开放文本及其诠释:肖邦《玛祖卡》作品17 No. 4的分析与演奏

Jeong-Eun Seo
{"title":"开放文本及其诠释:肖邦《玛祖卡》作品17 No. 4的分析与演奏","authors":"Jeong-Eun Seo","doi":"10.36944/jspm.2023.10.50.1","DOIUrl":null,"url":null,"abstract":"음악의 ‘열린 분석’은 가능한가, 그렇다면 어느 정도로 가능한가? 음악작품은 바르트의 의미에서 ‘텍스트’인가 ‘작품’인가? 나아가 음악작품이 바르트의 의미에서 ‘작가적’ 텍스트일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가?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와 움베르토 에코의 몇 가지 논점과 관련된 위 질문들에서 출발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위 질문에 나름대로 답해보려는 시도로서 쇼팽 ‘마주르카’ Op. 17, No. 4를 살펴본다. 이 곡은 졸고(2016)에서 화성어휘의 중의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는데, 본 논문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 곡을 ‘열린 음악 텍스트’로, 그 분석과 연주를 ‘열린 해석들’의 예로 고찰한다. 현대의 불확정성 또는 우연성 음악이 아닌 19세기 초반의 조성작품이지만 ‘열린 텍스트성’을 갖춘 곡으로서 바르트와 에코의 개념과 연결하려 하며, 분석자와 연주자의 ‘열린 해석’의 가능성들을 논의해본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Open Text and Its Interpretations: Analyses and Performances of Chopin ‘Mazurka’ Op. 17 No. 4\",\"authors\":\"Jeong-Eun Seo\",\"doi\":\"10.36944/jspm.2023.10.50.1\",\"DOIUrl\":null,\"url\":null,\"abstract\":\"음악의 ‘열린 분석’은 가능한가, 그렇다면 어느 정도로 가능한가? 음악작품은 바르트의 의미에서 ‘텍스트’인가 ‘작품’인가? 나아가 음악작품이 바르트의 의미에서 ‘작가적’ 텍스트일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가?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와 움베르토 에코의 몇 가지 논점과 관련된 위 질문들에서 출발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위 질문에 나름대로 답해보려는 시도로서 쇼팽 ‘마주르카’ Op. 17, No. 4를 살펴본다. 이 곡은 졸고(2016)에서 화성어휘의 중의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는데, 본 논문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 곡을 ‘열린 음악 텍스트’로, 그 분석과 연주를 ‘열린 해석들’의 예로 고찰한다. 현대의 불확정성 또는 우연성 음악이 아닌 19세기 초반의 조성작품이지만 ‘열린 텍스트성’을 갖춘 곡으로서 바르트와 에코의 개념과 연결하려 하며, 분석자와 연주자의 ‘열린 해석’의 가능성들을 논의해본다.\",\"PeriodicalId\":491189,\"journal\":{\"name\":\"Eum'ag nondan\",\"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m'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m'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944/jspm.2023.10.5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对音乐的“开放分析”是否可能,那么在什么程度上可能?音乐作品在巴尔特的意义上是“文本”还是“作品”?进一步说,音乐作品在巴尔特的意义上是否可以是“作家的”文本,如果是这样,可以用什么方式呢?这篇论文的出发点是关于罗兰·巴尔特和翁贝托·艾科的几个论点的上述问题。通过对个别作品的分析,想要回答上面的问题,请看肖邦的《马祖尔卡》Op. 17和No. 4。这首歌在《索尔高》(2016)中讨论了火星词汇的中义性。本文从另一种观点出发,将这首歌作为“开放的音乐文本”,并将其分析和演奏作为“开放的解释”的例子进行考察。虽然不是现代的不确定性或偶然性音乐,而是19世纪初期的作品,但作为具有“开放的文本性”的歌曲,试图与巴尔特和艾柯的概念相联系,并讨论分析者和演奏者“开放解释”的可能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Open Text and Its Interpretations: Analyses and Performances of Chopin ‘Mazurka’ Op. 17 No. 4
음악의 ‘열린 분석’은 가능한가, 그렇다면 어느 정도로 가능한가? 음악작품은 바르트의 의미에서 ‘텍스트’인가 ‘작품’인가? 나아가 음악작품이 바르트의 의미에서 ‘작가적’ 텍스트일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가?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와 움베르토 에코의 몇 가지 논점과 관련된 위 질문들에서 출발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위 질문에 나름대로 답해보려는 시도로서 쇼팽 ‘마주르카’ Op. 17, No. 4를 살펴본다. 이 곡은 졸고(2016)에서 화성어휘의 중의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는데, 본 논문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 곡을 ‘열린 음악 텍스트’로, 그 분석과 연주를 ‘열린 해석들’의 예로 고찰한다. 현대의 불확정성 또는 우연성 음악이 아닌 19세기 초반의 조성작품이지만 ‘열린 텍스트성’을 갖춘 곡으로서 바르트와 에코의 개념과 연결하려 하며, 분석자와 연주자의 ‘열린 해석’의 가능성들을 논의해본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