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지역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방법론 연구","authors":"Chen Maowei, Hyangsook Lee","doi":"10.15735/KLS.2017.25.4.007","DOIUrl":null,"url":null,"abstract":"물류단지란 물류단지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유치, 육성하여 화물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이다. 정부에서는 매 5년마다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통해 물류단지를 포함한 주요 물류시설의 배치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국가의 합리적, 균형적 물류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별 화물처리 수요, 공급 우선순위에 대해 언급할 뿐 가능입지, 추진방법 등 구체적 추진계획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ArcGIS를 활용한 토지분석을 통해 물류단지로서 적합한 대상지를 파악하고, 접근성, 주변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지를 선별한다. 이어서 물류시설 위치 및 처리 물동량을 입력변수로 하는 p-median모형을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후보지를 최종 선정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세스를 충청남도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 지역물류기본계획 등 관련 계획의 효율적 추진 및 물류기업체의 시설 투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물류단지란 물류단지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유치, 육성하여 화물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이다. 정부에서는 매 5년마다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통해 물류단지를 포함한 주요 물류시설의 배치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국가의 합리적, 균형적 물류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별 화물처리 수요, 공급 우선순위에 대해 언급할 뿐 가능입지, 추진방법 등 구체적 추진계획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ArcGIS를 활용한 토지분석을 통해 물류단지로서 적합한 대상지를 파악하고, 접근성, 주변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지를 선별한다. 이어서 물류시설 위치 및 처리 물동량을 입력변수로 하는 p-median모형을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후보지를 최종 선정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세스를 충청남도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 지역물류기본계획 등 관련 계획의 효율적 추진 및 물류기업체의 시설 투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