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해외 태권도 지도자들이 인식하는 태권도의 세계화","authors":"Jeon Nan Hee, Kim Ok Hyun","doi":"10.24881/tjk.2019.10.4.23","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2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07538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ae-Hee Lim, Lee, Chang-Min, Jun-Hyeon Bae, Yang Yun-Kyung
{"title":"중학교 태권도 선수가 지각한 지도유형과 스포츠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authors":"Tae-Hee Lim, Lee, Chang-Min, Jun-Hyeon Bae, Yang Yun-Kyung","doi":"10.24881/tjk.2019.10.4.109","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4.109","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 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1089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여성 태권도 연구자의 삶에 관한 고찰","authors":"박성언, 김우석","doi":"10.24881/tjk.2019.10.3.41","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3.4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2126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f Taekwondo Demonstration Members on Their Excercise Adherence and Satisfaction","authors":"Dong-hyun Kim, Park, Jin-Soo","doi":"10.24881/TJK.2019.10.3.233","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3.23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3599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Performance Improvement Plans for Elementary School Taekwondo Kyorugi Athlet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authors":"Won-Jae Kim, Y. Lee","doi":"10.24881/TJK.2019.10.3.211","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3.2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6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6283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태권도 용어 사전의 편찬 성과와 후속 과제","authors":"박정호","doi":"10.24881/tjk.2019.10.3.191","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3.191","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국기원이 편찬한 태권도 용어 사전의 주요 성과를 정리하고, 표준화된 태권도 용어가 교육 및 보급되기 위해 이루어져야 할 후속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태권도 용어 사전의 편찬 성과는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첫째, 태권도 용어 사전의 기본 원칙 설정이다. 기본원칙은 제하고(삭제), 더하고(추가), 다듬고(수정), 보태고(보완)로 구분되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태권도 용어 개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태권도 용어 사전의 형식 체계 구축이다. 기존의 표제어, 간략·세부 뜻풀이 외에 사진과 QR코드 그리고 알아두기 등이 추가되어 사전으로서의 형식 체제를 갖추고 가독성을 높였다. 셋째, 태권도 용어 사전의 내용 구성 정비이다. 태권도의 목표 표기 기준과 방법이 명료화되고 모든 복수표준어가 단일표준어로 개정되었으며, 얼굴막기와 아래막기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올려막기와 내려막기로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사전에서 사진과 영상을 활용한 볼거리가 있는 전문용어 사전으로 탈바꿈되었다. 이와 함께 태권도 용어 표준화를 위한 후속과제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태권도 용어의 범위와 수준을 증대할 수 있도록 태권도 용어 사전의 표제어 확대를 제안하고, 이를 세계에 보급할 수 있도록 다국어로 번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태권도 교육현장에서 지도자가 수련생을 가르칠 때 참고할 수 있는 태권도 용어 사전의 지도(해설)서 발간과 함께 올바르고 정확한 태권도 용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국가나 지역에 관계없이 태권도를 수련하거나 지도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열람 가능하도록 온·오프라인 디지털 태권도교본과 함께 디지털 태권도 백과사전을 편찬할 것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0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7694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태권도 정신의 정신 교육 활용방안","authors":"Ryoo,Byung-Kwan","doi":"10.24881/tjk.2019.10.3.19","DOIUrl":"https://doi.org/10.24881/tjk.2019.10.3.19","url":null,"abstract":"","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30520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