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Value, Satisfaction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Intention Perceived by Taekwondo Practitioner Parents","authors":"Park, Won-Joo, Won-Chul Bing","doi":"10.24881/TJK.2020.11.1.123","DOIUrl":"https://doi.org/10.24881/TJK.2020.11.1.12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5-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8917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의 구조적 관계","authors":"Nam-Jung Kim, Geun-Young Kim","doi":"10.24881/tjk.2019.10.4.147","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147","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성과 자기 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315명의 국가대표급 시범단과 대학 시범단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통계적 절차는 PASW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지향은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 지향은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관리는 운동몰입과 공연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넷째, 운동몰입은 공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모든 요인에 인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9906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태권도 품새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일본 무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authors":"정근표","doi":"10.24881/tjk.2019.10.4.47","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4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6142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태권도 관련 진로의도 및 진로행동의 관계","authors":"박성언, 김하영","doi":"10.24881/tjk.2019.10.4.129","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12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태권도 관련 진로의도 및 진로행동을 예측하여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진로와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태권도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자료를 처리 하였으며 이러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태도는 진로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주관적 규범은 진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진로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진로의도는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태권도 관련 진로의도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높일 수 있고 태권도 관련 진로행동을 높이기 위하여 진로의도를 높일 수 있는 진로교육과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요구된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0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2000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ae-Hee Lim, Yang Yun-Kyung, Lee, Chang-Min, Jun-Hyeon Bae
{"title":"태권도 학생운동선수가 지각한 긍정적 코칭행동과 도덕적 이탈, 그리고 스포츠 인성의 구조모형검증","authors":"Tae-Hee Lim, Yang Yun-Kyung, Lee, Chang-Min, Jun-Hyeon Bae","doi":"10.24881/tjk.2019.10.4.65","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65","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고등학교 태권도 학생운동선수가 지각한 긍정적 코칭행동과 도덕적 이탈 그리고 스포츠 인성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2019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태권도 겨루기 종목 고등학생 선수 337명(남자=272, 여자=65)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긍정적 코칭행동은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을 낮춘다. 둘째, 태권도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은 친사회행동을 낮추는 반면 반사회행동을 높인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코칭행동은 학생운동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높이는 반면 반사회 행동을 낮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는 태권도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과 같은 인지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여 반사회행동은 예방하고 친사회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적절한 긍정적 코칭 행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7804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외 파견 태권도 사범이다: Erving Goffman의 인상관리전략","authors":"Yoon Ho, Na, 장익영","doi":"10.24881/tjk.2019.10.4.167","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16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6938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빅데이터를 활용한 태권도 연구 의미연결망 분석","authors":"박종화","doi":"10.24881/tjk.2019.10.4.301","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3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0290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Hyeong-Kyun Tak, Jang, Jong-O, Kim Joon Woong, Choi, Hyun-Min
{"title":"태권도 겨루기, 시범, 품새 선수 간 체력요인 비교","authors":"Hyeong-Kyun Tak, Jang, Jong-O, Kim Joon Woong, Choi, Hyun-Min","doi":"10.24881/tjk.2019.10.4.283","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28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기초체력 및 전문체력을 측정-비교하여 각 종목 선수들의 기량향상에 보탬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태권도 겨루기 부분 이외에 품새 및 시범에 대한 연구 부족 상황을 보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태권도 겨루기 선수 15명, 품새 선수 15명, 시범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경기력 관련 체력요인을 측정하였다.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별 체력특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겨루기 선수 집단이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평형성, 최대파워, 평균파워, 최대산소섭취량이 우수하였고, 품새 선수 집단은 유연성, 평형성이 우수하였고, 시범 선수 집단은 근력, 순발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태권도 세부 종목인 겨루기, 품새, 시범 세 종목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종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난 체력 요소는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무산소성 파워, 최대산소섭취량이었다. 둘째, 겨루기 종목이 품새 및 시범종목보다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평형성, 최대산소섭취량이 우수했다. 셋째, 품새 종목이 겨루기 및 시범종목보다 유연성이 우수했었다. 넷째, 시범 종목이 겨루기 및 품새 종목보다 순발력이 우수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태권도 경기는 세부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트레이닝이 이루어져야 하며, 트레이닝의 목적은 경기의 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체력요인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6558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