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공급자의 협업역량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와 구매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authors":"황선일, 허대식","doi":"10.15735/KLS.2017.25.4.009","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9","url":null,"abstract":"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의 발달은 제품의 수명주기를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신제품 개발시 구매자와 공급자가 함께 공동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조직의 역량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구매자의 관점에서 다루어진 구조적 지식과 공급자 선정의 중요성 등을 강조한 논문들이 대부분이며, 공급자의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은 매우 제한적이다. 하지만, 신제품 개발 환경이 점차 공급자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는 것을 고려할 때에 공급자의 관점에서 필요한 조직 역량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u0000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공급자 측면에서의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하였다. 지식기반이론과 여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공급자의 협업역량은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와 구매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는 구매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제품 공동개발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자동차, 전기, 국방산업에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u0000연구결과 공급자의 협업역량이 높을수록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급자의 협업역량이 높을수록 구매자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강조하였던 공급자의 기술역량과 함께 관계역량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80 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3544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지역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방법론 연구","authors":"Chen Maowei, Hyangsook Lee","doi":"10.15735/KLS.2017.25.4.007","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7","url":null,"abstract":"물류단지란 물류단지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유치, 육성하여 화물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이다. 정부에서는 매 5년마다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통해 물류단지를 포함한 주요 물류시설의 배치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국가의 합리적, 균형적 물류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별 화물처리 수요, 공급 우선순위에 대해 언급할 뿐 가능입지, 추진방법 등 구체적 추진계획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ArcGIS를 활용한 토지분석을 통해 물류단지로서 적합한 대상지를 파악하고, 접근성, 주변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지를 선별한다. 이어서 물류시설 위치 및 처리 물동량을 입력변수로 하는 p-median모형을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후보지를 최종 선정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세스를 충청남도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 지역물류기본계획 등 관련 계획의 효율적 추진 및 물류기업체의 시설 투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7302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일관수송용 T-11형 및 T-12형 파렛트에 적합한 연안용 화물컨테이너(8 & 12 피트) 공용 표준치수 산정에 관한 연구","authors":"Deoksu Kim, Byongyoon Suh, Sang-Hwa Song","doi":"10.15735/KLS.2017.25.3.002","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3.00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일관수송용 파렛트(T-11, T-12 형)에 적합한 연안용 화물컨테이너(8, 12 피트)의 공용 배수 치수를 개발하는 것이며, 물류 모듈체계의 하나인 파렛트 최대 평면치수 1,140 x 1,140mm와 1,240 x 1,040mm를 기준으로 배가법과 승산법을 적용하여 컨테이너의 공용 배수치수를 선정하였다. \u0000첫째, 화물컨테이너의 구조는 측면도어 개방형으로 최소 안쪽 너비는 2,280mm로 고정하고 길이는 CAPE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u0000둘째, 최대 평면 치수를 8피트에 4개, 12피트에 6개가 적재되도록 2 내지 3배로 배가한 다음에 상 · 하역 작업의 여유치수를 추가하여 새로운 1차적 치수를 도출하였다. \u0000셋째, 1차로 도출한 치수 중에서 가장 큰 치수를 공용 배수 치수로 선정하고, 컨테이너에 파렛트 4개 또는 6개의 적재방법과 효율을 분석하여 최적화 여부를 시뮬레이션하고 ISO 및 KS 규격에 부합되는 가를 최종 확인하였다. \u0000따라서, 두 종류 파렛트에 대한 컨테이너 공용 배수치수는 최소 내부 너비가 2,280mm, 내부 길이는 8피트가 2,580mm, 12피가 3,580mm로 선정되었다. \u0000공용 배수치수는 파렛트 적재효율이 8피트의 경우 T-11형이 83.9%, T-12형이 83.2%, 혼적 시에 83.5%, 평균 적재효율은 83.53%이며, 12피트는 T-11형이 88.9%, T-12형이 88.2%, 혼적하는 경우 88.4%, 평균 적재효율은 88.5%이다. \u0000결론적으로 공용 배수치수는 파렛트 적재효율이 모두 83% 이상으로 되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평균 적재효율은 12피트가 8피트 보다 약 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3176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f Allocation Method on the Navy Warship Combat Power","authors":"H. Lee, S. Moon","doi":"10.15735/kls.2017.25.2.004","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2.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2983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기업의 성장 속도와 중견기업의 유형분석- 매출과 고용 중심으로 -","authors":"노용휘, 정원호, Byung-Ha Lee, Donghyun Choi","doi":"10.15735/kls.2017.25.2.001","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2.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0755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린 생산효율성에 따른 재고자산의 보유수준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authors":"H. Sung, Kim, Seog-Soo","doi":"10.15735/KLS.2017.25.2.005","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2.005","url":null,"abstract":"지난 30년 간 많은 기업들이 효율적인 생산운영방식의 하나로 린 생산(Lean Production)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나 실제 이러한 린 생산방식이 기업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 간 합의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고를 하나의 낭비(waste)로 인식하는 린 생산의 관점을 바탕으로 기업은 최소한의 재고를 유지하는 관리방식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하여 린 생산 효율성에 따른 재고자산의 보유수준과 기업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결산법인 중 제조업에 해당하는 총 421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재고자산의 보유수준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선형모형과 비선형모형으로 설정하여 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고 두 모형 간 설명력을 비교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전체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에서 비선형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역 U자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재고보유로 인한 비용과 위험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였을 때 최적의 재고보유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전체 제조업을 주요 12개의 산업별로 분류하여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12개의 산업 중 7개의 산업은 재고자산의 보유수준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선형모형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했으며 이때 둘 사이에는 부(-)의 관계를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개의 산업은 비 선형모형으로 설명하는 편이 더 적절하였는데 이는 전체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재고자산의 보유수준과 기업의 경영성과 간의 역 U자형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별 차이는 산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기업의 운영방식의 차별화됨으로써 적정재고량 및 재고관리방식이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3837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영남권 물류센터 입지 선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 프랜차이즈 A社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Kwanho Yoon, Cha young doo, Yeo Gi-Tae","doi":"10.15735/KLS.2017.25.2.003","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2.003","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5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80955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거래공정성, 평판, 결속,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authors":"박찬권, 서영복","doi":"10.15735/kls.2019.27.3.004","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9.27.3.004","url":null,"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ecedence factors consisting of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i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examine how those precedence factors influence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and also how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influence sustainability’s three aspect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Furthermore, it will investigate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in terms of their roles as a parameter.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has formulated and verified hypotheses. First of all, precedence factors consisting of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transaction fairness, transaction authenticity, social capital, and CSR activity, influence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in significantly positive ways. Second,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influenc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in significantly positive ways. Third,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play roles as a parameter between transaction fairness, transaction authenticity, social capital, and CSR activity and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ccordingly, this author suggests individual companies composed of supply chains to enhance the level of cooperation as a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 in order to elevate sustainability even fur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igured out correlation between the precedence factors of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s, transaction fairness, transaction authenticity, social capital, CSR activity, and a win-win cooperation supply chain and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8213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Comparative Study of Efficiency of Logistics Companies: Focused on Size and Types","authors":"Seung-Bum Ahn, H. Yoo","doi":"10.15735/KLS.2017.25.1.004","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1.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5157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공급사슬의 비전 및 목표공유가 공급사슬 가시성 확보를 통한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authors":"이인태","doi":"10.15735/kls.2017.25.1.002","DOIUrl":"https://doi.org/10.15735/kls.2017.25.1.002","url":null,"abstract":"","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8675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