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ffects of Coronavirus (COVID-19) Infection on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authors":"Eun-Kyung Cho, Ye-Na Park","doi":"10.21184/jkeia.2023.10.17.7.33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37","url":null,"abstract":"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는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2022년 6월 초까지 전 세계적으로 5억 명이 넘게 감염되었고 그중 630만여 명이 이 질환으로 사망하였다[1]. COVID-19는 또한 매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인후통과 같은 호흡기계 감염과 미각 및 후각의 소실, 피로, 근육통, 등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3]. 많은 환자들은 COVID-19 감염 완치 후에도 여러 신체적·정신적·심리적 후유증을 겪기도 한다[4,5]BR 대부분의 COVID-19 감염 관련 연구는 주로 COVID-19 감염 후의 폐기능 저하 및 임상적 분류등이였으나, COVID-19 감염 전· 후 폐기능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 폐기능에 대한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COVID-19 감염전 폐기능 검사의 결과와 COVID-19 감염 후의 폐기능 검사결과값을 비교하여 COVID-19 감염이 건강한 성인의 폐기능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COVID-19 감염 전· 후의 1초간 노력성폐활량(FEV1), COVID-19은 감염 전과 비교하였을 때 74%로 감소하였다. COVID-19 감염 전 1초율(Perccent of FEV1/FVC)는 75%, 감염 후 1초율은 74%로 감염 전보다 감소하였으나, 감염전· 후의 1초율은 정상에 속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노력성폐활량(FVC)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감염 후 FVC의 값은 86%로 감염 전 87%에 비해 감소하였다.BR 본 연구결과 건강한 성인의 COVID-19감염 전·후의 폐기능을 비교한 결과 COVID-19 바이러스가 폐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0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Living Lab Spaces in Culturally Marginalized Areas for Sustainable Cultural Arts Education","authors":"Ji-Seol Lee","doi":"10.21184/jkeia.2023.8.17.6.12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29","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5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Semi-Closed Nonlinear Narratives in OTT Content- Focusing on Netflix\"s <Kaleidoscope>","authors":"Hee-Kyung Kim","doi":"10.21184/jkeia.2023.8.17.6.2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25","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917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Focus of Humor Transformation in Speech","authors":"Ji-Won Lim","doi":"10.21184/jkeia.2023.8.17.6.161","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61","url":null,"abstract":"스피치에서의 유머성 변환 장치는 대화자 간에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시켜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해 주는 설득적 요소로써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이 역할은 인간관계 속 의사소통의 확장 기능을 포함한다. 필자는 유머성이 내재된 스피치 또는 담화가 성공하려면, 유머를 생성하는 기제와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담화기제가 아닌 비예측적인 생성기제가 존재하고, 범위를 조절해 주는 유머 제동장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필수요소인 제동장치는 수용자가 예측가능한 범위안에서 비예측적인 유머성 변환 초점을 지녀야 한다. 이것을 유머의 생성기제, 제약조건, 담화성격 규정소를 유머성 변환의 초점으로 제안하고, 각각의 항목에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정밀한 언어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는 수용자의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적이어야 한다. 둘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에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나 그러한 기능을 대체할 요소가 분명히 개입되어야 한다. 셋째, 대중성을 가진 일반적인 스피치 담화일수록 유머성은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성이 높을수록 그 유머성이 비례한다. 추후, 유머성 메타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원텍스트와의 대비 실험을 통해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수용에 대한 연구를 필자의 과제로 남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5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Melody Development Technique of K-Pop Idol Group Chorus","authors":"Jong-Pill Lim, Jae-Youn Chung","doi":"10.21184/jkeia.2023.8.17.6.3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39","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92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uodrama Theater Festival> -Starting from the 1st to the 22nd-","authors":"Jin-Man Kim","doi":"10.21184/jkeia.2023.8.17.6.8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85","url":null,"abstract":"2인극 페스티벌은 두 명 사이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본질과 다양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사유하여, 두 명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상의 다양한 사건과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축제이다.BR 그동안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공식참가작 202개, 자유참가작 50개, 특별참가작 35개, 기획초청작 34개, 해외초청작 22개, 대학참가작 234개, 시민참가작 44개, 낭독 2인극 20개, 총 635개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부문별 참가작 분포와 부문별 참가작 변화 추이를 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과정을 제1기 축제발생기(2000~2003), 제2기 축제성장기(2004~2008), 제3기 축제정착기(2009~2014), 제4기 축제확산기(2015~2018), 제5기 축제팽창기(2019~2022), 총 5단계의 시기로 분석하여 각 시기의 주요 사항을 파악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2인극 페스티벌은 매년 적극적인 연극운동 정신의 작업 태도로 축제를 운영해온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축제는 최소단위 인간관계의 소통에 대한 통찰과 전망을 담은 우수 작품들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배우의 밀도 있는 연기를 가까운 공간에서 경험하게 함으로써 2인극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참신한 발상과 실험적인 정신을 기반으로 수준 높은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관객들로 하여금 배우들의 밀도 있는 연기가 기반이 된 다양한 형태의 2인극을 만끽하게 하였다. 이렇게 2인극페스티벌의 발전과정 연구를 통하여 2인극 페스티벌의 문화적 가치 확립과 2인극 페스티벌의 성과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적 개최 방향에도 기여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2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Perspective o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Mindfulness’ as a Psychological Care Methodology for Actors","authors":"Ji-Hye Kwon","doi":"10.21184/jkeia.2023.8.17.6.101","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01","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2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leep Quality of College Students","authors":"Young-Ju Park, Chun-Yeop Lee","doi":"10.21184/jkeia.2023.8.17.6.211","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211","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5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Preference & Purchasing Behavior of 30-40s Vietnamese Woman for Scalp & Hair Cosmetics","authors":"Jeong-Yeon Park, Chae-Young Park","doi":"10.21184/jkeia.2023.8.17.6.16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6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베트남에서 두피·모발 화장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기업의 두피·모발 화장품 수출 증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두피·모발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 행동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베트남 호치민시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347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주로 구매하는 두피 및 모발 제품은 ‘탈모 방지’ 제품이며, 가장 신중하게 구매하는 제품은 ‘샴푸’이고 두피 및 모발 제품을 구매할 때 ‘품질·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피 및 모발 제품의 국가는 ‘베트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자국을 제외하고는 ‘한국’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피 및 모발 제품의 국가 선택이유는 ‘품질이 우수해서’가 응답률이 높았다. 구매시점은 ‘제품을 다 사용한 후’, 구매 성향은 ‘과거 사용했던 제품 구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활용하여 베트남 두피·모발 화장품 시장의 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베트남 두피·모발 화장품 시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5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Harmony Expression Techniques of Background Vocalists (Focused on songs that ranked #1 on the Billboard Hot 100)","authors":"Han-na Baek, Keun-Young Seo","doi":"10.21184/jkeia.2023.8.17.6.113","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13","url":null,"abstract":"","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2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