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Cultural Studies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朝鲜后期绘画”的研究史——风俗画的再发现和檀园金弘道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12-01 DOI: 10.17792/kcs.2019.37..133
김소연
{"title":"‘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authors":"김소연","doi":"10.17792/kcs.2019.37..13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7..13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미술사가 근대학문으로서 본격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에서, 각별히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 회화의 주요 장르로 부각된 풍속화의 위상변화 및 시대적 인식을 이해하고,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서 檀園 金弘道(1745-1806)에 초점을 맞춰보았다.\u0000일제강점기 조선미술을 통사적으로 서술하기 시작했던 일본인들은 조선후기 회화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김홍도 역시 미술사 서술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김홍도는 조선회화사의 중심적 존재로 인식되며, 특별히 풍속화는 김홍도의 特長이자 전통회화의 精髓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근현대기의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 있어서 조선후기, 풍속화에 대한 인식변화와 서술양상을 면밀히 살피고,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김홍도=풍속화가의 통설이 작동하는 계기에 초점을 맞춰보았다.\u0000이 과정에서 박물관, 미술관의 공적 전시를 위한 조사·수집과 일본인들의 초기 조선미술 연구가 깊은 관련 하에 있었다는 점, 『개벽』, 『문장』과 같은 문예지가 유교와 당쟁에 침몰해버린 시대로 비추어졌던 조선후기와 그 시대의 회화예술을, 민족 문화가 창달했던 새로운 전성기로 선양하는 무대가 되었음을 관찰했다. 또한, 조선후기 회화사의 형성과정에서 풍속화는 조선적, 사실적, 근대적, 때로는 혁명적 장르로 재발견되며 김홍도를 대표하는 장르로 부각되었으나, 동시에 신선도는 중국식, 비합리적, 비사실적이며 상상의 산물로 이해되기 시작하면서 김홍도의 신선그림에 대한 텍스트는 점차 희미해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205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수원 의 리모델링 스토리두잉 기반 연구 -새로운 수원 지역 관객 개발을 위한 고전연행원형의 재매개화 차원에서- 以改造故事为基础的水原研究——为开发新的水原地区观众而进行的古典带带原型的再媒介化——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12-01 DOI: 10.17792/kcs.2019.37..287
D. Kwon
{"title":"수원 의 리모델링 스토리두잉 기반 연구 -새로운 수원 지역 관객 개발을 위한 고전연행원형의 재매개화 차원에서-","authors":"D. Kwon","doi":"10.17792/kcs.2019.37..287","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7..28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4022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Kim Yong-jun (1904-1967)’s Gimyeong cheolji-hwa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11-01 DOI: 10.17948/KCS.2019..85.493
Insuk Lee
{"title":"Kim Yong-jun (1904-1967)’s Gimyeong cheolji-hwa","authors":"Insuk Lee","doi":"10.17948/KCS.2019..85.493","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9..85.49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9093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Children’s Poem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从批判的角度看韩国小学教科书中的儿童诗歌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11-01 DOI: 10.17948/KCS.2019..85.609
N. Lee
{"title":"A Study on Children’s Poem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authors":"N. Lee","doi":"10.17948/KCS.2019..85.609","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9..85.609","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1820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Protest in Suan of Hwanghae Province in March 1919 重建1919年3月黄海道宣安抗争的历史叙事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8-01 DOI: 10.17948/KCS.2019..84.179
B. Jung
{"title":"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Protest in Suan of Hwanghae Province in March 1919","authors":"B. Jung","doi":"10.17948/KCS.2019..84.179","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9..84.179","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73808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cademic Values of Unofficial History Series Publication in the Kawai Library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8-01 DOI: 10.17948/KCS.2019..84.11
W. Chung
{"title":"Academic Values of Unofficial History Series Publication in the Kawai Library","authors":"W. Chung","doi":"10.17948/KCS.2019..84.11","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9..84.11","url":null,"abstract":"일본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가와이문고(河合文庫)에는 820여 종의 고서, 3200여 건이 넘는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이 논문에서는 野史叢書를 중심으로 가와이문고 한국 고서의 자료적 가치에 대해 다루었다. 가와이문고 소장 야사총서는 모두 3종이 있다. 『昭代粹言』, 『鵝洲雜錄』, 『說叢』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說叢』은 국내외 이본이 확인되지 않는 유일본이다. 가와이문고본 『鵝洲雜錄』은 편자인 洪重寅의 장서인이 찍혀 있어 자료적 가치가 높다. 국내외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야사총서뿐만 아니라, 편찬자의 原稿本이 가와이문고에 소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說叢』에서 주목할 사항은 장서인이다. 여기에는 「嘉林白氏之章」, 「永嘉金○信」, 「繡山」의 3顆가 찍혀 있다. ‘嘉林白氏之章’은 20세기 초 대표적 서적상이었던 白斗鏞(1872-1935)의 장서인이다. 그는 고서 매매 서점과 출판사였던 翰南書林의 주인이었다. 백두용의 장서인이 찍혀 있는 책들이 국내외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 고서들은 백두용이 한남서림을 통해 판매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고서의 해외 유출의 경과를 추적하는 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장서인의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3534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태평양전쟁 전후 캠프 쇼의 계보와 미군의 동아시아 인식 太平洋战争前后营销会的系谱与美军对东亚的认识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6-01 DOI: 10.17792/kcs.2019.36..213
