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言语幽默转换的焦点研究","authors":"Ji-Won Lim","doi":"10.21184/jkeia.2023.8.17.6.161","DOIUrl":null,"url":null,"abstract":"스피치에서의 유머성 변환 장치는 대화자 간에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시켜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해 주는 설득적 요소로써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이 역할은 인간관계 속 의사소통의 확장 기능을 포함한다. 필자는 유머성이 내재된 스피치 또는 담화가 성공하려면, 유머를 생성하는 기제와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담화기제가 아닌 비예측적인 생성기제가 존재하고, 범위를 조절해 주는 유머 제동장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필수요소인 제동장치는 수용자가 예측가능한 범위안에서 비예측적인 유머성 변환 초점을 지녀야 한다. 이것을 유머의 생성기제, 제약조건, 담화성격 규정소를 유머성 변환의 초점으로 제안하고, 각각의 항목에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정밀한 언어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는 수용자의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적이어야 한다. 둘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에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나 그러한 기능을 대체할 요소가 분명히 개입되어야 한다. 셋째, 대중성을 가진 일반적인 스피치 담화일수록 유머성은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성이 높을수록 그 유머성이 비례한다. 추후, 유머성 메타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원텍스트와의 대비 실험을 통해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수용에 대한 연구를 필자의 과제로 남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Focus of Humor Transformation in Speech\",\"authors\":\"Ji-Won Lim\",\"doi\":\"10.21184/jkeia.2023.8.17.6.161\",\"DOIUrl\":null,\"url\":null,\"abstract\":\"스피치에서의 유머성 변환 장치는 대화자 간에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시켜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해 주는 설득적 요소로써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이 역할은 인간관계 속 의사소통의 확장 기능을 포함한다. 필자는 유머성이 내재된 스피치 또는 담화가 성공하려면, 유머를 생성하는 기제와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담화기제가 아닌 비예측적인 생성기제가 존재하고, 범위를 조절해 주는 유머 제동장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필수요소인 제동장치는 수용자가 예측가능한 범위안에서 비예측적인 유머성 변환 초점을 지녀야 한다. 이것을 유머의 생성기제, 제약조건, 담화성격 규정소를 유머성 변환의 초점으로 제안하고, 각각의 항목에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정밀한 언어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는 수용자의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적이어야 한다. 둘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에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나 그러한 기능을 대체할 요소가 분명히 개입되어야 한다. 셋째, 대중성을 가진 일반적인 스피치 담화일수록 유머성은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성이 높을수록 그 유머성이 비례한다. 추후, 유머성 메타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원텍스트와의 대비 실험을 통해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수용에 대한 연구를 필자의 과제로 남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Focus of Humor Transformation in Speech
스피치에서의 유머성 변환 장치는 대화자 간에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시켜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해 주는 설득적 요소로써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이 역할은 인간관계 속 의사소통의 확장 기능을 포함한다. 필자는 유머성이 내재된 스피치 또는 담화가 성공하려면, 유머를 생성하는 기제와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담화기제가 아닌 비예측적인 생성기제가 존재하고, 범위를 조절해 주는 유머 제동장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필수요소인 제동장치는 수용자가 예측가능한 범위안에서 비예측적인 유머성 변환 초점을 지녀야 한다. 이것을 유머의 생성기제, 제약조건, 담화성격 규정소를 유머성 변환의 초점으로 제안하고, 각각의 항목에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정밀한 언어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는 수용자의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적이어야 한다. 둘째, 유머성 스피치 담화에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나 그러한 기능을 대체할 요소가 분명히 개입되어야 한다. 셋째, 대중성을 가진 일반적인 스피치 담화일수록 유머성은 예측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비예측성이 높을수록 그 유머성이 비례한다. 추후, 유머성 메타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원텍스트와의 대비 실험을 통해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수용에 대한 연구를 필자의 과제로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