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9
Soondool Chung, Ahyoung Lee, Jee Hye Jung
{"title":"The Interaction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authors":"Soondool Chung, Ahyoung Lee, Jee Hye Jung","doi":"10.21194/kjgsw.78.3.202309.9","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았다.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7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사용하여 조절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노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번째, 그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조절효과가 다시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기혼 여부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각각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에서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성별의 삼원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의 사후검토를 위해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 한 결과, 남성의 경우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8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167
Somin Lee, Jeongsu Lim, Sion Jang, Yukyeong Oh
{"title":"A Study of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Security Guards","authors":"Somin Lee, Jeongsu Lim, Sion Jang, Yukyeong Oh","doi":"10.21194/kjgsw.78.3.202309.167","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6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령 경비원의 근로환경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근로환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경비⋅수위⋅시설관리’ 직종에 근무하는 65세 이상 노인 31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t-검정과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로환경 특성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용직이 임시·일용직보다, 주당 근로시간은 40시간 이하일 때가 그 이상일 때보다, 일터에서 경험한 차별 경험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높은 우울 수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환경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주당근로시간이 적을수록, 일터에서 연령차별을 경험할수록, 근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령 경비원의 건강한 근로환경 개선과 우울 문제의 예방 및 해결 전략 마련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6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83
Sangyoon Han, Yeong Hyeon Hwang, Jaehee Eom
{"title":"The Effects of Hearing Loss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earing Aid Use","authors":"Sangyoon Han, Yeong Hyeon Hwang, Jaehee Eom","doi":"10.21194/kjgsw.78.3.202309.83","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8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청력저하와 우울의 관계를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매개하는 데 있어 보청기 사용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보건복지부의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3,1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매개하여 우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 사회적 관계 만족도 그리고 우울 간의 간접효과에서 보청기 사용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여 보호요인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보건의료적 관점에서뿐 아니라 사회적 관점에서도 보조기기 사용의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돌봄의 연속성 차원에서 보건의료와 복지 연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책적⋅실천적⋅연구적 관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또한 독거노인의 기능저하에 주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의 건강한 삶, 주체적인 삶을 위해서 현재의 분절적인 체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8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195
Hyunjeong Nam
{"title":"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ogni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authors":"Hyunjeong Nam","doi":"10.21194/kjgsw.78.3.202309.195","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9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자본(사회적관계 및 사회활동참여)과 인지기능, 그리고 지역사회환경 만족에 관심을 갖고 이와 같은 요인들이 노인의 우울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에 참여한 전국 65세 이상 노인 중 9,88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사회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자본이 인지기능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지역사회환경 만족이 노인 인지기능과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노인의 인지기능이 매개하는 효과는 지역사회환경 만족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함으로써 지역사회환경 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들의 활발한 사회적 관계와 적극적 사회활동참여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활동 지원 체계 확충과 함께 노인이 자신이 살던 지역사회에서 만족하며 성공적으로 계속 살아 나갈 수 있는(aging in community: AIC) 고령친화적인 지역사회환경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6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80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135
Do-yeon Kim
{"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n Older Adults","authors":"Do-yeon Kim","doi":"10.21194/kjgsw.78.3.202309.135","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3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생산적 활동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 정책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20년 8차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4,344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생산적 활동 유형은 유급활동/무급활동/자기돌봄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참여 유형 집단별 특성과 삶의 만족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등을 실행하였으며,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절반 이상인 55.5%의 노인은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각 유형별 참여 집단의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남성 노인의 경우, 유급활동 참여비율이 64.5%로 높은 반면 여성은 무급활동(80.9%)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였다. 자기 돌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다른 활동에 비하여 70대 이상(76.5%)의 고연령, 고등학교 졸업이상(43.1%)의 고학력 노인의 참여 비율이 높았으며, 공적이전소득 평균(725.82만원)과 자산총액 평균(143.83)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생산적 활동 유형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위집단보다 높았으며, 참여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각 유형별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급노동(68.34점), 자기돌봄(64.81점), 유급활동(64.70점), 무위(57.99점) 순이었으며, 이러한 평균 차이는 일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산적 활동 유형인 유급/무급/자기돌봄 활동 유형 참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자기돌봄 유형 참여(β=.062, p.002)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노년층을 위한 신노년 정책의 방향성과 ‘노년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44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59
Soojin Kim, Juyeon Ryu
{"title":"The Effects of Factors of Lonely Life on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mparison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Group","authors":"Soojin Kim, Juyeon Ryu","doi":"10.21194/kjgsw.78.3.202309.59","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5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고독생 요인이 1인 가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세대별로 비교하여 살펴보고, 1인 가구의 고독생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21년 대전시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년층 254명과 노년층 337명을 추출하여 빈도분석과 평균비교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독생의 현황에서 1인 가구 중년층은 ‘정신건강’, ‘제한된 인간관계’, ‘지역사회와의 단절’ 영역에서 1인 가구 노년층에 비해 더 열악한 삶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1인 가구 중년층은 ‘주택 불만족’, ‘기반시설 불만족’, ‘어제의 우울’, ‘세대 간 소통부재’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노년층은 ‘주택 불만족’과 ‘생계어려움’, ‘어제의 걱정’, ‘세대 간 소통부재’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간의 차이를 바탕으로 고독생 예방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4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111
Kayoung Park, Sujeong Yu
{"title":"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on Level in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authors":"Kayoung Park, Sujeong Yu","doi":"10.21194/kjgsw.78.3.202309.111","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1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경제활동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증가를 위한 복지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중 본인 응답자 7,05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종속변수로 디지털 리터러시는 독립변수, 경제활동 유무는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SPSS 27.0과 Process macro model 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경제활동 노인이 경제활동 노인보다 전반적 우울수준이 높았으며(b=-.734, p.00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울 수준에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100, p.001). 노인의 경제활동 유무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의 세기가 경제활동 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노인에게 더욱 큼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비경제활동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고 경제활동 연계 및 지원을 통한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7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Noin bogji yeon'guPub Date : 2023-09-30DOI: 10.21194/kjgsw.78.3.202309.37
Jeon Jin
{"title":"Effects of Nutrient Intake Status o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authors":"Jeon Jin","doi":"10.21194/kjgsw.78.3.202309.37","DOIUrl":"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3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인지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은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백세시대를 기대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89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