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노동, 투기 :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자연의 개발과 승부사적 주체

유인혁
{"title":"자연, 노동, 투기 :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자연의 개발과 승부사적 주체","authors":"유인혁","doi":"10.35419/KMLIT.2019..67.002","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개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승부사적 주체는 채만식이 재현하고 있는 독특한 자본주의적 주체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단어이다. 『금의 정열』의 인물들은 금광 개발을 위하여 근대 과학과 기술, 혁신적 경영전략을 도입하는 근대적 자본가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가치를 생산하는 자본주의적 영웅의 모습을 재현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윤추구에 대한 욕망 속에서 비합리적인 투기를 자행하는 속물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위험이 주는 쾌락에 빠져서 무모한 모험을 반복하는 도박사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채만식은 이렇게 혁신적 기업가와 위험을 감수하는 투기꾼, 그리고 승부에 매혹된 도박사의 모습을 하나로 압축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역동성을 재현하고 있다.\n『금의 정열』에서 금광 개발의 서사는 이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승부를 재현하고 있다. 자연은 자본가에 의해 가치로 전환되는 대상이지만, 동시에 그 예측불가능성과 무질서로 말미암아 주체를 좌절시키는 힘이기도 하다. 『금의 정열』에서 금광개발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는데, 채만식은 이를 자연과의 싸움에서 인간이 패배하고 만 결과로 묘사하고 있다. 즉 『금의 정열』은 다만 금에 눈먼 자들의 몰락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자연에 도전하는 자들의 실패를 포착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금의 정열』이 단순히 황금에 눈이 먼 속물들을 풍자하는 소설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역동적 측면을 재현하는 서사임을 발견하게 된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419/KMLIT.2019..67.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채만식의 『금의 정열』에 나타난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개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승부사적 주체는 채만식이 재현하고 있는 독특한 자본주의적 주체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단어이다. 『금의 정열』의 인물들은 금광 개발을 위하여 근대 과학과 기술, 혁신적 경영전략을 도입하는 근대적 자본가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가치를 생산하는 자본주의적 영웅의 모습을 재현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윤추구에 대한 욕망 속에서 비합리적인 투기를 자행하는 속물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위험이 주는 쾌락에 빠져서 무모한 모험을 반복하는 도박사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채만식은 이렇게 혁신적 기업가와 위험을 감수하는 투기꾼, 그리고 승부에 매혹된 도박사의 모습을 하나로 압축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역동성을 재현하고 있다. 『금의 정열』에서 금광 개발의 서사는 이 승부사적 주체와 자연의 승부를 재현하고 있다. 자연은 자본가에 의해 가치로 전환되는 대상이지만, 동시에 그 예측불가능성과 무질서로 말미암아 주체를 좌절시키는 힘이기도 하다. 『금의 정열』에서 금광개발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는데, 채만식은 이를 자연과의 싸움에서 인간이 패배하고 만 결과로 묘사하고 있다. 즉 『금의 정열』은 다만 금에 눈먼 자들의 몰락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자연에 도전하는 자들의 실패를 포착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금의 정열』이 단순히 황금에 눈이 먼 속물들을 풍자하는 소설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역동적 측면을 재현하는 서사임을 발견하게 된다.
自然、劳动、投机:蔡万植的󰡔金的热情󰡕出现在自然的开发和胜负事迹主体
该研究观察了蔡万植《金的热情》中出现的胜负史主体和自然的开发情况。胜负史主体是为了表现蔡万植再现的独特的资本主义主体形象而选择的单词。《黄金的热情》中的人物具有为了金矿开发,引进近代科学和技术、革新经营战略的近代资本家的面貌。它再现了通过支配自然来生产价值的资本主义英雄的面貌。但另一方面,他也是在追求利润的欲望中进行不合理投机的庸人。最后,他们有着沉溺于危险带来的快乐,反复冒险的赌博史。蔡万植将革新性企业家和甘愿承担风险的投机分子以及被胜负所迷惑的赌博师的形象概括为一个,再现了资本主义的活力。在《黄金的热情》中,金矿开发的叙事再现了这一胜负史主体和自然的胜负。自然虽然是被资本家转化为价值的对象,但同时也是因其不可预测性和无秩序而使主体受挫的力量。在《黄金的热情》中,金矿开发全部以失败告终,蔡万植将此描写为人类在与自然的斗争中失败的结果。也就是说,《黄金的热情》并不是只描写被黄金迷住的人的没落,而是捕捉到为生产价值而挑战自然的人的失败。从这里我们发现《黄金的热情》并不是单纯讽刺被黄金蒙蔽了眼睛的庸人的小说,而是再现资本主义活跃一面的叙事。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