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釜山地区航空货物移动路径分析研究","authors":"장세영, 유장호, Ki-Chan Nam, 최훈도","doi":"10.15735/KLS.2017.25.4.0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항공화물 운송 추이, 부산항 Sea&Air 복합운송 화물 운송 추이 등의 실태파악과 지역별 수출입 항공화물 발생량을 기준으로 이동경로 분석,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정책대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n부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의 약 60.0%를 차지하는 12개 해외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BCG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마케팅 대상 항만을 선정하였다. 먼저 Frankfurt, Singapore, Xianyang, Chicago, Bangkok, Amsterdam, Doha 지역은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마케팅 핵심 지역으로 포함되었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지역은 Leipzig, Pudong, Los Angeles, Hong Kong, Tokyo-Narita 지역으로 선정되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부산지역 항공화물의 이동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authors\":\"장세영, 유장호, Ki-Chan Nam, 최훈도\",\"doi\":\"10.15735/KLS.2017.25.4.0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항공화물 운송 추이, 부산항 Sea&Air 복합운송 화물 운송 추이 등의 실태파악과 지역별 수출입 항공화물 발생량을 기준으로 이동경로 분석,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정책대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n부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의 약 60.0%를 차지하는 12개 해외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BCG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마케팅 대상 항만을 선정하였다. 먼저 Frankfurt, Singapore, Xianyang, Chicago, Bangkok, Amsterdam, Doha 지역은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마케팅 핵심 지역으로 포함되었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지역은 Leipzig, Pudong, Los Angeles, Hong Kong, Tokyo-Narita 지역으로 선정되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항공화물 운송 추이, 부산항 Sea&Air 복합운송 화물 운송 추이 등의 실태파악과 지역별 수출입 항공화물 발생량을 기준으로 이동경로 분석,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정책대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의 약 60.0%를 차지하는 12개 해외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BCG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마케팅 대상 항만을 선정하였다. 먼저 Frankfurt, Singapore, Xianyang, Chicago, Bangkok, Amsterdam, Doha 지역은 부산지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마케팅 핵심 지역으로 포함되었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지역은 Leipzig, Pudong, Los Angeles, Hong Kong, Tokyo-Narita 지역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