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1930년대 초반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계급의식과 여성 동성사회성","authors":"배상미","doi":"10.35419/KMLIT.2019..67.001","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9..67.001","url":null,"abstract":"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프롤레타리아 소설에 나타난 여성 동성사회성을 분석하고, 이것이 드러내는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을 연구하고자 했다. 프롤레타리아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 동성사회성은 안석주의 「여사무원」(1930)과 송계월의 「공장소식」(1931)에 나타나는 것처럼 남성 중심적 사회구조와 맞서는 것과, 송영의 「오수향」(1931)과 이효석의 「깨뜨려지는 홍등」(1930)과 같이 투사로서 여성 노동자를 성장시키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네 편의 소설들이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노동자의 계급의식과 계급투쟁이라는 주제의식을 드러낸 것을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대중성을 확보하고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여성 동성 사회성은 한국문학사의 차원에서도, 식민지 조선에 재현된 계급해방과 여성해방의 문제를 다시 고찰해야할 필요성을 불러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1302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자연, 노동, 투기 :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자연의 개발과 승부사적 주체","authors":"유인혁","doi":"10.35419/KMLIT.2019..67.002","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9..67.002","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개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승부사적 주체는 채만식이 재현하고 있는 독특한 자본주의적 주체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단어이다. 『금의 정열』의 인물들은 금광 개발을 위하여 근대 과학과 기술, 혁신적 경영전략을 도입하는 근대적 자본가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가치를 생산하는 자본주의적 영웅의 모습을 재현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윤추구에 대한 욕망 속에서 비합리적인 투기를 자행하는 속물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위험이 주는 쾌락에 빠져서 무모한 모험을 반복하는 도박사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채만식은 이렇게 혁신적 기업가와 위험을 감수하는 투기꾼, 그리고 승부에 매혹된 도박사의 모습을 하나로 압축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역동성을 재현하고 있다.\u0000『금의 정열』에서 금광 개발의 서사는 이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승부를 재현하고 있다. 자연은 자본가에 의해 가치로 전환되는 대상이지만, 동시에 그 예측불가능성과 무질서로 말미암아 주체를 좌절시키는 힘이기도 하다. 『금의 정열』에서 금광개발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는데, 채만식은 이를 자연과의 싸움에서 인간이 패배하고 만 결과로 묘사하고 있다. 즉 『금의 정열』은 다만 금에 눈먼 자들의 몰락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자연에 도전하는 자들의 실패를 포착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금의 정열』이 단순히 황금에 눈이 먼 속물들을 풍자하는 소설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역동적 측면을 재현하는 서사임을 발견하게 된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8827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김소월 시에서 ‘격조(格調)’의 조성 맥락","authors":"장철문","doi":"10.35419/KMLIT.2019..67.004","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9..67.004","url":null,"abstract":"이 글은 시가 발화의 한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텍스트에 드러나는 분절 형식과 그 조성 맥락을 통해 김소월 시의 운율을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김소월 시에서 시행 단위로 조성되는 격조는 신체시나 한시, 전래의 한국어 시가 등에서 비롯된 관용적 율격과 상호텍스트적인 맥락에 놓이면서도 한국어의 통사적 운율적 분절패턴과 조응·대립하는 새로운 시적 체계를 양식화했다. 이러한 시적 체계는 시행 단위로 ‘음절⊆어구⊆시구⊆시행의 층위로 하위단위가 상위단위로 포섭되는 형식적 분절체계를 갖는데, 이는 음절⊆음운구⊆억양구⊆발화의 층위로 포섭되는 구조를 갖는 한국어의 운율체계에 부합하는 것이다. 시행 단위로 일정한 음수적 분절패턴을 갖는 리듬체계 위에 일정한 억양적 분절을 형성하면서 조성되는 격조는 시적 의미, 즉 발화주체의 인식과 정서, 지향이 갖는 운동성을 조직하고, 발화를 초점화하면서 파격을 수용하기도 한다. 요컨대, 김소월 시는 텍스트 초월적으로 실현되는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면서도 각 시행의 통사적 억양적 조건에 따라 변주하고, 발화초점에 따라 파격을 수용하는 독특한 유동적 운율체계를 구축했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3754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f Literature in Ch’ungch’un as the inverted Origin of Modern Literature -Literary Repetition of the Capitalist Exchange System","authors":"박슬기","doi":"10.35419/KMLIT.2018..66.002","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8..66.002","url":null,"abstract":"","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738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Place Where ‘ChungChun’(Youth) is Over, between Enlightenment and Reconstruction -Focused on the Magazine Samkwang","authors":"이종호","doi":"10.35419/KMLIT.2018..66.003","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8..66.0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3364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Relation between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China under the Late Colonial Period","authors":"Kimjaeyong","doi":"10.35419/kmlit.2018..65.007","DOIUrl":"https://doi.org/10.35419/kmlit.2018..65.007","url":null,"abstract":"","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8803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