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倒倒式集装箱码头的安全事故应对运营战略","authors":"Seung-Hwan Won, S. Cho, Sang-Hyoun Choi","doi":"10.15735/KLS.2017.25.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1993년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ECT Delta Terminal로부터 2017년 중국 칭다오항의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보관 시스템의 자동화와 하위시스템 간 전달의 자동화가 주를 이루었고, 앞으로는 야드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터미널 내의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운영, 안전·보안, 환경·지속가능성, 경제·재무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획득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영기술에 대한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n본 연구는 세계적인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해양수산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는 터미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로 인한 사고, 작업자로 인해 발생하는 인사사고 및 물적 피해 사고, 자연재해 사고로 정의한다.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개발에서는 터미널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n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야드 하역장비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분석에 참고한다. 그 후 본격적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안전사고 유형별로 안전을 위한 기능과 세부 요구사항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별 안전 요구사항, 유지보수 요구사항, 안전사고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n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7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개념을 실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authors\":\"Seung-Hwan Won, S. Cho, Sang-Hyoun Choi\",\"doi\":\"10.15735/KLS.2017.25.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1993년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ECT Delta Terminal로부터 2017년 중국 칭다오항의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보관 시스템의 자동화와 하위시스템 간 전달의 자동화가 주를 이루었고, 앞으로는 야드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터미널 내의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운영, 안전·보안, 환경·지속가능성, 경제·재무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획득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영기술에 대한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n본 연구는 세계적인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해양수산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는 터미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로 인한 사고, 작업자로 인해 발생하는 인사사고 및 물적 피해 사고, 자연재해 사고로 정의한다.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개발에서는 터미널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n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야드 하역장비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분석에 참고한다. 그 후 본격적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안전사고 유형별로 안전을 위한 기능과 세부 요구사항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별 안전 요구사항, 유지보수 요구사항, 안전사고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n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7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개념을 실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1993년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ECT Delta Terminal로부터 2017년 중국 칭다오항의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보관 시스템의 자동화와 하위시스템 간 전달의 자동화가 주를 이루었고, 앞으로는 야드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터미널 내의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운영, 안전·보안, 환경·지속가능성, 경제·재무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획득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영기술에 대한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해양수산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는 터미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로 인한 사고, 작업자로 인해 발생하는 인사사고 및 물적 피해 사고, 자연재해 사고로 정의한다.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개발에서는 터미널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야드 하역장비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분석에 참고한다. 그 후 본격적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안전사고 유형별로 안전을 위한 기능과 세부 요구사항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별 안전 요구사항, 유지보수 요구사항, 안전사고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7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개념을 실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