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Model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repair system with correlated breakdown and repair","authors":"Ryu changnam, 윤봉규","doi":"10.15735/KLS.2018.26.1.001","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8.26.1.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3967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ntecedence Factors of Agility Capacity, Agility Capac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in Responsive Supply Chain: Focusing on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 Electric Industries in Daegu & Kyungpook Area","authors":"Park Chan Kwon, Park Sung-min, Kim, Chae-Bogk","doi":"10.15735/KLS.2017.25.4.010","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10","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4351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Servic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on Customer Loyalty: the Case of South Korea","authors":"Ki-Jae Song, Gi-Tae Yeo","doi":"10.15735/kls.2017.25.4.008","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8","url":null,"abstract":"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service quality, dealing with service value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of servic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has a greater effect on customer loyalty, and how different effect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on customer loyalty. The measures of various variables have been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Korean importing and exporting companies were requested for online and phone survey and 200 companies responde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the AMOS 18.0.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servic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positively with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mediating variables; (2) the service quality influences on customer loyalty more than the price competitiveness does; and (3) the customer orientation as a service quality factor influences on customer loyalty more tha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factor do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1)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need to have more competitive advantage in service quality than in price competitiveness, especially in the customer orientation factor in order to obtain customer loyalty; and (2) they need to invest in their resources, especially in IT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as a way to gain such competitive advantages.","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4259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환경요인과 배차주기를 고려한 Multi Depot Pollution Routing Problem 최적화 연구-폐전기·전자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중심으로-","authors":"박기웅, Hyunsoo Kim","doi":"10.15735/kls.2017.25.4.002","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2","url":null,"abstract":"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부터 2015년 파리협정까지 다양한 규제를 채택하는 등 기후변화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시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203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축하기로 발표하였으며, 2017년부터는 노후 경유차에 대한 운행제한이 실시되고 있다. 바륨, 니켈, 베릴륨, 셀레늄, 우라늄 등 희귀 금속자원 고갈 문제 또한 중요시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희귀금속 자원 회수율을 높이고자 2013년부터 전국적으로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를 위해 무상방문수거 서비스가 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를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과정 중 고객으로부터 중간집하장까지의 경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으로부터 폐전기·전자제품을 회수하는 중간집하장까지의 차량경로에 대해 다중 집하장 환경에서의 Vehicle Routing Problem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한 Pollution Routing Problem 모형을 결합한 Multi Depot Pollution Routing Problem을 수거차량의 배차주기와 환경요인을 추가로 고려한 최적화된 차량경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각 고객들과 가까운 집하장을 분류하였으며, PRP 수리모형을 해결하기 위해 Ant Colony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때, 목적 값은 엔진 출력, 속도 및 초당 연료 소모율의 세 가지 모듈로 구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Comprehensive Modal Emission Model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Multi Depot Pollution Routing Problem 환경에서 배차주기를 주 5회로 설정하였을 경우 기존보다 약 10%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되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4603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공급사슬에서의 갈등대응이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authors":"Chan-Kwon Park","doi":"10.15735/KLS.2017.25.4.005","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5","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4337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authors":"Seung-Hwan Won, S. Cho, Sang-Hyoun Choi","doi":"10.15735/KLS.2017.25.4.003","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3","url":null,"abstract":"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1993년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ECT Delta Terminal로부터 2017년 중국 칭다오항의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보관 시스템의 자동화와 하위시스템 간 전달의 자동화가 주를 이루었고, 앞으로는 야드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터미널 내의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운영, 안전·보안, 환경·지속가능성, 경제·재무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획득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영기술에 대한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u0000본 연구는 세계적인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해양수산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는 터미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로 인한 사고, 작업자로 인해 발생하는 인사사고 및 물적 피해 사고, 자연재해 사고로 정의한다.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개발에서는 터미널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u0000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야드 하역장비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분석에 참고한다. 그 후 본격적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안전사고 유형별로 안전을 위한 기능과 세부 요구사항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별 안전 요구사항, 유지보수 요구사항, 안전사고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u0000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7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개념을 실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8613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의료공급사슬 내 관계품질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병원-제약회사의 관계를 중심으로","authors":"C. Suh, S. Lee","doi":"10.15735/kls.2017.25.4.006","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6","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의료공급사슬 내에서 관계품질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공급자(제약회사)와 구매자(병원)의 관계에서 공급자의 공정성 인식이 관계품질을 통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 파악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모델은 제약회사 영업직원으로부터 수집된 268개의 설문 데이터를 PASW 18.0 및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u0000결과적으로 세 변수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차 공정성 및 상호작용 공정성은 관계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분배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은 관계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상호작용공정성은 관계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신뢰는 관계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계신뢰와 관계몰입은 모두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실무적인 관점에서 관계 품질이 효과적인 의료 공급망 관리를 위한 관리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64778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World's Major Multi Airport System","authors":"Donghyun Choi, B. J. Kim, 허재원","doi":"10.15735/kls.2017.25.4.011","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11","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6102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부산지역 항공화물의 이동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authors":"장세영, 유장호, Ki-Chan Nam, 최훈도","doi":"10.15735/KLS.2017.25.4.004","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4","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항공화물 운송 추이, 부산항 Sea&Air 복합운송 화물 운송 추이 등의 실태파악과 지역별 수출입 항공화물 발생량을 기준으로 이동경로 분석,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정책대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u0000부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의 약 60.0%를 차지하는 12개 해외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BCG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마케팅 대상 항만을 선정하였다. 먼저 Frankfurt, Singapore, Xianyang, Chicago, Bangkok, Amsterdam, Doha 지역은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마케팅 핵심 지역으로 포함되었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지역은 Leipzig, Pudong, Los Angeles, Hong Kong, Tokyo-Narita 지역으로 선정되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64178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