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Hee Lim, Lee, Chang-Min, Jun-Hyeon Bae, Yang Yun-Kyung
{"title":"中学跆拳道选手感知的指导类型与体育道德行为的结构关系","authors":"Tae-Hee Lim, Lee, Chang-Min, Jun-Hyeon Bae, Yang Yun-Kyung","doi":"10.24881/tjk.2019.10.4.10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 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중학교 태권도 선수가 지각한 지도유형과 스포츠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authors\":\"Tae-Hee Lim, Lee, Chang-Min, Jun-Hyeon Bae, Yang Yun-Kyung\",\"doi\":\"10.24881/tjk.2019.10.4.10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 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881/tjk.2019.10.4.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881/tjk.2019.10.4.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 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