집합 SC4-18은 SC6-34와 Kh관계를 갖지 않는 독자적 집합으로 존재한다. 더불어 오페라 속 등장인물들의 음고류 집합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체크의 음고류 집합의 경우 근대적 인간의 전형적 특징인 유일성, 동일성, 남성성처럼 가난이라는 하나의 자기 세계만을 고집하는 단일한 정체성으로 표현된다. 이에 반해 마리의 음고류 집합은 복수의 집합을 이루면서 하나의 집합으로 환원되지 않는 성격을 갖고 있다. 이는 순박하면서도 어머니로서 충실하며, 성적 욕망을 거리낌 없이 드러내는, 즉 시시각각 변하며 하나의 특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관계적 모습으로 나타나며 근대적 세상을 살아가는 탈근대적 인간성과 연결된다. 집합의 복합관계도와 음고류 집합의 성격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마리가 비극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다는 전통적 해석을 뒤집고, 비극의 원인이 보체크가 가난이라는 자기 세계에 갇혀, 단일한 정체성만을 고집하는 근대성에 있음을 시사한다.
重读伯格歌剧《沃采克》:施马尔菲尔德对集合论分析的解释学途径
波奥特确立的集合理论主要用于解释音乐的通史论结构。本论文结合了施马尔菲尔特的集合理论的分析结果和最近对毕希纳电视剧的解释,提出了新的解释。集合的复合关系图是歌剧中有意义的36个集合的关系图,其中3个是nexus集合,SC4-18, SC6-34, SC6-Z19/Z44。与各幕和各章的终止和声有关的SC6-34是象征歌剧中重要主题近代性的背景,可以说是意味着近代世界的构造物。表示bocheck的SC4-19与该集合以Kh关系相连,bocheck是还原近代性的近代结构的一部分。但是mari集合SC4-18与SC6-34没有Kh关系,是一个独立的集合。另外,从歌剧中登场人物的音高类集合的性质看,波切克的音高类集合表现为像近代人类的典型特征——唯一性、同一性、男性性一样,只执着于贫穷这一自身世界的单一的认同感。与此相反,玛丽的音高流集合具有形成多个集合,但不能还原为一个集合的性质。这与纯朴而忠实于母亲,毫无顾忌地表现出性欲望,即时时刻刻变化,不能还原为一个特性的多样的关系面貌,与生活在近代世界上的脱离近代的人性相联系。对集合的复合关系图和音高流集合的性质的这种观点推翻了“玛丽提供了悲剧的决定性原因”的传统解释,暗示了悲剧的原因在于波切克被困在贫穷的自己世界,只固执于单一认同感的近代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