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uodrama Theater Festival> -Starting from the 1st to the 22nd-","authors":"Jin-Man Kim","doi":"10.21184/jkeia.2023.8.17.6.85","DOIUrl":null,"url":null,"abstract":"2인극 페스티벌은 두 명 사이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본질과 다양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사유하여, 두 명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상의 다양한 사건과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축제이다.BR 그동안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공식참가작 202개, 자유참가작 50개, 특별참가작 35개, 기획초청작 34개, 해외초청작 22개, 대학참가작 234개, 시민참가작 44개, 낭독 2인극 20개, 총 635개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부문별 참가작 분포와 부문별 참가작 변화 추이를 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과정을 제1기 축제발생기(2000~2003), 제2기 축제성장기(2004~2008), 제3기 축제정착기(2009~2014), 제4기 축제확산기(2015~2018), 제5기 축제팽창기(2019~2022), 총 5단계의 시기로 분석하여 각 시기의 주요 사항을 파악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2인극 페스티벌은 매년 적극적인 연극운동 정신의 작업 태도로 축제를 운영해온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축제는 최소단위 인간관계의 소통에 대한 통찰과 전망을 담은 우수 작품들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배우의 밀도 있는 연기를 가까운 공간에서 경험하게 함으로써 2인극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참신한 발상과 실험적인 정신을 기반으로 수준 높은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관객들로 하여금 배우들의 밀도 있는 연기가 기반이 된 다양한 형태의 2인극을 만끽하게 하였다. 이렇게 2인극페스티벌의 발전과정 연구를 통하여 2인극 페스티벌의 문화적 가치 확립과 2인극 페스티벌의 성과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적 개최 방향에도 기여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2인극 페스티벌은 두 명 사이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본질과 다양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사유하여, 두 명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상의 다양한 사건과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축제이다.BR 그동안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공식참가작 202개, 자유참가작 50개, 특별참가작 35개, 기획초청작 34개, 해외초청작 22개, 대학참가작 234개, 시민참가작 44개, 낭독 2인극 20개, 총 635개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1회부터 제22회까지 부문별 참가작 분포와 부문별 참가작 변화 추이를 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과정을 제1기 축제발생기(2000~2003), 제2기 축제성장기(2004~2008), 제3기 축제정착기(2009~2014), 제4기 축제확산기(2015~2018), 제5기 축제팽창기(2019~2022), 총 5단계의 시기로 분석하여 각 시기의 주요 사항을 파악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2인극 페스티벌은 매년 적극적인 연극운동 정신의 작업 태도로 축제를 운영해온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축제는 최소단위 인간관계의 소통에 대한 통찰과 전망을 담은 우수 작품들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배우의 밀도 있는 연기를 가까운 공간에서 경험하게 함으로써 2인극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참신한 발상과 실험적인 정신을 기반으로 수준 높은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관객들로 하여금 배우들의 밀도 있는 연기가 기반이 된 다양한 형태의 2인극을 만끽하게 하였다. 이렇게 2인극페스티벌의 발전과정 연구를 통하여 2인극 페스티벌의 문화적 가치 확립과 2인극 페스티벌의 성과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2인극 페스티벌의 발전적 개최 방향에도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