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跆拳道示范团的成就目标倾向与自我管理、运动投入及公演满足的结构关系","authors":"Nam-Jung Kim, Geun-Young Kim","doi":"10.24881/tjk.2019.10.4.14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성과 자기 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315명의 국가대표급 시범단과 대학 시범단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통계적 절차는 PASW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지향은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 지향은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관리는 운동몰입과 공연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넷째, 운동몰입은 공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모든 요인에 인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의 구조적 관계\",\"authors\":\"Nam-Jung Kim, Geun-Young Kim\",\"doi\":\"10.24881/tjk.2019.10.4.14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성과 자기 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315명의 국가대표급 시범단과 대학 시범단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통계적 절차는 PASW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지향은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 지향은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관리는 운동몰입과 공연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넷째, 운동몰입은 공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모든 요인에 인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881/tjk.2019.10.4.1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881/tjk.2019.10.4.1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성과 자기 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315명의 국가대표급 시범단과 대학 시범단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통계적 절차는 PASW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지향은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 지향은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관리는 운동몰입과 공연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넷째, 운동몰입은 공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모든 요인에 인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