YUJUNG LEE
{"title":"태평양전쟁 전후 캠프 쇼의 계보와 미군의 동아시아 인식","authors":"YUJUNG LEE","doi":"10.17792/kcs.2019.36..21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6..21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88 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1208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열녀 서사의 여성학적 읽기란 무엇인가-홍인숙, 『열녀(列女)×열녀(烈女): 여자는 어떻게 열녀가 되었나』(서해문집, 2019)- ——洪仁淑,《烈女×烈女:女人是如何成为烈女的》(瑞海文集,2019)-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6-01 DOI: 10.17792/KCS.2019.36..303
J. Ryu
{"title":"열녀 서사의 여성학적 읽기란 무엇인가-홍인숙, 『열녀(列女)×열녀(烈女): 여자는 어떻게 열녀가 되었나』(서해문집, 2019)-","authors":"J. Ryu","doi":"10.17792/KCS.2019.36..30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6..3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0567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한국 대중미술의 원류-근대 광고 도안의 미술사적 연구- 韩国大众美术的源流——近代广告图案的美术史研究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6-01 DOI: 10.17792/KCS.2019.36..181
김지혜
{"title":"한국 대중미술의 원류-근대 광고 도안의 미술사적 연구-","authors":"김지혜","doi":"10.17792/KCS.2019.36..181","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6..181","url":null,"abstract":"광고는 근대의 일상을 소비사회로 견인한 매체였을 뿐만 아니라 인쇄매체의 발달 속에서 등장한 신흥 미술양식으로, 새로운 방식의 기록과 복제, 신속한 유통을 통해 대중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시각미술이라 할 수 있다. 전시회나 전람회, 화보집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미술작품들과 달리, 광고는 다양한 인쇄물에 게재되고 거리와 상점, 전차, 기차역 등 대중에게 친숙한 공간에 진열·전시된 시각문화로써 근대의 일상을 채우고 단장했다. 광고가 제공한 신문물에 대한 정보와 그것이 함의한 이상적인 근대의 도안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대중적으로 공유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근대 대중미술의 원형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u0000본 연구는 대중매체가 출현하며 광고가 지면에 실리기 시작한 19세기 후반부터 2차 세계대전으로 대부분의 매체가 폐간된 1940년대 전반까지 신문과 잡지 등 인쇄매체에 게재된 광고 도안과 거리, 상점 등 대중에게 친숙한 공간에 전시된 광고 포스터를 중심으로 근대 광고 도안의 대중미술로서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대중미술이라는 시각에서 광고를 재해석하고 미술사의 틀로 재구축함으로써 근대 시각문화의 원형을 살피고 그 이미지가 내포하는 근대와 근대성이 구축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시현시키고자 했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9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2228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이운지(怡雲志)』의 농업공간에 관한 고찰 怡云志关于农业空间的考察
The Korean Cultural Studies Pub Date : 2019-06-01 DOI: 10.17792/KCS.2019.36..119
심명주
{"title":"『이운지(怡雲志)』의 농업공간에 관한 고찰","authors":"심명주","doi":"10.17792/KCS.2019.36..119","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9.36..119","url":null,"abstract":"본고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이운지(怡雲志)』 권1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농업 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은자가 살아가는 집의 배치’라는 의미를 지니는 「형비포치」에는 향촌 거주와 관련된 다양한 접근과 구상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내용 중 ‘농업 공간’에 국한해 논의를 진행하였다.\u0000구체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향촌 농업생산 공간의 전제라 할 수 있는 입지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서유구는 상택지에서 ‘복거사요’에 관해 언급하며 생업 활동이 가능하고 지리적, 사회적, 심미적 환경 조건이 구비된 곳을 ‘낙토’라 부르고 있는데, 낙토의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리적 조건과 함께 생계를 위한 농업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이라 밝히고 있다. 제3장의 농업 공간에 관한 제안에서는, 먼저 서유구가 구상했던 농업공간의 특색과 상세한 내용 및 함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서유구는 이운지의 농업공간에 ‘사(社)’라는 명칭을 부여하며, 이들이 향촌의 ‘자치적 공동체’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이들 공간에는 『임원경제지』에 집적된 서유구의 지식과 이상이 반영되어 있음도 살필 수 있다. 논농사를 위한 공간인 행포사는 지식과 노동력의 협력을 도모하여 운영하는 향촌의 공동 농업을 위한 ‘농업관제 센터’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포정’의 경우 새로운 농법을 실험해 보는 공간으로 구상되었다. ‘전어사’는 향촌의 대규모 목축어업을 위한 단지의 구상이며, ‘경솔지사’는 양잠과 길쌈이 한 공간 안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통합 공간’을 구성하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한 구상도 살펴 볼 수 있다.\u0000지금까지 이운지의 공간에 대한 연구는 사대부의 심미적 취향을 반영한 공간 혹은 공간이 가진 공공성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까지 진행된 바 있다. 본고에서 다룬 농업 공간에 관한 고찰의 중요성은 서유구가 공간 속에서 반영하고자 한 농업 개선과 관련된 구상과 이러한 구상이 반영된 공간의 구체적인 내용과 의미를 살펴본 점에 있다고 하겠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2945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